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S-100 묘화 단계를 따른 선저여유수심 관리 데이터모델의 구현 및 S-52/S-57 해도 기반 디스플레이 실험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이서정 -
dc.contributor.author 문창호 -
dc.date.accessioned 2019-12-16T02:51:39Z -
dc.date.available 2019-12-16T02:51:39Z -
dc.date.issued 2018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11634 -
dc.identifier.uri http://kmo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013458 -
dc.description.abstract S-100, the next generation electronic chart standard, will be used as the Common Maritime Data Structure(CMDS) in e-Navigation and various product specifications based on S-100 are under development. Under Keel Clearance Management(UKCM) is included in the S-100 series as S-129, and the project team is working on development of product specification. In this paper, we perform the portrayal process of the S-100 standard for data model defined by the S-129 project team. Through the portrayal process, the data encoding of UKCM data is performed, and drawing instructions and related documents are generated. In order to test the results of the portrayal process, we implemented a software module that can render the UKCM model on the S-52/S-57 based chart. Then,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portrayal scenarios of the project team and the result screen of software module.|차세대 전자해도 표준인 S-100은 이네비게이션 체계에서 공통 해사 데이터 구조로 활용될 예정이며 S-100 기반의 다양한 제품사양들이 개발 중이다. 선저여유수심관리는 S-129로 S-100 시리즈에 포함되었으며 프로젝트팀에서 제품사양 개발을 위한 활동을 진행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선저여유수심관리 프로젝트팀에서 정의한 데이터 모델을 기반으로 S-100 표준의 묘화 단계를 수행한다. 묘화 단계를 통해 선저여유수심 데이터의 인코딩 과정을 수행하고 드로잉 명령집합과 관련 문서들이 생성된다. 묘화 단계의 결과를 테스트하기 위해 S-52/S-57 기반의 해도에 선저여유수심관리 모델을 표현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구현하였다. 이후 선저여유수심관리 프로젝트팀의 표출 시나리오와 결과화면을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 1 장 서 론 1 제 2 장 관련 연구 2.1 S-100 표준 등장 배경 4 2.2 S-100 표준의 데이터 모델 5 2.3 S-100 표준의 묘화 단계 7 2.4 선저여유수심관리 8 2.4.1 선저여유수심관리 프로젝트팀의 모델링 결과 9 2.4.2 선저여유수심관리 모델의 표출 시나리오 12 제 3 장 S-100 묘화 단계를 따른 선저여유수심관리 데이터 모델의 구현 3.1 개요 15 3.2 데이터 인코딩 17 3.3 묘화 엔진 22 3.3.1 입력문서 23 3.3.2 XSLT 처리 과정 25 3.3.3 묘화 라이브러리와 묘화 카탈로그 28 3.4 드로잉 명령 집합 31 3.4.1 드로잉 명령 33 3.4.2 선 명령 35 3.4.3 면 명령 36 3.4.4 점 명령 37 3.4.5 텍스트 명령 38 제 4 장 S-52/S-57 해도 기반 디스플레이 실험 4.1 S-52/S-57 기반 전자해도 40 4.2 S129Viewer 41 4.3 실험 및 결과 45 제 5 장 결론 및 향후 연구 50 감사의 글 51 참고문헌 52 부록 A 선저여유수심관리 테스트 데이터 54 부록 B 선저여유수심관리 테스트 드로잉 명령 집합 58 -
dc.language kor -
dc.publisher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dc.rights 한국해양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dc.title S-100 묘화 단계를 따른 선저여유수심 관리 데이터모델의 구현 및 S-52/S-57 해도 기반 디스플레이 실험 -
dc.type Dissertation -
dc.date.awarded 2018-02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Mun, Changho -
dc.contributor.department 대학원 컴퓨터공학과 -
dc.contributor.affiliation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컴퓨터공학과 -
dc.description.degree Master -
dc.subject.keyword 선저여유수심관리, 묘화 단계, 드로잉명령집합, S100 -
dc.title.translated Implementation of a Data Model for S-129 Under Keel Clearance Management and Display Test on S-52/S-57 SENC -
dc.identifier.holdings 000000001979▲200000000139▲200000013458▲ -
Appears in Collections:
컴퓨터공학과 > Thesis
Files in This Item:
S-100 묘화 단계를 따른 선저여유수심 관리 데이터모델의 구현 및 S-52/S-57 해도 기반 디스플레이 실험.pdf Download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