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효율적인 해양공간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해양환경 영향성 평가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김태균 -
dc.contributor.author 최수영 -
dc.date.accessioned 2020-07-22T04:18:55Z -
dc.date.available 2020-07-22T04:18:55Z -
dc.date.issued 2020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12452 -
dc.identifier.uri http://kmo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83949 -
dc.description.abstract 우리나라는 효율적인 해양공간관리를 위해 근거가 될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해양공간계획의 효율적인 시행을 위해서는 용도구역별 특성을 바탕으로 우리해역 공간에 대한 가치평가가 제대로 이뤄져야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 해양공간계획은 해양공간에 대한 자료수집 및 관리체계가 불완전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해양공간계획법에 따른 해양공간특성평가 지침의 평가항목 성격을 정량적 또는 정성적 평가로 나누고 있는데, 이는 평가방법이 달라 형평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예로 들어, 서식지 등가성 분석법(Habitat Equivalency Analysis: HEA)을 적용한 가치평가를 통해 해당 해양공간 특성평가를 위한 객관적인 평가기준제시에 있다. 이는 현행 해양공간특성평가 지침의 공간특성 평가요소의 불합리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향후 해양공간계획의 목적인 이해당사자들 간 갈등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해상풍력발전단지가 설립될 해양공간의 특성을 이해하고, 적합한 환경영향평가를 수행할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양공간계획의 국내외 현황파악과 현행 해양공간계획의 문제점을 짚어본다. 둘째, 해상풍력발전단지 설립으로 인한 환경영향평가 선행연구 사례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환경영향평가 방법의 타당성을 제기한다. 셋째, 국내외 선행연구 사례를 통해 해상풍력발전단지 설정으로 발생할 수 있는 환경문제들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피해영향평가를 시행한다. 넷째,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발전단지 설립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해양생태계 피해조사방법으로 서식지 등가성 분석법을 적용하고, 해양공간의 정량적인 평가 결과를 제시한다. 또한, 이 연구의 활용방안과 한계평가를 통해 향후 해양공간 특성평가 시 나아가야 할 방향점을 제시한다. 해상풍력발전단지 설립으로 인해 손실된 환경재가 가진 경제적 가치(Total Economic Value)는 비시장재이기 때문에 직접적인 시장가격을 찾을 수 없다. 따라서 환경재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도입해야 하며, 환경재 피해의 경제적 가치를 객관적인 수치로 추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HEA를 제시하였다. HEA는 경제적 가치평가에 있어, 더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고, 개인적인 의사 반영도에 따라 편차가 다양할 수 있는 조건부 가치 측정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보다는 좀 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접근법이다.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발전단지 설립으로 인해 사용이 금지된 해역(5,017.6ha)에서는 상업적 피해, 생태계 파괴, 바다 경관 훼손에서 기인한 후생감소 등 여러 피해가 발생한다. 피해의 경제적 가치 규모 산정을 위한 대체 복원사업을 인공어초사업으로 선정하고, 이를 적용한 HEA로 추정하였다. 4.5%의 사회적 할인율과 4년째부터 100%의 성숙도를 가정한 기본 가정의 경우, 피해액은 약 46,841.64백만원으로 나타났다. 민감도 분석에서는 미국의 평균 사회적 할인율인 3.0%를 적용하고, 선행연구사례에서 밝힌 인공어초의 성숙도인 76.9%를 적용하였을 때는 최대 약 56,413.23백만원의 경제적 피해액이 추정되었다. 이 연구는 해양공간특성평가 지침에 활용될 객관적인 평가 기준이 될 수 있는 HEA를 통해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발전단지가 설립될 해역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였다. HEA는 객관적이고 명확한 DATA를 기본으로 가치를 산정하기 때문에 해양공간특성평가 시 발생할 수 있는 불합리성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HEA를 통한 추정값은 해양생태계 서비스의 가치평가만을 적용한 사례로, 해상풍력발전단지를 둘러싼 다양한 요소가 고려되지 않아서 실제 해상풍력발전단지 해역에서 발생하는 광범위한 피해들과의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다. 그러나, 향후 해상풍력발전단지의 해양공간계획 수립 시 예상되는 용도구역들의 특성평가를 위해서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가치평가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해양공간특성평가 과정에서는 해양공간계획법에 따른 용도구역간 이해관계를 명확하게 구분하고, 객관적인 평가 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Korea enacted and implemented a law on marine spatial planning and management that would be the basis for efficient management of marine space. For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he marine spatial planning, the value evaluation of the space in our waters should be carried out properl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use area. However, the our marine spatial planning has a problem that the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system for marine space is incomplete. The nature of the assessment items in the Guidelines for Assessment of Marine Spatial Characteristics under the Marine Spatial Planning Act are divided into quantitative or qualitative assessments, which may result in equity problems due to different methods of assessment. This study suggest that objective evaluation standard for Assessment of Marine Spatial Characteristics by using HEA, citing Ulsan floating offshore wind farm energy area as an example. This could help resolve conflicts among stakeholders for the future plans for Marine Spatial Planning by improving the unreasonable problem of the assessment element of spatial characteristics in the current guidelines for Assessment of Marine Spatial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procedures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marine space where offshore wind farm energy area will be established, and to carry out appropriat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are as follows. First, consider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Marine Spatial Planning at home and abroad and the problems of the current Marine Spatial Planning. Second, the feasibility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method to be used in this study is raised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the preceding study 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caused by the establishment of offshore wind farm energy area. Third, analysis the environmental problems that may arise from the establishment of offshore wind farms in accordance with the research cases at home and abroad and implement an assessment of the damage impact on them. Fourth, the Habitat Equivalency Analysis method is applied as a method of investigating damage to marine ecosystem that can occur through establishment of offshore floating wind farm energy area in Ulsan, and the results of quantitative evaluation of marine space are presented. Further, the research method and the marginal assessment suggest the direction to move forward in assessing the characteristics of marine space in the future. The economic value of environmental goods lost from the establishment of offshore wind farms is non-marketable, so direct market prices cannot be found. Therefore, a methodology should be introduced to assess the economic value of environmental goods, and the HEA was proposed in a way to estimate the economic value of environmental damage in objective numbers. The HEA is a more objective and scientific approach to economic valuation than a CVM, which requires more time and money and may vary depending on personal reflection. Various damages occur in the waters(5,107.6 ha) where use is banned due to the establishment of floating offshore wind farms in Ulsan, including commercial damage, ecological destruction and a reduction in welfare resulting from damage to the seascape. Alternative restoration projects for calculating the economic value of damage were selected as artificial fish reef projects and estimated as HEA applied to them. For basic households with a 4.5 percent social discount rate and a 100 percent maturity index from the fourth year, the damage came to about 46,841.64 million won, the report showed. Sensitivity analysis estimated economic damage of up to 56,413.23 million won when applying the average social discount rate of 3.0% in the U.S. and 76.9% of the maturity index of artificial fish reef as stated in the preceding study case. This study estimated the economic value of the waters in which Ulsan floating offshore wind farms will be established through HEA, which can serve as objective criteria for assessment of the marine spatial characteristics. The HEA will be able to solve the irrationality that may arise in the evaluation of marine spatial characteristics, since the value is calculated based on objective and clear DATA. Estimates from the HEA in this study are examples of only applying the value assessment of marine ecosystem services, and since the various factors surrounding offshore wind farms have not been considered, direct comparison with the wide range of damage occurring in the waters of the actual offshore wind farms is difficult. However,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objective and reasonable valuation is needed for character assessment of expected use areas in the future marine spatial planning of offshore wind farms. Therefore, in the process of assessing the characteristics of marine space, the interests of the use areas in accordance with the Marine Spatial Planning Act should be clearly distinguished and objective evaluation criteria established.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List of Tables ⅲ List of Figures ⅳ Abstract ⅴ 제 1 장 서 론 1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 내용 및 방법 3 제 2 장 해양공간계획 5 2.1 해양공간계획의 개념과 진행절차 5 2.2 국외 해양공간계획 동향 8 2.3 우리나라의 해양공간계획 16 2.3.1 해양공간계획의 정의와 기본원칙 16 2.3.2 해양공간기본계획 18 2.3.3 우리나라 해양공간관리의 한계 및 문제점 22 제 3 장 해상풍력발전과 해양환경영향 25 3.1 해상풍력발전 25 3.2 해상풍력발전단지의 해양환경문제 29 3.2.1 해상풍력발전 건설단계 29 3.2.2 해상풍력발전 운영단계 30 3.2.3 해상풍력발전 해체단계 33 3.3 해상풍력발전단지의 환경영향 평가 34 3.3.1 해상풍력발전의 환경영향 평가사례 분석 34 3.3.2 환경영향평가를 고려한 풍력발전단지의 경제적 가치추정법 39 제 4 장 해상풍력발전단지 환경피해의 경제적 가치추정 44 4.1 서식지 등가성 분석법(HEA) 44 4.2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발전단지 지정에 따른 해양환경피해 분석 48 4.2.1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발전단지 지정 개요 48 4.2.2 HEA를 이용한 해양환경 및 자원피해 분석 51 4.3 피해추정결과 56 4.3.1 Case-I (사회적 할인율 4.5%, 성숙도 100%) 56 4.3.2 Case-II (사회적 할인율 4.5%, 성숙도 76.9%) 59 4.3.3 Case-III (사회적 할인율 3.0%, 성숙도 100%) 62 4.3.4 Case-IV (사회적 할인율 3.0%, 성숙도 76.9%) 65 4.3.5 민감도 분석 68 제 5 장 결 론 69 5.1 연구결과 69 5.2 한계 및 향후 과제 70 참고문헌 72 -
dc.format.extent 89 -
dc.language kor -
dc.publisher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dc.rights 한국해양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dc.title 효율적인 해양공간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해양환경 영향성 평가에 관한 연구 -
dc.type Dissertation -
dc.date.awarded 2020. 2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Choi, Su Young -
dc.contributor.department 대학원 해양정책학과 -
dc.contributor.affiliation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해양정책학과 -
dc.description.degree Master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최수영. (2020). 효율적인 해양공간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해양환경 영향성 평가에 관한 연구. -
dc.subject.keyword Offshore Wind farm Energy, Marine Spatial Planning,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Habitat Equivalency Analysis -
dc.title.subtitle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을 중심으로 -
dc.title.translated A Study on the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efficient Marine Spatial Management Plan: focused on the Offshore Floating Wind Farm Energy Area in Ulsan -
dc.contributor.specialty 해사정책 -
dc.identifier.holdings 000000001979▲200000001565▲200000283949▲ -
Appears in Collections:
해운항만물류학과 > Thesis
Files in This Item:
200000283949.pdf Download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