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해사영어교육 향상을 위한 스마트 러닝 플랫폼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Title
해사영어교육 향상을 위한 스마트 러닝 플랫폼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Alternative Title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mart Learning Platform for Enhancing the Efficacy of Maritime English Education
Author(s)
설진기
Keyword
Maritime English Education 해사 영어 교육; Maritime English Platform 해사 영어 플랫폼; Learning Efficacy 학습 효과; English Communication Onboard 선상 영어 의사소통; Maritime English Competency 해사영어능력.
Issued Date
2020
Publisher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URI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12562
http://kmo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42507
Abstract
상선에 당직사관으로 승선하기 위한 항해사 및 기관사는 승선 전 해기사로서 갖추어야 할 적절한 자격요건을 국제규정에 맞게 충족시켜야 한다. 해사영어는 이와 관련한 매우 중요한 요건 중 하나이다.

1973년 국제해사기구 해사안전위원회는 항해 목적과 관련한 언어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영어가 사용되어야 함을 합의하였다. 그 후 영어는 선원의 안전, 선박의 운항 및 깨끗한 해양 환경 보전을 위한 선내‧외 의사소통 수단으로 활용되어 그 역할이 강조되어 왔다.
  
전 세계 해양관련 교육기관은 국내 혹은 국제 규정에 명시된 해사영어 교육 및 평가 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러한 기준은 국내 해기사 및 실습생에게도 적용된다.

국내 해양관련 교육기관은 국가능력기준에 명시된 항목에 따라 선상영어의사소통 외 해양 사고, 선박 상태, 검사 보고서 등과 관련된 교육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교육생들은 적절한 해사영어 활용능력 및 영문 보고서 작성 능력을 함양한다.

하지만 실시간 튜터링, 온라인 시뮬레이션, 수준별 선택 강좌 등 다양한 형식으로 제공되는 타 산업 분야의 교육‧훈련에 비해 해사영어를 포함한 해기 지식을 전파하고 이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는 데에는 선박의 특수성(인터넷 연결 한계), 전문성 및 상대적으로 적은 수요 등으로 인해 많은 제약이 따랐다.

이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해사영어 스마트러닝 플랫폼을 개발하고 이를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승선 실습 학생들의 해사영어능력을 평가하고 플랫폼 사용 효과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먼저 학습 및 평가에 적합한 플랫폼 설계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시중의 영어학습 플랫폼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선상영어의사소통을 위한 중요 요소 및 시중 해사영어플랫폼의 장단점을 식별하였으며 이러한 조사결과를 스마트러닝 플랫폼에 반영하였다.

다음으로 해사영어 스마트러닝 플랫폼 활용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실습선에 신규 승선한 교육생들을 대상으로 공통 시험을 시행하였으며 그 후 학생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은 해사영어 스마트러닝 플랫폼을 활용하고 다른 한 그룹은 플랫폼을 활용하지 않도록 구분하였다. 6주의 실험기간이 끝난 후 전 학생 대상 공통 시험을 다시 시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각 그룹별 시험점수 향상 정도를 측정하였다.

시험 결과는 문제의 유형, 난이도, 문항 수 등의 측면에서 분석되었다. 크게 다음과 같은 항목에 분석 초점을 맞추었다. 첫째, 해사영어 스마트러닝 플랫폼 활용에 따른 점수 향상 정도. 둘째, 참여그룹의 수시시험 점수 분포. 셋째, 주관적, 객관적 설문 항목과 해사영어시험 점수와의 연관성이다.

먼저 해사영어 스마트러닝플랫폼 활용에 따른 점수 향상 정도 분석 결과 초기 시험에서 참여그룹과 비 참여그룹 간 유의한 성적 차이가 없었지만 6주 후 최종 시험에서 그룹 간 유의한 성적 및 성적 향상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해사영어 스마트러닝플랫폼 활용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일차별, 주차별 수시시험 평균점수 분석을 통해 승선실습 기간에 따른 시험성적 향상을 확인하였으며 수시시험 응시 횟수와 시험 성적 간에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토익 점수, 승선 경력 등의 주관적, 객관적 요인과 시험 성적과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해사영어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학습 및 평가 플랫폼을 설계‧ 개발하고 그 활용 효과를 조사하였다. 추후 플랫폼 구성, 사용성 및 이용성 측면 개선이 이루어질 시 특정 해기교육과목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고 편리한 방법으로 해사분야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ccording to international regulations, it is mandatory for Navigators or Engineers to acquire proper skillsets before being designated as a duty officer on a merchant vessel. One of the core courses is called Maritime English (ME).

Maritime Safety Committee of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agreed in 1973 that the English language shall be used for navigational purposes where language difficulties arise within the maritime domain. Since then, English, as a means of communication, has become more and more crucial within the maritime sector in terms of ensuring the safety of crew, the efficiency of vessels, and keeping sound marine environment.
  
Thus, maritime education training institutions around the globe are putting efforts to meet certain quality set by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gulations, and, of course, this is not an exception for the Korean cadets preparing for their onboard duties.

In adherence with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students shall have proper ME competencies that enable them to verbally communicate with foreigners and process various documents related to accidents, ship conditions, and inspections. In this sense, the students must be equipped not only with writing skills but also with coherent use of technical terms as well as phrases.

However, because of the uniqueness of the maritime domain and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 that comes with onboard circumstances, the methods used for imparting maritime knowledge and the manner in which it is evaluated are restricted.

To address these issues,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nd utilize readily available ME platform that can be accessed through smart devices to gauge a student's ME competencies and their learning efficacy.

The first step was to design an adequate ME-testing platform. For this process, previous research was analyzed to identify what elements are required for better English communication onboard and how these findings can be applied to the ME platform.

Following thi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newly joined cadets in training vessel for sea experiences. First, all students were asked to take the ME test an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one that would participate in using the online ME platform and the other one that would not. After 6 weeks, all cadets were asked to take the ME test again for measuring the score enhancement.

The test results were analyze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both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ways; for example, by the types, difficulties, or even the amount of questions provided. The following items were focused upon: 1) Does the use of ME platform have an impact on students ME learning efficacy? If it is, how much? 2) How is the score distribution of practicing tests during the 6 weeks? 3) What kind of subjective and objective elements have a correlation with the ME test score?

After analyzing the test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from the beginning of the test, however, after six week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iced between the participating group and the non-participating group.

Moreo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practice tests score for the participating group had increased in tandem with passing time and the number of practice tests students taken had shown a certain correlation with the test score itself. It was also found that some of the personal elements had a correlation with students' ME test performance, which include previous TOEIC test scores, previous onboard experience.

This study has analyzed the student's learning efficacy through the desig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learning and testing platform. Learning and evaluation processes are therefore expected to be implemented in various appropriate and convenient ways under the specific circumstances, and to be more widely used in the field of maritime education in the future.
Appears in Collections:
항해학과 > Thesis
Files in This Item:
해사영어교육 향상을 위한 스마트 러닝 플랫폼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pdf Download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