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체계적 해양교통안전관리를 위한 현장 인적자원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김수옥 -
dc.date.accessioned 2017-02-22T07:06:55Z -
dc.date.available 2017-02-22T07:06:55Z -
dc.date.issued 2016 -
dc.date.submitted 57098-06-10 -
dc.identifier.uri http://kmo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304511 ko_KR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10285 -
dc.description.abstract Study on the Design of Field Human Resources system for systematic Maritime Kim, Su Ok Department of Coast Guards Studies Graduate School of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Abstract After sinking 'sewol'(April, 2014) the Korea Coast Guard, back on the tradition of 60 years, was dismantled and reorganized to the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according to the President declaration(May, 2014) and amendment of the Government Act(November, 2014). For that reason, KCG investigation-jurisdiction is been reduced to incidents of sea. And then unclear definitions of the KCG's incidents jurisdiction, KNPA and KCG conflict of that. Such blank of maritime security orders, the number of maritime crimes arrest showed 75% reduction and Korea-Sea fell placed in the illegal blind spot. Because of KCG dismantling, KCG member's fraud fell to the ground and confused their characteristics and mission neither police nor fire. In this regard, I proceed the Study on the Re-establishment of Roles of Maritime Police adapted by Hansung Univ. Research- results. I want that KCG's professional investigation is secured and to restore the trust of citizens to KCG by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the rescue and emergency at sea. KEY WORDS: KCG, Maritime security, Rescue and emergency at sea, Illegal blind sopt, Re-establishment of roles of maritime police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목 차 표 차례 3 그림 차례 5 Abstract 6 제 1 장 서 론 7 1.1 연구배경 및 목적 7 1.2 연구범위 및 방법 8 제 2 장 해양경찰의 연혁 및 현황 9 2.1. 해양경찰의 연혁 9 2.2 해양경찰 현황 9 제 3 장 해양경찰의 주요 임무 16 3.1 해양경찰의 임무 16 3.2 해양경찰 임무의 법적근거 17 3.3 해양경찰 경비함정의 주요 임무 21 3.4 해양경비안전센터의 주요 임무 24 3.5 해양 관련 수사 관할 해외 사례 26 제 4 장 해양치안 및 해양안전 시스템의 문제점 40 4.1 수사관할권 이관으로 인한 수사공백 발생 40 4.2 조직 정체성 확립을 위한 노력 부족 42 4.3 경비함정 상황대응 필요인원 산출 미비 42 4.4 해양경비안전센터 즉시 동원 가능한 구조자원 부족 43 4.5 다중이용선박에 대한 관리권한 이원화 44 4.6 구조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훈련 체계 미흡 45 제 5 장 해양경찰 역할 재정립 방안 47 5.1 해양경찰관 역할 재정립에 관한 인식도 조사 47 5.2 수사관할권 재조정 필요 57 5.3 조직 정체성 확립을 위한 제도정비 59 5.4 경비함정 톤급별 표준 정원 마련 필요 60 5.5 해양경비안전센터 구조자원 확보와 효율적 관리 80 5.6 다중이용선박 안전관리 강화 84 5.7 구조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훈련 체계 개선 85 제 6 장 결 론 90 감사의 글 92 참고문헌 93 표 차례 표 1 해양경찰청 인력현황(2013년) 8 표 2 해양경찰청 인력현황(2015년) 9 표 3 연도별 예산변화 추이 11 표 4 연도별 함정도입 현황 12 표 5 기존 순찰정 및 신형 연안구조정 비교 13 표 6 해양경찰 경비 관할해역별 범위 16 표 7 해양경찰 임무수행 관련 국내외 법적근거 16 표 8 해양경찰 경비함정별 경찰관 정・현원 19 표 9 정박함정 표준 일과표 21 표 10 상황대기관 및 상황대기자 임무 22 표 11 안전센터․출장소 현황 23 표 12 안전센터․출장소 인력 현황(’15. 10월 기준) 23 표 13 안전센터장 및 행정팀장, 순찰팀장 임무 24 표 14 일본 해상보안청법 개정(조문 번역문) 30 표 15 USCG 범죄수사요원의 법집행 권한(미 연방법 제14장 95조) 33 표 16 해상치안기관 비교 36 표 17 해양범죄 발생 현황 비교 38 표 18 인권유린사범 검거현황 39 표 19 업무만족도 구성요소 46 표 20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7 표 21 구성변인의 신뢰도 검증 결과 48 표 22 직무사항에 대한 평가 48 표 23 업무사항 평가의 조사대상자 특성별 비교 50 표 24 인력에 대한 평가 51 표 25 인력평가의 조사대상자 특성별 비교 52 표 26 근무환경에 대한 평가 53 표 27 근무환경 평가의 조사대상자 특성별 비교 54 표 28 2016년 경비함정 정원 조정 결과 59 표 29 선박 침몰 60 표 30 화재사고 63 표 31 선박좌초 66 표 32 선박침수 69 표 33 해양오염 73 표 34 선박화재사고 75 표 35 해양경비안전센터 추진과제 및 추진내용 79 표 36 해양경비안전센터 임무 재정립 방안 80 표 37 2016년 해양경비안전교육원 교육운영 계획 85 표 38 2016년 해양경비안전교육원 교육과정 비교표 86 -
dc.language kor -
dc.publisher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dc.title 체계적 해양교통안전관리를 위한 현장 인적자원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
dc.type Thesis -
dc.date.awarded 2016-08 -
Appears in Collections:
해양경찰학과 > Thesis
Files in This Item:
000002304511.pdf Download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