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수상숙박시설의 공시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김인유 -
dc.contributor.author 조민기 -
dc.date.accessioned 2020-07-20T11:44:43Z -
dc.date.available 2020-07-20T11:44:43Z -
dc.date.issued 2019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12280 -
dc.identifier.uri http://kmo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16872 -
dc.description.abstract 소득이 증가와 더불어 다양한 여가활동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낚시 등 수상에서의 레포츠 활동도 다양화되고 고급화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수상에서의 기구나 구조물들은 다양하게 개발・설치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남해안과 서해안의 낚시객들을 위한 수상펜션이 증가 추세에 있는데 이런 수상펜션을 포함한 새로운 형태의 수상구조물들은 기존 법제에서의 법적 성질이 명확하지 않아 인허가나 건축, 사용 및 재산권 보호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법제 하에서 법적 성질이 불명확하여 재산권을 보호하기 위한 공시제도를 이용할 수 없는 수상숙박시설 대하여 그 법적 성질을 규명하고, 그에 따라 재산권을 보호할 수 있는 관련 법규의 입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수상 숙박시설의 법적 성질 중 선박성을 검토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선박의 정의에 대한 개념의 정립이 필요하다. 그러나 국내에 관련 법제와 판례가 부족하므로 영국과 미국의 법 제도와 판례를 분석하였다. 영·미의 선박 해당 여부를 다투었던 판례들을 분석함으로써 해당 국가의 법제에서 형성된 선박의 정의에 대한 개념과 판단기준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비교법적 분석을 통하여 한국 법제상 선박성 판단기준요소를 제안하며 그 판단기준요소로 용도, 선체의 형태와 구조, 추진・조타・발전・항해설비, 고정의 형태와 성격, 항행 등을 제안하였다. 이 판단기준을 적용하여 분석하여 본 결과 국내의 수상펜션은 선박의 지위를 부여하기에 적합하지 않으며, 또한 민법상 동산의 지위에 불과하며, 건축법상 건축물에 해당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이러한 수상숙박시설의 공시제도에 관하여 국내의 동산과 부동산에 대한 공시제도와 외국의 수상가옥관련 입법례를 검토하였다. 수상가옥이 많이 분포되어 있는 미국의 캘리포니아주와 오리건주에서의 수상가옥의 등록에 대한 입법례와 영국의 등록제도를 검토하였고 이러한 외국 법제가 가지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국내법상 검토된 법적 성질을 가지고 국내 법률을 검토해 본 결과 이러한 수상숙박시설을 등록하고 관리한 행정적 관리체계나 재산법상의 권리를 보호해줄 제도적 장치가 미비하였다. 이에 따라 선박이나 건축물의 지위를 가지지 못하나 재산적 가치를 가진 수상숙박시설에 대하여 행정적 관리와 재산권 보호제도를 위해 “수상숙박시설관리법”의 입법을 제안한다. 본 법률의 주된 내용은 일정규모 이상의 수상숙박시설을 행정청에 등록하여 행정상의 관리와 감독을 가능하게 하고 동시에 구조물에 관련된 권리 관계를 등록하여 이를 효력 발생의 요건으로 하게 함으로써 기존 선박이나 부동산의 등기제도와 같은 공시제도의 역할을 하게 하는 것이다. 또 이 신설법을 근거로「자동차 등 특정동산 저당법」에 “수상숙박시설”을 추가함으로써 저당권을 설정할 수 있도록 법을 개정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이를 통하여 수상숙박시설의 권리 관계가 명확해지고 저당권이나 임차권 등의 여부를 이해관계자가 파악하게 함으로써 금융조달의 불확실성을 제거함으로써 금융을 원활하게 하여 관련 산업을 활성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제1장 서론(연구의 목적, 범위와 방법) 제2장 수상숙박시설의 개념과 현황 제3장 수상숙박시설의 법적 성질 제4장 수상숙박시설의 공시제도 제5장 수상숙박시설의 공시제도 도입을 위한 입법론 제6장 결론 |The demand for a variety of leisure activities is increasing along with the increase in income. Leports activities in the water, including angling, are also diversifying and becoming more advanced, and equipment and structures on the water for these activities are being developed and installed in variously. Among other things, floating pensions for angler on the southern and western coasts are on the rise, and new types of floating structures, including these floating pensions, have many problems with licensing, building, use and protecting property rights as the legal nature in present legal system. Therefore, this paper seeks to identify the legal nature of floating accommodation which is not able to use public notification to protect property rights due to its uncertainty of legal nature under the existing legal system, proposing legislation of relevant laws to protect property rights accordingly. First, reviewed whether the floating accommodation can be categorized as a ship or not. To do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ncept of the definition of a ship. However, due to the lack of relevant laws and precedents in the country, the U.K. and U.S. legal systems and cases were analyzed. By analyzing the precedents of the U.K. and U.S. disputes where the legal status of the ship and related laws were argued, the judgment criteria and concept of the definition of ships formed in the relevant country's legislation were extracted. Through such comparative legal analysis, it is proposed the factors of judgment criteria for determining status as of a ship under the Korean law, such as "purpose", "shape of hull and structure", "propulsion・steering・power generation・navigation equipment", "fixation", "navigation" as the basis factors for its judgment. By applying this judgment criteria and analyzing it, it was confirmed that the floating pension is not suitable for granting the status of ship, but only the status of a movable property under the Civil Act, and is not a building under the Building Act. On the other hand, we reviewed public notification in the Korean legal system and reviewed the registration system for the floating accommodation of overseas countries. The legislation on the registration of water houses in California and Oregon in the U.S., where a considerable number of floating accommodations located, and the registration system in the U.K. were reviewed and the implications of these foreign legislation were put forward. Moreover, as we examine through the current domestic legal system based on the legal status of floating accommodation it was quite confirmed that none of it provides certain administrative measures for registration and managing those facilities, not to mention any property rights protection system in operation. On this study, Accordingly, it is proposed to legislate the “Floating Accommodation Management Act” for administrative management and protection of property rights for floating accommodations that do not have the status of ships or buildings but have property values. The main content of this Act is to enable administrative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floating accommodations larger than a certain size to be registered with the authority, and at the same time, to register all related rights on the structure and make it a requirement for the effectuation of the rights, thereby acting as a public notification system, such as a registration system for existing ships or real properties. Additionally, we suggest letting mortgage be available while they are movable property by adding “Floating Accommodation” at exiting “Act on Mortgage on Motor vehicles and Other Specific movables”. By this, all legal rights including mortgage rights and leasing rights and others attached to the facility shall be clearly notified to any interested parties. Vitalizations of all related industries affected by smoothened financing-mainly due to its removed uncertainty-could also are expected. Chapter Ⅰ.Introduction(Purpose, method and scope of this study). Chapter Ⅱ.Meaning and status of Floating Accommodation Chapter Ⅲ.Legal status of Floating Accommodation. Chapter Ⅳ.Public notification for Floating accommodation Chapter Ⅴ.Suggestion of Legislation for public notification of Floating Accommodation. Chapter Ⅵ.Conclusio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4 1. 연구의 범위 4 2. 연구의 방법 5 제2장 수상숙박시설의 개념과 현황 8 제1절 서설 8 제2절 수상숙박시설의 개념 및 현황 9 1. 수상숙박시설의 개념 9 2. 수상숙박시설의 현황 11 제3절 수상숙박시설의 제도적 한계 15 1. 수상숙박시설의 설치와 이용상의 문제점 15 2. 수상숙박시설의 경제적 이용상의 한계 19 제4절 소결 21 제3장 수상숙박시설의 법적 성질 23 제1절 서설 23 제2절 수상숙박시설의 선박 해당 여부 24 1. 한국법상 선박의 판단기준 24 2. 영・미 법상 선박의 판단기준 29 3. 수상숙박시설의 선박 해당 여부 51 제3절 수상숙박시설의 건축물・부동산 해당 여부 66 1. 한국법상 건축물 및 부동산의 판단기준 66 2. 영・미법상 건축물 및 부동산의 판단기준 68 3. 수상숙박시설의 건축물・부동산 해당 여부 70 제4절 소결 73 제4장 수상숙박시설의 공시제도 75 제1절 서설 75 제2절 한국법상 공시제도 76 1. 부동산 등기법 76 2. 선박등기법 78 3. 선박법 79 4. 어선법 80 5. 수상레저안전법, 건설기계관리법, 자동차관리법, 항공기안전법 82 6. 자동차 등 특정동산 저당법 83 제3절 외국의 입법례 84 1. 미국 캘리포니아주 보건안전법 및 오리건주법 84 2. 영국 내수로법 99 제4절 소결 109 제5장 수상숙박시설의 공시제도 도입을 위한 입법론 112 제1절 서설 112 제2절 기존 제도를 활용한 입법 방안 113 1. 기존 법제상의 분류 및 적용 법률에 대한 검토 113 2. 기존 공시제도에서의 수용 여부 검토 116 제3절 수상숙박시설 공시제도 도입을 위한 법률 제정방안 119 1. 수상숙박시설 등록제도의 도입 120 2. 가칭 “수상숙박시설관리법”의 제정 121 3. 자동차 등 특정동산 저당법의 개정 132 4. 기타 법률적 고려사항 135 제4절 소결 137 제6장 결론 138 참고문헌 141 -
dc.language kor -
dc.publisher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dc.rights 한국해양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dc.title 수상숙박시설의 공시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
dc.type Dissertation -
dc.date.awarded 2019-08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CHO, MinGi -
dc.contributor.department 대학원 해사법학과 -
dc.contributor.affiliation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해사법학과 -
dc.description.degree Doctor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조민기. (2019). 수상숙박시설의 공시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 (), -. -
dc.subject.keyword 수상펜션,공시제도,수상숙박시설,선박의 정의,해상펜션 -
dc.title.translated Study on Introduction of Public Notification System for Floating Accommodation -
dc.identifier.holdings 000000001979▲200000001277▲200000216872▲ -
Appears in Collections:
해운항만물류학과 > Thesis
Files in This Item:
200000216872.pdf Download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