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제지슬러지소각재와 광물탄산화 방법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저장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김다미 -
dc.date.accessioned 2017-02-22T06:59:45Z -
dc.date.available 2017-02-22T06:59:45Z -
dc.date.issued 2016 -
dc.date.submitted 57097-01-20 -
dc.identifier.uri http://kmo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232455 ko_KR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10117 -
dc.description.abstract 광물탄산화는 이산화탄소를 칼슘, 마그네슘 등을 함유한 금속산화물과 반응시켜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광물탄산화 방법으로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기 위해 알칼리성 산업부산물인 제지슬러지소각재(PSA)를 원료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염산, 아세트산, 염화암모늄, 아세트산암모늄, 구연산나트륨, 물의 다양한 용제와 PSA를 반응시켜 간접탄산화 방법으로 이산화탄소를 저장하였고, 해수와 PSA를 반응시켜 직접탄산화 방법으로 이산화탄소를 저장하였다. 간접탄산화 방법의 경우 용출반응과 탄산화반응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최적의 반응 조건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산화탄소 저장 효율을 높이기 위해 알칼리 처리 또는 탄산화반응 시간을 조절하였다. 직접탄산화 방법의 경우 다양한 실험을 통해 해수와 PSA를 이용한 직접탄산화 반응의 최적 용매의 양(해수와 PSA의 혼합비)과 반응시간을 찾았고, PSA를 이용한 직접탄산화 반응에 해수와 초순수를 각각 용매로 사용했을 때의 이산화탄소 저장량을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간접탄산화 방법에서 0.7M 염산을 고액비 2g/50mL로 30분간 반응시켰을 때 PSA로부터 최대 54.1%의 칼슘이 용출되었다. 그리고 용출 실험을 통해 도출한 조건에서 아세트산과 PSA를 반응시켜 얻은 용출액에 수산화나트륨으로 알칼리 처리 후 탄산화 했을 때 최대 324kg CO2/ton PSA를 저장할 수 있었다. 한편, 직접탄산화 방법에서 해수와 PSA의 적정 비율은 20g/100mL이었고, 최적 탄산화 반응 시간은 2시간이었다. 위 조건에서 해수와 PSA가 혼합된 슬러리를 탄산화 했을 때 최대 113kg CO2/ton PSA를 저장하였다. 간접탄산화 후 회수한 고체는 일부 불순물을 제외하고 대부분 Calcite 형태의 고순도 탄산칼슘이었으며, 직접탄산화 후 회수한 고체는 Calcite 형태의 탄산칼슘과 소량의 탄산마그네슘을 포함하고 있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Chapter 1. Introduction 1.1 Concept of mineral carbonation 1 1.2 Mineral carbonation using industrial waste 3 1.3 International research trend 11 1.3.1 Slag 11 1.3.1.1 Direct carbonation 11 1.3.1.2 Indirect carbonation 13 1.3.2 Cement wastes 16 1.3.2.1 Direct carbonation 16 1.3.2.2 Indirect carbonation 17 1.3.3 Fly ash 17 1.3.3.1 Direct carbonation 18 1.3.3.2 Indirect carbonation 19 1.3.4 Others 19 1.4 Domestic research trend 21 1.4.1 Slag 21 1.4.2 Cement wastes 23 1.4.3 Fly ash 25 1.4.4 Others 25 Chapter 2. Indirect carbonation using various solvents 2.1 Materials and Methods 28 2.1.1 Materials 28 2.1.2 Methods 29 2.1.2.1 Analysis of PSA 29 2.1.2.2 Extraction experiment 29 2.1.2.3 Carbonation experiment using calcium filtrate - extracted with acid 30 2.1.2.4 Carbonation experiment using calcium filtrate - extracted with ammonium salts 31 2.1.2.5 Carbonation experiment using calcium filtrate - extracted with other solvents 31 2.1.2.6 Analysis of recovered solid 32 2.2 Results and Discussion 33 2.2.1 Analysis of PSA 33 2.2.2 Extraction experiment 34 2.2.3 Carbonation experiment using calcium filtrate - extracted with acid 36 2.2.4 Carbonation experiment using calcium filtrate - extracted with ammonium salts 37 2.2.5 Carbonation experiment using calcium filtrate - extracted with other solvents 40 2.2.6 Analysis of recovered solid 42 2.3 Conclusion 45 Chapter 3. Direct carbonation using sea water 3.1 Materials and Methods 50 3.1.1 Analysis of sea water and PSA 50 3.1.2 Carbonation experiment 50 3.1.2.1 Sea water content determination 51 3.1.2.2 Reaction time determination 51 3.1.2.3 Carbonation experiment using sea water and ultrapure water 52 3.2 Results and Discussion 52 3.2.1 Analysis of sea water and PSA 52 3.2.2 Carbonation experiment 55 3.2.2.1 Sea water content determination 55 3.2.2.2 Reaction time determination 57 3.2.2.3 Carbonation experiment using sea water and ultrapure water 58 3.3 Conclusion 61 Chapter 4. Comprehensive conclusion Reference 65 Acknowledgements 72 -
dc.language eng -
dc.publisher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과학기술전문대학원 -
dc.title 제지슬러지소각재와 광물탄산화 방법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저장 연구 -
dc.title.alternative Study on carbon dioxide storage using paper sludge ash through mineral carbonation -
dc.type Thesis -
dc.date.awarded 2016-02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Kim Dami -
Appears in Collections:
해양과학기술융합학과 > Thesis
Files in This Item:
000002232455.pdf Download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