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verification of the fire-fighting drills and the standardized response procedures (scenarios) are necessary because the magnitude of the damage may vary greatly depending on the initial fire-fighting action, level of crew fire-fighting drill and captain’s appropriate situation judgment when a fire occurs on ship isolated at sea.
Through analysis of the status of fire accidents at sea, investigation for ship’s Engine room that has the highest fire accident occurrence rate at sea, analysis about disaster characteristics and reason of fire is performed.
The identification of current status whether the fire-fighting drills have been conducted at a satisfactory level on ship and the examination of the fire-fighting scenarios deployed and used by fleet of shipping companies are performed to analyze the limitation.
And we analyzed current fire-fighting response status of crew on ship through the crew’s awareness survey on the fire response system in operation on each ships.
By derivation of the time required for gathering crew members to muster station and fire scene and the time for wearing fire-fighter’s outfit through experiment using a training ship and analysis of actual ship’s drawings, the level of fire spread when fire-fighters arrived on fire scene is deduced. And we judge extinguishment availability by crew in the Engine room by the calculation of fire-fighter’s travel time depending on the place; on flat ground, stairs and hydraulic pressure acts on fire hose within the fire scene, and through the estimate allowable time for fire-fighting by crew.
To compare with the time fire-fighters can arrive at fire scene and fire spread level over time, we develop standard fire-fighting response scenarios and propose situational minimum required time to provide a basis to stop extinguishing by crew and decide the time to operate fixed extinguishing equipment at the discretion of the captain.
Chapter 1 for general information, In chapter 2, the need for this study is describ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esent situation of fire accidents on ship in Korea and disaster characteristics, causes, specificities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fire on ship.
In chapter 3, the present situation and limitations of fire-fighting drill scenarios of each vessels are investiga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crew’s awareness of fire-fighting drills was reviewed and the problems of current training and scenarios are analyzed.
In chapter 4, the time required for the fire-fighters to perform the fire-fighting work was calculated through the movement speed experiment of the crew using the training ship and the analysis of each vessels’ drawings.|고립된 해상의 선박에서 화재 발생 시 선원 초기 화재 대응, 소화 훈련 상태, 선장의 상황 판단 등에 따라 피해의 크기는 크게 달라질 수 있으므로 소화 훈련 방식에 대한 검증과 표준화된 행동절차서(시나리오)가 필요하다.
화재 사고의 현황 분석을 통해 선박에서 가장 화재 발생 비율이 높은 장소인 기관실 화재 사고 사례를 조사하고 화재의 재해 특성과 원인에 대해 분석한다.
실선에서 소화 훈련이 만족스러운 수준으로 시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해운회사에서 선대에 배포하여 사용하고 있는 소화 훈련 시나리오를 검토하여 그 한계성을 분석하며, 각 선박에서 시행 중인 화재 대응 시스템에 대한 승무원들의 인식 조사를 통해 현재 선박에서의 화재 대응 현황을 분석한다.
실습선을 활용한 실험과 크기‧선종 별 실선 도면 분석을 통해 비상 신호 발령 시 승무원들의 집결 소요 시간 및 화재 현장 도착 시간과 소방원장구 착용 시간을 도출하고 소방원이 화재 현장 도착 시의 화재 확산 정도를 밝힌다. 또한 화재 현장 내에서 평지, 계단, 소화호스의 수압 작용 여부 등에 따른 소방원의 이동 시간을 계산하고 순수 승무원에 의한 수소화 작업 가능 허용 시간을 추산하여 기관실 화재 시에 승무원에 의한 소화 가능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
선장의 판단에 따라 승무원에 의한 소화 작업을 중지하고 고정식 소화 장치를 이용할 시점을 판단할 수 있는 기반을 제시하기 위해 실제 소방원이 현장에 도착할 수 있는 시간과 시간에 따른 화재 확산 정도를 비교할 수 있도록 표준 화재 대응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각 상황별 최소 필요 시간을 제안한다.
이 연구의 제 1장에서는 일반 사항을, 제 2장에서는 우리나라 선박 화재 사고의 현황을 분석하고 재해 특성, 원인, 특이성 및 선박 화재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여 이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 3장에서는 실선에서의 소화 훈련 시나리오 사용 현황과 그 한계성을 조사하였고, 설문 조사를 통해 소화 훈련에 대한 승무원의 인식을 검토하여 현재 시행되고 있는 훈련 및 시나리오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제 4장에서는 실습선을 활용한 승무원의 이동 속도 실험과 실선 도면 분석을 통해 소방원이 수소화작업을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계산하였다. 이를 통해 기관실 화재의 크기를 추정하고 수소화 가능 여부를 판단하였고 표준 소화 훈련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