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부산 지역 선용품 산업 활성화를 위한 업체들의 인식차이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김율성 -
dc.contributor.author 김유석 -
dc.date.accessioned 2019-12-16T02:54:59Z -
dc.date.available 2019-12-16T02:54:59Z -
dc.date.issued 2018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11692 -
dc.identifier.uri http://kmo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017408 -
dc.description.abstract 세계 선용품산업은 지난 30여년간 크게 변모하였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한 국가내에서 거래 및 경쟁이 이루어져 왔던 선용품 산업이 세계적 차원으로 확대된 글로벌 산업으로 그 영업 영역이 확장되었고, 국내를 주요 대상으로 하는 사업이 글로벌 차원의 사업으로, 특정 국가내의 선용품 기업이 국가 차원을 벗어난 글로벌 기업으로, 인력의존산업이 정보산업으로 변모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선용품산업을 둘러싼 세계적 환경이 위와 같이 다이나믹하게 변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이러한 세계적 변화를 거의 인식하지 못하고 과거의 인식에 머물러오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의 항만관련 산업은 유래 없는 해운업의 장기불황과 국적 선사의 파산 등으로 지극히 어려운 상황에 처하여 있고, 부산지역 선용품 산업의 현황도 다르지 않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본 연구자는 문헌 고찰을 통해 선용품산업의 현황을 분석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다양한 선용품 활성화 대책이 제시되었으나, 그 대안들이 백화점식 나열과 일률적이고 단편적인데 그치고 있다는 아쉬움을 가지고 이에 선용품 설립연도, 창고보유유무, 업체별 매출규모 등의 기업별 특색에 따른 인식차이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 성장단계별 맞춤형 활성화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설립연도나 창고보유유무에 따른 인식은 유의미한 인식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다만 업체별 매출규모에 따른 인식 차이를 찾을 수 있었다. 특히 필요 교육에 대한 수요나 애로요인 및 산업 역량에 대한 인식은 뚜렷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이러한 선용품 기업의 매출규모별 인식차이에 따른 차별화된 맞춤형 지원 전략과 교육훈련, 그리고 선용품 산업을 지원할 정보시스템의 구축을 통한 선용품 산업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
dc.language kor -
dc.publisher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금융물류대학원 -
dc.rights 한국해양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dc.title 부산 지역 선용품 산업 활성화를 위한 업체들의 인식차이 연구 -
dc.type Dissertation -
dc.date.awarded 2018-02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Kim yu seok -
dc.contributor.department 해양금융·물류대학원 항만물류학과 -
dc.contributor.affiliation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금융물류대학원 해운항만물류학과 -
dc.description.degree Master -
dc.subject.keyword 선용품, 선용품 공급업, 맞춤형 육성전략, 인식차이 -
dc.title.translated A Study on Perception Difference of Ship Suppliers for Revitalization of Ship Supply Industry in Busan -
dc.identifier.holdings 000000001979▲200000000139▲200000017408▲ -
Appears in Collections:
항만물류학과 > Thesis
Files in This Item:
부산 지역 선용품 산업 활성화를 위한 업체들의 인식차이 연구.pdf Download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