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남해 초대형저서동물의 종 조성 및 분포에 관한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유옥환 | - |
dc.contributor.author | 강수민 | - |
dc.date.accessioned | 2020-07-20T11:45:06Z | - |
dc.date.available | 2020-07-20T11:45:06Z | - |
dc.date.issued | 2019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12298 | - |
dc.identifier.uri | http://kmo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19853 | - |
dc.description.abstract | 우리나라 남해, 제주도 및 이어도 해역은 고온, 고염분의 제주난류, 중국의 양쯔강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저염수와 황해 저층냉수대의 영향을 받는다. 또한 계절에 따른 다양한 수괴 형성으로 인해 다양한 환경변화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다양한 환경 변화가 나타나는 제주도 주변 해역은 높은 생물다양성을 나타내며, 따라서 본 연구 지역의 생물다양성도 높을것으로 생각되어진다. 그러나, 본 연구지역의 저서동물에 관한 연구는 대형저서동물의 종 조성과 군집에 한정되었으며, 초대형저서동물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남해 및 인근 해역의 초대형저서동물의 종 조성 및 분포를 분석하였다. 초대형저서동물은 2015년 6월, 11월 2016년 4월 17개 정점에서 Beam trawl (width:1.0m)을 10분 동안 예인하여 채집되었다. 초대형저서동물은 총 301종이 출현하였으며, 평균서식밀도는 28.7 ind/100 m2, 평균 생체량은 81.1 g/100 m2으로 나타났다. 주요 우점종은(> 1 % of the total density) 지붕거미불가사리(Stegophiura sterea), 버선조개(Mactrinula dolabrata), 호두조개(Acila divaricata), 고둥끈말미잘(Hormathia andersoni)순으로 나타났다. 초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는 깊이에 따라 2015년 6월 3개의 그룹, 2015년 11월 두 개의 그룹으로 나뉘었으며, 2016년 4월 초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는 퇴적물 조성에 따라 두 개의 그룹으로 나뉘었다. 총 종수, 종다양도, 평균 생체량은 남해에 위치한 정점 C3에서 각각 116종, 3.7, 1173 g/100 m2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총 종수, 종다양도, 평균서식밀도는 제주도 남쪽에 위치한 정점 H12에서 각각 5종, 1.3, 1.4 g/100 m2으로 낮게 나타났다. 생물다양성의 차이는 환경요인 중 수심, 자갈 함유량, 분급도에 영향을 받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남해 해역의 해양환경의 변동이 초대형저서동물의 종 조성과 분포 및 다양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The South Sea of Korea is affected by three systems of currents: the high-temperature, high-salinity Jeju Warm Current; the low-salinity Yangtze River discharge flow from China; and the cold-water bottom currents of the Yellow Sea. In addition, seasonal flow differences from various water flows drive environmental variability in these regions. As a result, biodiversity in this study area is assumed to be very high. However, there is no information on the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the megabenthos.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the megabenthos in the South Sea based on environmental factors. Sampling of megabenthos were collected using a Beam trawl for 10 minutes towed at 17 stations in June 2015, November 2015, April 2016. The total number of species, density (ind/100 m2), and biomass (g/100 m2) of megabenthos were 301 species/9900 m2, 28.7 ind/100 m2, and 81.1 g/100 m2, respectively. The dominant species (> 1% of the total density) were Stegophiura sterea (10.4%), and two subtropical species Mactrinula dolabrata (9.0%), and Acila divaricate (8.3%) (bivalve mollusks). Megabenthic community structures in June and November 2015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two groups, respectively, which were affected by water depth. However, in April 2016, megabenthic community was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sediment grain sizw and sorting value (σ). The total numbers of species, diversity and biomass were highest in st. C3 (116 species, 3.7 and 1173 g/100 m2 respectively) and lowest in st. H12 (5 species, 1.3 and 1.4 g/100 m2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factor analysis, the differences in megabenthos community were found to be related to depth, gravel contents, and sorting value (σ). This study suggests that variations in sediment conditions and depth in the South Sea of Korea are important factors controlling at the megabenthos species composition and diversity.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Introduction 1 1.1 Megabenthos 1 1.2 Information of study area 2 1.3 Aims of this study 3 2. Materials and Methods 4 2.1 Collecting samples 4 2.2 Environment analysis 6 2.3 Making images 7 2.4 Data analysis 8 3. Result 9 3.1 Environmental conditions 9 3.2 Diversity of megabenthos 11 3.3 Distribu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megabenthos 35 3.3.1 Species composition 35 3.3.2 Dominant species 38 3.3.3 Community structure 41 4. Discussion 55 4.1 Environmental conditions 55 4.2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biogeography on the megabenthos species in this study area 55 4.3 Impact of environmental conditions on the distribu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the megabenthos 56 감사의 글 60 References 61 | - |
dc.language | eng | - |
dc.publisher |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과학기술전문대학원 | - |
dc.rights | 한국해양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우리나라 남해 초대형저서동물의 종 조성 및 분포에 관한 연구 | - |
dc.type | Dissertation | - |
dc.date.awarded | 2019-08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Su Min Kang | - |
dc.contributor.department | 해양과학기술전문대학원 해양과학기술융합학과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강수민. (2019). 우리나라 남해 초대형저서동물의 종 조성 및 분포에 관한 연구. , (), -. | - |
dc.title.translated | Study of the distribu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the megabenthos in the South Sea of Korea | - |
dc.identifier.holdings | 000000001979▲200000001277▲200000219853▲ | -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