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우리나라 지방자치행정기관의 효율성에 관한 비교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나호수 -
dc.contributor.author 정정복 -
dc.date.accessioned 2020-07-22T04:18:15Z -
dc.date.available 2020-07-22T04:18:15Z -
dc.date.issued 2020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12393 -
dc.identifier.uri http://kmo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83964 -
dc.description.abstract The role of local government is greatly increasing in the age of borderless competition due to globalization. In the case of Korea, since local elections were held in March 1991, local autonomy has been carried out gradually with less central government involvement. With the opening of the local autonomy era, the bigger changes have appeared in local autonomy areas where local people take care of themselves and the inhabitants.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16 metropolitan cities in the context of regional decentralization and further analyzes the efficiency differences among regions.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various variables that affect efficiency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find out whether the economic development being biased toward the metropolitan areas is really efficient and to seek policy implications about balanced increase in efficiency among areas. In sh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iciency differences of metropolitan cities and to seek out their reasons among metropolitan areas in Korea. The input variables are budgets, number of civil servants, the number of sports facilities per 100,000 population, the number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per 100,000 population, the number of community centers., and total population. The output variables are the area sizes and total population of inhabitants. Using input and output variables, we analyzed the efficiency of 16 Korean metropolitan cities for 10 years from 2009 to 2018 Our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chnical efficiencie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0.7 in most metropolitan cities, and Gyeonggi-do, Gangwon-do, and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ere the most efficient metropolitan cities with a technology efficiency value of 1. Pure technology efficiencies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0.9 in most metropolitan cities, and Gyeonggi-do, Gangwon-do, Gyeongsangbuk-do, and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ere the most efficient metropolitan cities with a technology efficiency value of 1. The efficiencies of scale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0.8 in most metropolitan cities, and Gyeonggi-do, Gangwon-do and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s were the most efficient metropolitan cities with the technology efficiency value of 1. Seco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size of the Korean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for 10 years from 2009 to 2018 show that Busan, Incheon, Gwangju, Ulsan, Chungcheongbuk-do, Chungcheongnam-do, Jeollabuk-do, and Gyeongsangnam-do have increased their returns to scales for 10 years(IRS).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echnology efficienc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from 2009 to 2018, the technology efficiency in the eastern part was relatively higher and the metropolitan area showed higher technology efficiency. In addition, the technological efficiency of metropolitan cities were higher, and the technical efficiencies were higher in the municipal government. The pure technology efficiencies in the East were relatively higher, and the metropolitan areas showed lower pure technology efficiencies than the non-metropolitan areas from 2009 to 2013. From 2014, the pure technology efficiencies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higher. The pure technology efficiencies of metropolitan cities were higher, and the municipal government of ruling party showed higher pure technology efficiencie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cale efficiencies, the scale efficiency levels of the eastern areas were higher and the metropolitan areas showed the higher efficiencies. Fourth,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technology efficiency and net technology scale efficiency, the 5% significance level hypothesis testings showed that the technology efficiencies are based on the number of senior citizens, the ratio of elderly people, log (hospital number), and log (environmental facilities). And log (national budgets) showed significant results, and the factors affecting pure technology efficiencies are the location differences between East-West regions, the location differences between the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cities, the difference of major party's and minor's local government, senior population ratios, and log(the number of hospitals).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scale efficiencies were the location differences between East-West regions, the location differences between the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cities, senior population ratios, and log(the number of hospital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were obtained: First, the relative differences of pure technology efficiency among 16 regions in Korea were relatively small, but the efficiency of the scale and the efficiency of the technology showed larger differences among regions. These findings appear to have shown the convergences in the level of operational technology among local governments due to the redistributions of the administrative budgets and the relocation of many administrative bodies from seoul areas to non-seoul areas. Second, in the case of local governments in Korea, if they have the governors of the ruling party, they have significant impacts on efficiency gains. In terms of technological efficiency and pure technology efficiency, the efficiency gaps among local governments of the ruling party and non-ruling party appear to show ruling party's premiums, especially in terms of national butgets disributions among regions. Third, the higher the ratio of senior citizens, the less efficient they are. It has shown that it is effective to reduce the non-productive population ratios in terms of technical efficiency, pure technology efficiency, and scale efficiency. These results implies that the higher welfare demands for elderly population have trade-off relationships against regional efficiency levels. Also this means that regional growths and technical progresses are closely related to increasing production-oriented people's ratios and decreasing consumption-oriented people's ratios.|세계화로 인한 국경 없는 무한경쟁 시대에 지방정부의 역할이 크게 신장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91년 3월 민선지방자치가 실시된 이후 지방자치는 일정수준에서 중앙정부의 관여를 받지 않고 자율적으로 행정을 수행하고 있다. 지방자치시대가 열리면서 가장 큰 변화는 지역주민들이 스스로 일을 자율적으로 처리하고 주민이 중심이 되는 지방자치로 중심이 바뀌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분권화가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16개 광역시 및 도의 현황을 분석하고 나아가 생산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1인당 GDP를 중심으로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1인당 GDP를 산출로 한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을 찾아내고, 그 영향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수도권에 치우쳐진 경제발전이 정말 효율적인지를 파악하고 균형 잡힌 자치정부의 효율성 증대를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 광역시 및 각도별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해 투입변수로 예산, 공무원 수, 시군구 수, 인구10만 명당 체육시설 수, 인구10만 명당 사회복지시설 수, 주민센터 수를, 산출변수로 총면적과 총인구수를 사용하였다. 투입 및 산출변수를 이용하여 2009년부터 2018년까지 10년간 대한민국 16개 광역시 및 각도의 효율성을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기술효율성은 대부분 광역시도에서 0.7이상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경기도, 강원도, 제주특별자치도가 기술효율성 값이 1로 가장 효율적인 광역시도였다. 순기술효율성은 대부분 광역시도에서 0.9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경기도, 강원도, 경상북도, 제주특별자치도가 순기술효율성 값이 1로 가장 효율적인 광역시도였다. 규모의 효율성은 대부분 광역시도에서 0.8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경기도, 강원도, 제주특별자치도가 규모의 효율성 값이 1로 가장 효율적인 광역시도였다. 둘째, 2009년부터 2018년까지 10년간 대한민국 광역시 및 도별 규모의 수익 분석결과, 부산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울산광역시,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경상남도는 10년 동안 IRS(Increasing Returns to Scale; 규모수익체증) 현상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2009년부터 2018년까지 대한민국 광역시 및 도의 특성에 따라 기술효율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동부(강원, 대구, 경북, 경남, 부산. 울산)의 기술효율성이 서부보다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수도권이 비수도권에 비해 기술효율성이 높게 보이고 있었다. 또한 광역시의 기술효율성이 높고, 지자체 장이 집권당 소속인 곳에서 더 높은 기술 효율성을 보이고 있었다. 순기술효율성의 차이를 보면 동부의 순기술효율성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수도권이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지방보다 낮은 순기술효율성을 보이다 2014년부터 수도권지역의 순기술효율성이 더 높아졌다. 광역시의 순기술효율성이 높고, 집권당의 지자체에서 더 높은 순기술효율성을 보이고 있었다. 규모의 효율성을 비교한 결과, 동부의 규모의 효율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수도권이 높은 규모의 효율성을 보였다. 또한 광역시의 규모의 효율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집권당의 지자체에서 더 높은 규모의 효율성을 보이고 있었다. 넷째, 기술효율성, 순기술효율성과 규모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회귀분석한 결과, 기술효율성에 대한 요인으로 지자체장의 당적, 고령자비율, 병원 수, 환경시설 수, 전국체전금메달 수가 5%의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순기술효율성에 대한 요인으로 동·서부지역여부, 수도권여부, 광역시여부, 지자체장의 당적, 고령자비율, 병원수가 유의한 결과를 가져왔다. 규모의 효율성에 대한 요인으로 동·서부지역여부, 광역시여부, 고령자비율, 병원수가 유의한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인 함의를 얻게 되었다. 첫째, 순수기술효율성은 16개 광역시도에서 상대적 차이는 비교적 적었다. 반면 규모의 효율성과 기술효율성은 지역별로 더 큰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행정수도 및 행정기관의 지방이전으로 인하여 지방자치단체 간 운영상의 기술수준 차이가 상당히 좁혀졌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지자체 장의 집권당 소속여부가 효율성증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효율성과 순수기술효율성에서 집권당의 자치단체의 장일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기술효율성이 더 높게 났고, 특히 순수기술효율성에서는 큰 폭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셋째, 고령자비율이 높을수록 전반적인 효율성이 낮게 나타났다. 즉 고령화비율은 기술효율성, 순기술효율성과 규모효율성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 고령화비율은 생산인구가 그 만큼 감소한 것을 의미하므로 그 지역의 전반적인 효율성 수준도 낮아진다. 또한 생산도시보다는 소비도시화하여 도시의 생산성을 낮추는 것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표목차 iii 그림목차 v 국문요약 vi Abstract x 제 1 장 서 론 1 1.1 연구배경 및 목적 1 1.2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3 제 2 장 광역시 및 도별 현황 5 2.1 기본현황 5 2.2 각 지역별 현황 10 제 3 장 추정모형 설정 26 3.1 DEA모형 26 3.2 효율성 결정요인 모형 29 3.3 DEA관련 국내 선행사례연구들 31 제 4 장 연구결과 34 4.1 연구방법 34 4.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37 4.3 투입 및 산출 변수 및 기초통계량 38 4.4 효율성 측정결과 41 4.5 광역시 및 도 특성별 효율성 비교 57 4.6 효율성 영향요인 분석 68 제 5 장 결 론 75 참 고 문 헌 81 국내문헌 81 해외문헌 85 -
dc.format.extent 103 -
dc.language kor -
dc.publisher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dc.rights 한국해양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dc.title 우리나라 지방자치행정기관의 효율성에 관한 비교 연구 -
dc.type Dissertation -
dc.date.awarded 2020. 2 -
dc.contributor.department 대학원 무역학과 -
dc.contributor.affiliation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무역학과 -
dc.description.degree Doctor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정정복. (2020). 우리나라 지방자치행정기관의 효율성에 관한 비교 연구. -
dc.subject.keyword DEA, 광역시도, 기술효율성, 순기술효율성, 규모의 효율성, 규모의 경제, metropolitan areas, technology efficiency, pure technology efficiency, scale efficiency, returns to scale -
dc.title.translated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iciencies of Korean Local Governments -
dc.contributor.specialty 경제학 -
dc.identifier.holdings 000000001979▲200000001565▲200000283964▲ -
Appears in Collections:
해운항만물류학과 > Thesis
Files in This Item:
200000283964.pdf Download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