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합리적인 강교량 공사비 산정을 위한 비교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강지윤 -
dc.date.accessioned 2017-02-22T07:18:06Z -
dc.date.available 2017-02-22T07:18:06Z -
dc.date.issued 2005 -
dc.date.submitted 56823-03-29 -
dc.identifier.uri http://kmo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176220 ko_KR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10598 -
dc.description.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강교량 제작에서의 공수 산정 합리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국내의 표준제작공수 변동추이를 조사하고 분석하였으며, 또 몇 개의 교량을 대상으로 국내와 일본의 품셈기준을 적용하여 제작공수를 산정하고 교량별 제작공수를 비교하였다. 국내의 강교량 제작 품셈 규정은 상형이 1999년, 그 이외의 판형이나 트러스 등은 1994년 이후 개정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국내와 일본의 제작공수 산정에 있어서 국내의 제작공수 산정방식은 교량의 형식과 강종에 따라 정해진 제작공수에 대상 교량 중량을 곱하여 산출하나, 일본의 산출방식은 부재의 수량이나 종류, 용접 방식 등의 교량 특성에 따른 공수를 산출하므로 동일 형식, 동일 중량의 교량에서도 부재 수량이나 용접 방식이 달라지면 전체 제작공수가 상이하게 산정되는 것으로부터 일본의 산출방식이 교량 특성을 보다 잘 반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제작품 공수 산출방식은 국내 강교량 제작의 자동화 등의 환경변화를 충분하게 반영하고 교량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품셈방식으로 전환되어야만 보다 효율적인 강교량 건설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dc.description.abstract The major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quantity surveying method and reasonable quantity per unit as criteria for the cost estimation of steel bridge construction. This paper investigates the tendency of the modification on the resource quantity per unit in steel bridge construction. In order to evaluate whether Korean criterion on the resource quantity per unit is proper, this research selects sample bridges, applies Korean and Japanese quantity surveying methods to them, and then compare the resource quantities for bridge construction. Korean quantity surveying method is based on types of steel, types of bridge and the weight of the steel. The resource quantity per unit is given as a criterion for each type of steel bridge. As a result, total cost of a bridge is estimated by the total weight of a steel bridge multiplied by its given resource per unit. Japanese quantity surveying method is based on the elements of a bridge. This approach reflects how complex to construct, how to weld the elements, how many elements the bridge has, etc. As a result, even same type of bridges may have different costs. This research founds, so a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a bridge in quantity surveying, the Japanese approach can be an alternative.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ABSTRACT ⅰ 요약 ⅲ 표 목차 ⅵ 그림 목차 ⅸ 1장 서 론 1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1.2 연구 내용 및 범위 2 1.3 연구 목적 3 2장 국내ㆍ외 공사비 구성 현황 4 2.1 국내 공사비 구성 현황 4 2.2 국외 공사비 구성 현황 12 3장 국내ㆍ외 강교량 품셈 16 3.1 국내 강교량 품셈 16 3.2 국외 강교량 품셈 23 3.3 국내ㆍ외 강교량 품셈 비교 분석 34 4장 국내ㆍ외 품셈에 기초한 강교량 공사비 비교 36 4.1 국내 강교량 내역항목 구성 36 4.2 일본 강교량 제작품 구성 38 4.3 국내·외 강교량 제작품 비교 분석 39 4.4 국내ㆍ외 강교량 공사비 비교 분석 61 5장 결론 및 향후 연구 방향 68 참고문헌 70 부 록 72 -
dc.language kor -
dc.publisher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dc.title 합리적인 강교량 공사비 산정을 위한 비교 연구 -
dc.title.alternative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Resource Quantity Per Unit for Steel Bridge Construction -
dc.type Thesis -
dc.date.awarded 2005-02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Kang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Ji - Yoon -
Appears in Collections:
토목환경공학과 > Thesis
Files in This Item:
000002176220.pdf Download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