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부 동중국해 해수의 부유 물질 내 C37 알케논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이경은 | - |
dc.contributor.author | 고태욱 | - |
dc.date.accessioned | 2019-12-16T02:51:26Z | - |
dc.date.available | 2019-12-16T02:51:26Z | - |
dc.date.issued | 2018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11630 | - |
dc.identifier.uri | http://kmo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013316 | - |
dc.description.abstract | 동중국해 북부의 과거 표층 수온의 프록시로써 C37 알케논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북부 동중국해 해수의 부유물질 내 C37 알케논 농도의 시간과 공간에 따른 변화를 조사하였다. 국립수산과학원에서 2007부터 2010년까지 실시한 동중국해 탐사에 참여하여 해수 시료를 채취하였다. 계절에 따른 알케논 농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매년 3개월 간격으로 채수하였다. 연구지역에서 알케논은 연중 합성되었으며 5월에 일시적으로 그 농도가 증가하였다. 표층 해수 시료의 알케논 복원 온도는 대체로 실측온도와 일치하였다. 알케논 농도의 수직분포를 보면 알케논이 주로 합성되는 수심은 표층부터 수심 20 m구간으로 이는 표층 혼합층에 해당한다. 이러한 결과들은 대륙붕지역에서 해양 퇴적물로부터 복원된 알케논 온도가 연평균 표층수온을 반영하는 것과 일치한다. 알케논 농도를 일차생산량의 프록시로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클로로필-a의 계절에 따른 농도변화와 알케논 농도의 계절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지역에서 클로로필-a의 농도와 알케논 농도는 서로 반대되는 양상을 보였고 이는 이지역의 주요 일차생산자가 석회비늘편모조류가 아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동중국해 북부지역에서 일차생산성의 프록시로 알케논 농도를 사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석회비늘편모조류의 개체 수와 비교하였을 때 알케논 농도는 착편모조류의 생산성 프록시로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long chain (C37) alkenones in suspended material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ECS) were investigate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using the degree of unsaturation of alkenones as a proxy for sea surface temperature (SST) and total C37 alkenone concentration as a proxy for marine primary productivity. Sea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three-month intervals (February, May, August and November) during 2007-2010. The results showed that alkenones were synthesized throughout a year, with peaks in May. Alkenone temperatures corresponded to in situ temperatures.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alkenone concentration showed that the alkenone production depth is the surface mixed layer (0-20 m).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lkenone temperatures from marine sediments on the continental shelf most likely reflect the annual average SST. No clear inferences could be made on the influence of nutrients and salinity on the alkenone temperature in this area. Seasonal changes in alkenone concentration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hlorophyll-a concentration to investigate the suitability of using alkenone concentration as a productivity proxy. Where the chlorophyll-a concentration was high, the alkenone concentration was low, and vice versa, because the main primary producer was not coccolithophores. Therefore, it is not appropriate to use alkenone concentration as a primary productivity proxy in the ECS. However, comparisons to coccolithophore abundances show that it can be used as a haptophyte productivity proxy in this area.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List of Figures ⅳ List of Appendix ⅵ Abstract ⅶ 1. Introduction 1 2. Materials and methods 2.1 Study area 4 2.2 Sampling 6 2.3 Alkenone analysis 7 3. Results 3.1 Surface seawater 9 3.2 Subsurface seawater 14 4. Discussion 4.1 Alkenone unsaturation index as a temperature proxy 17 4.2 Alkenone concentration as a productivity proxy 21 5. Conclusions 25 Acknowledgement 26 References 27 | - |
dc.language | eng | - |
dc.publisher |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과학기술전문대학원 | - |
dc.rights | 한국해양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북부 동중국해 해수의 부유 물질 내 C37 알케논 | - |
dc.type | Dissertation | - |
dc.date.awarded | 2018-02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Tae Wook Ko | - |
dc.contributor.department | 해양과학기술전문대학원 해양과학기술융합학과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과학기술전문대학원 해양과학기술융합학과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subject.keyword | 해수 표층 수온, 과거온도지시자, 생산성, 입자성 유기물질, Emiliania huxleyi | - |
dc.title.translated | Long chain (C37) alkenones in suspended material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 - |
dc.contributor.specialty | 해양기후분야 | - |
dc.identifier.holdings | 000000001979▲200000000139▲200000013316▲ | -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