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중국 중부굴기 10년의 성과와 과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SHIYING -
dc.date.accessioned 2017-02-22T07:02:55Z -
dc.date.available 2017-02-22T07:02:55Z -
dc.date.issued 2016 -
dc.date.submitted 57098-06-03 -
dc.identifier.uri http://kmo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300004 ko_KR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10190 -
dc.description.abstract 이 논문은 중국의 중부굴기전략 실시 이후 10년간의 성과를 중부지역이 얼마나 경제발전을 달성했는가 하는 측면과 다른 지역, 특히 동부지역과의 경제적 격차가 어떻게 변화했나 하는 두 가지 시각을 통해 분석해 본 것이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경제성장, 공업화, 주민소득이라는 3가지 경제적 지표를 사용하였다. 먼저 중부굴기전략 실시 이후 10년 동안의 경제발전 성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성장의 지표로서 사용한 지역 GDP와 지역의 1인당 GDP 및 재정수입의 측면을 고찰 본 결과, 중부지역은 지난 10년 동안 굴기전략의 성과로 인해 전국 평균보다 빠르게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부지역의 GDP는 2005년 37,411억 위안에서 2014년 138,671억 위안으로 증가했으며 연평균 약 11.9% 성장했는데, 이는 전국의 경우보다 2.6%p 높은 것이다. 1인당 GDP는 같은 기간 10,635위안에서 38,106위안으로 전국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재정수입은 같은 기간 2,264억 위안에서 13,485억 위안으로 증가했으며, 연평균 22.5%로 전국평균보다 4.1%p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업화의 성과지표로서 사용한 공업 부가가치, 산업구조의 변화 및 고정자산투자를 고찰해 보았다. 중부지역의 공업 부가가치는 2005년 13,828억 위안에서 2014년 60,622억 위안으로 증가했으며 연평균 성장률은 18.4%로 전국의 경우보다 8.3%p 높게 나타났다. 산업구조는 1차 산업이 하락하고 2차, 3차 산업이 증가하였다. 고정자산투자는 2005년 16,147억 위안에서 2014년 124,112억 위안으로 증가했으며, 연평균 성장률은 28.1%로 전국의 경우보다 4.9%p 높게 나타났다. 셋째, 주민의 소득수준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서 중부지역의 도시와 농촌주민 1인당 평균 소득 및 소비수준을 고찰해 보았다. 도시주민 소득의 경우 2005년 8,831위안에서 2014년 24,838위안으로 상승했으며, 연평균 성장률은 12.2%로 전국의 경우보다 0.1%p 높게 나타났다. 농촌주민 소득의 경우 2005년 2,981위안에서 2014년 9,861위안으로 증가했으며 연평균 성장률은 13.8%로 전국의 경우보다 0.2%p 높게 나타났다. 주민 사회소비재 총매출액으로 주민소득수준은 2005년 13,274억 위안에서 2014년 56,146억 위안으로 증가했으며 연평균 성장률은 17.7%로 전국의 경우보다 1.3%p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중부굴기전략 실시 이후 10년 동안 지역 간 경제격차를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GDP 변화를 보면 동·중부지역이 전국에서 점하는 비중의 격차는 2005년 39.1%에서 2014년의 33.3%로 5.8%p 줄어들었다. 중부지역의 1인당 GDP가 동부지역에서 점하는 비중은 2005년의 38.8%에서 2014년 52.6%로 13.8%p 증가하였다. 동·중부지역의 재정수입이 전국에서 점하는 비중의 격차는 2005년 21.1%에서 2014년 19.5%로 1.6%p 약간 줄어들었다. 둘째, 공업화 수준격차를 고찰해 보면, 동·중부지역이 전국에서 점하는 공업 부가가치 비중은 2005년 45.0%에서 2014년 36.8%로 8.2%p 줄어들었다. 산업구조의 경우 중부지역은 동부지역에 비해 산업구조의 고도화과정이 뒤떨어져 있지만 2011년도를 기점으로 하여 동부지역과 같이 1차, 2차 산업의 비중이 줄어들고 3차 산업의 비중이 늘어나는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고정자산투자총액은 동·중부지역이 전국에서 점하는 비중의 격차는 2005년 33.2%에서 2014년 16.1%로 17.1%p 줄어들었다. 셋째, 주민생활 수준 격차를 보면 도시주민 소득의 경우 동부지역 대비 중부지역의 소득비중은 2005년 66.6%에서 2014년 72.1%로 5.5%p 증가했으며, 농촌소득의 경우는 2005년 58.2%에서 2014년 65.9%로 7.7%p 증가했다. 사회소비재 총매출액의 경우 동·중부지역이 전국에서 점하는 비중의 격차는 2005년 34.9%에서 2014년 31.2%로 3.7%p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보면, 먼저 중부지역의 경제지표는 중부굴기전략 실시 이후 10년 동안 전반적으로 중국의 평균치를 상회하고 있기 때문에 중부굴기전략이 중부지역의 경제발전에 크게 기여해 왔다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고찰한 세 가지 지표 즉 경제성장, 공업화, 주민수입의 측면에서 고찰해 보아도 중부굴기전략 실시 이후 동부지역과의 격차가 줄어들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향후 중부굴기전략이 본 괘도에 올라가면서 동부지역과 중부지역의 경제적 격차는 서서히 줄어들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List of Tables iii List of Figures iv Abstract v 1. 서 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2. 중부굴기전략의 성립배경과 추진과정 4 2.1 중부굴기전략의 성립배경 4 2.2 중부굴기전략의 추진과정 6 3. 중부굴기전략의 주요내용 및 기본개황 8 3.1 중부굴기전략의 주요내용 8 3.2 중부지역 각 성의 기본개황 10 3.2.1 산서성의 기본개황 13 3.2.2 안휘성의 기본개황 14 3.2.3 강서성의 기본개황 15 3.2.4 하남성의 기본개황 16 3.2.5 호북성의 기본개황 16 3.2.6 호남성의 기본개황 17 4. 중부굴기전략 10년의 경제적 성과와 발전격차 19 4.1 선행연구와 분석방법 19 4.1.1 선행연구 19 4.1.2 분석방법 20 4.2 중부지역의 경제적 성과 22 4.2.1 경제성장 22 4.2.1.1 지역의 GDP 22 4.2.1.2 지역의 1인당 GDP 24 4.2.1.3 지역의 재정수입 26 4.2.2 공업화의 추이와 발전추세 27 4.2.2.1 공업 부가가치 27 4.2.2.2 산업구조변화 29 4.2.2.3 고정자산투자 31 4.2.3 주민생활 수준 32 4.2.3.1 주민소득 수준 32 4.2.3.2 주민소비 수준 35 4.3 동·중부 지역 간 발전 격차 36 4.3.1 지역 간 경제성장 격차 37 4.3.1.1 지역의 GDP 성장 격차 37 4.3.1.2 1인당 GDP 지역 격차 39 4.3.1.3 재정수입의 지역 격차 40 4.3.2 지역 간 공업화 수준격차 41 4.3.2.1 공업 부가가치의 지역 격차 41 4.3.2.2 산업구조변화의 지역 격차 43 4.3.2.3 고정자산투자의 지역 격차 45 4.3.3 지역 간 주민생활수준 격차 47 4.3.3.1 도시주민의 소득 격차 47 4.3.3.2 농촌주민의 소득 격차 48 4.3.3.3 주민 소비수준의 격차 49 5. 결론 및 평가 52 참고문헌 56 -
dc.language kor -
dc.publisher 한국해양대학교 통상행정학과 -
dc.title 중국 중부굴기 10년의 성과와 과제 -
dc.title.alternative A Study on the Development Strategy of Central China: Decade Achievements and Problems -
dc.type Thesis -
dc.date.awarded 2016-08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石瑩 -
Appears in Collections:
통상행정학과 > Thesis
Files in This Item:
000002300004.pdf Download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