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의 합헌성 심사기준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전상구 -
dc.date.accessioned 2017-02-22T06:56:20Z -
dc.date.available 2017-02-22T06:56:20Z -
dc.date.issued 2009 -
dc.date.submitted 56905-02-17 -
dc.identifier.uri http://kmo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175759 ko_KR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10050 -
dc.description.abstract We recognize the demand of human equality as a 'Sollen' today. Therefore the contemporary democratic constitution pronounces the equal protection of the laws. Also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s providing that "All citizens shall be equal before the law, and there shall be no discrimination in political, economic, social or cultural life on account of sex, religion or social status."(§11①) Nevertheless universality of equal ideology like this, the realization of substantial equality is remote yet. In order to come true a substantial equality, the nation must forbid a discrimination first of all. But non-discrimination is not sufficient to come true a substantial equality for the minority who have historically suffered prejudice in employment and educational opportunities, we need affirmative action programs to give minority group a level playing field. However, though it have been used for a accomplishment of substantial equality as a powerful method, affirmative action is a double-edged sword with the potential to violate the rights of another group, so there is an argument as a 'reverse discrimination'. Therefore, affirmative actions must be deliberately designed to observe the constitutional limit.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affirmative action has observed a constitutional limit, we must establish a standard of judicial review. A standard of judicial review can be proved in specific lawsuit case, but the Republic of Korea's short history of affirmative action spanning less than two decades has not yet given the Constitutional Court the opportunity to make an explicit decision about affirmative action. But in the United States, often referred to as a multiracial melting pot, its Supreme Court has developed the jurisprudence of affirmative action amid heated controversy. Therefore, a cases of the U.S. Supreme Court will give Korea suggestions as to a standard of judicial review. According to the U.S. Supreme Court, a race-conscious affirmative action would be subject to strict scrutiny, a sex-conscious affirmative action would be subject to intermediate standard of review. To pass strict scrutiny or intermediate standard of review, the affirmative action must satisfy two prongs: First, it must be justified by a 'compelling' or 'important' governmental interest. Second, the affirmative action must be 'narrowly tailored' or 'substantially related' to achieve that goal or interest. On the other hand, the appropriate considerations for finding whether the affirmative action was 'narrowly tailored' or 'substantially related' include: (1) the necessity for the relief and the efficacy of alternative remedies -
dc.description.abstract and (4) the impact of the relief on the rights of third parties. Considering that the standard of judicial review of the affirmative action is not established in Korea, the theory of the U.S. Supreme Court is very useful in Korea. Therefore, this paper aims for establishing a standard of judicial review in Korea through the reception of a theory of the U.S. Supreme Court, and this paper aims for evaluating affirmative action or preferential treatment which is executing in Korea through the application of a standard of judicial review established. -
dc.description.abstract (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erical goals and the relevant labor market -
dc.description.abstract (2) the flexibility and duration of the relief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목적 = 1 제2절 연구의 범위 = 10 제3절 연구의 방법 = 12 제2장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의 의의와 이론적 근거 = 16 제1절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의 의의와 유형 = 16 Ⅰ.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의 개념 = 16 Ⅱ.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의 유형 = 17 1. 분류기준 = 17 2. 목적을 기준으로 한 분류 = 18 3. 실시근거 및 주체를 기준으로 한 분류 = 19 가. 법령에 의한 적극적 평등실현조치 = 19 나. 법원의 명령 및 동의판결에 의한 적극적 평등실현조치 = 20 다. 자발적인 적극적 평등실현조치 = 20 4. 실시수단을 기준으로 한 분류 = 21 가. 할당제형(Quota model) = 21 나. 우선적 혜택형(Preference model) = 22 다. 자가검사형(Self-Examination model) = 23 제2절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의 발전과정 = 25 Ⅰ.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의 탄생배경 = 25 Ⅱ.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의 탄생과 실행 = 29 Ⅲ.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의 위기 = 34 Ⅳ. 한국에서의 발전과정 = 35 제3절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의 이론적 근거 = 37 Ⅰ.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에 대한 옹호론 = 37 1. 옹호론의 분류 = 37 2. 과거지향적 정당성론 = 38 3. 미래지향적 정당성론 = 39 Ⅱ.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에 대한 비판론과 그에 대한 검토 = 40 1. 비판론의 근거 = 40 2. 비판론에 대한 검토 = 41 가. 무고한 제3자에 대한 희생의 강요의 부당성 문제 = 41 나. 집단에 대한 보상의 부당성 문제 = 42 다. 과대포함과 과소포함의 문제 = 42 라. 능력주의 내지 실적주의 원칙의 파괴 문제 = 43 마. 수혜집단에 대한 오명의 문제 = 44 Ⅲ. 한국 헌법과 적극적 평등실현조치 = 45 1. 평등원칙과 적극적 평등실현조치 = 45 가. 한국 헌법상의 평등관념 = 45 나. 평등원칙과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의 정당성 = 46 2. 사회국가원리와 적극적 평등실현조치 = 47 3. 민주국가원칙과 적극적 평등실현조치 = 49 제3장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에 대한 미국에서의 심사기준 = 50 제1절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에 관한 미국 연방대법원의 주요 판례 = 50 Ⅰ. 교육과 적극적 평등실현조치 = 50 1. 1978년 BAKKE 사건 이전 = 50 2. 1978년 BAKKE 사건 = 51 가. 사건개요 = 52 나. 판결요지 = 53 3. 2003년 GRUTTER 사건 = 59 가. 사건개요 = 59 나. 판결요지 = 61 4. 2003년 GRATZ 사건 = 67 가. 사건개요 = 67 나. 판결요지 = 69 Ⅱ. 고용 및 승진과 적극적 평등실현조치 = 74 1. 1979년 WEBER 사건 = 74 가. 사건개요 = 75 나. 판결요지 = 76 2. 1986년 SHEET METAL WORKERS 사건 = 79 가. 사건개요 = 80 나. 판결요지 = 81 3. 1986년 CLEVELAND 사건 = 84 가. 사건개요 = 84 나. 판결요지 = 86 4. 1987년 PARADISE 사건 = 88 가. 사건개요 = 88 나. 판결요지 = 90 5. 1987년 JOHNSON = 93 가. 사건개요 = 93 나. 판결요지 = 94 Ⅲ. 해고와 적극적 평등실현조치 = 98 1. 1984년 STOTTS 사건 = 98 가. 사건개요 = 98 나. 판결요지 = 100 2. 1986년 WYGANT 사건 = 102 가. 사건개요 = 102 나. 판결요지 = 103 Ⅳ. 공공사업과 적극적 평등실현조치 = 106 1. 1980년 FULLILOVE 사건 = 106 가. 사건개요 = 106 나. 판결요지 = 108 2. 1989년 CROSON 사건 = 112 가. 사건개요 = 112 나. 판결요지 = 113 3. 1990년 METRO BROADCASTING 사건 = 117 가. 사건개요 = 117 나. 판결요지 = 119 4. 1995년 ADARAND 사건 = 122 가. 사건개요 = 122 나. 판결요지 = 123 Ⅴ. 미국 연방대법원 판례에 대한 종합적 평가 = 127 제2절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에 대한 미국 연방대법원의 합헌성 심사기준 = 131 Ⅰ. 일반적 평등보호원칙에 관한 심사기준 = 131 1. 합리성 심사(rational basis test) = 131 2. 엄격심사(strict scrutiny) = 132 3. 중간단계심사(intermediate standard of review) = 133 Ⅱ.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에 관한 합헌성 심사기준 = 133 1. 인종에 기초한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에 관한 심사기준 = 133 가. 심사기준 정립과정 = 133 나.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에 관한 엄격심사기준의 구체적 내용 = 137 2. 성별에 기초한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에 관한 심사기준 = 147 가. 심사기준의 정립과정 = 147 나.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에 관한 중간단계심사의 구체적 내용 = 149 제4장 한국에서의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의 심사기준의 정립 및 그 구체적 적용 = 153 제1절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의 심사기준 = 153 Ⅰ. 일반적 평등원칙에 관한 합헌성 심사기준 = 153 1. 평등심사의 구조 = 153 가. 본질적 차별대우의 확인 = 154 나. 헌법적 정당성 심사 = 154 2. 헌법재판소의 평등심사기준 = 155 가. 헌법재판소 판례의 경향 = 156 나. 헌법재판소의 심사기준에 대한 평가 = 160 3. 평등심사기준의 합리화 방안 = 165 가. 평등심사와 입법형성권 = 165 나. 자의금지심사 = 166 다. 비례성심사 = 167 Ⅱ.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에 대한 합헌성 심사기준 = 172 1. 심사기준 정립의 필요성과 전제 = 172 가. 심사기준 정립의 필요성 = 172 나. 심사기준 정립의 전제 : 심사기준의 다양화 = 172 2. 미국 연방대법원 심사기준의 도입가능성과 유의점 = 173 가. 미국 연방대법원 심사기준의 도입가능성 = 173 나. 미국 연방대법원 심사기준의 도입시 유의점 = 175 3.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의 합헌성 심사기준의 정립 = 175 가. 목적의 정당성에 대한 심사 = 176 나. 목적과 수단 간의 비례성에 대한 심사 = 177 제2절 한국의 주요 적극적 평등실현조치 및 우대정책에 대한 검토 = 178 Ⅰ. 여성을 위한 적극적 평등실현조치 및 우대정책 = 178 1. 공무원 양성평등채용목표제 = 178 가. 주요내용 = 178 나. 합헌성 평가 = 181 2. 여성공천할당제 = 182 가. 주요내용 = 182 나. 합헌성 평가 = 184 3.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 186 가. 주요내용 = 186 나. 합헌성 평가 = 190 4. 여성과학기술인 채용목표제와 대학교원 양성평등채용목표제 = 190 가. 주요내용 = 190 나. 합헌성 평가 = 191 Ⅲ. 장애인을 위한 적극적 평등실현조치 및 우대정책 = 192 1. 장애인고용의무제 = 192 가. 주요내용 = 192 나. 합헌성 평가 = 195 2. 기타 장애인에 대한 적극적 조치 = 196 가. 주요내용 = 196 나. 합헌성 평가 = 198 Ⅳ. 지방을 위한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와 우대정책 = 199 1. 지역인재추천채용제 = 199 가. 주요내용 = 199 나. 합헌성 평가 = 201 2. 지방인재채용목표제 = 202 가. 주요내용 = 202 나. 합헌성 평가 = 203 3. 대학입학의 기회균형선발제 = 205 가. 주요내용 = 205 나. 합헌성 평가 = 206 제5장 결론 = 208 참고문헌 = 214 -
dc.language kor -
dc.publisher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dc.title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의 합헌성 심사기준에 관한 연구 -
dc.title.alternative 한국에서의 심사기준의 정립 및 그 적용을 중심으로 -
dc.type Thesis -
dc.date.awarded 2009-02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Jeo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Sang-Goo -
Appears in Collections:
해사법학과 > Thesis
Files in This Item:
000002175759.pdf Download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