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운송제조산업의 생산효율성과 영향요인 분석:세계화, 규모 및 인적자본의 영향을 중심으로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나호수 | - |
dc.contributor.author | 박세호 | - |
dc.date.accessioned | 2022-04-08T17:43:39Z | - |
dc.date.available | 2022-04-08T17:43:39Z | - |
dc.date.created | 20210311144401 | - |
dc.date.issued | 2021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12673 | - |
dc.identifier.uri | http://kmo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76435 | - |
dc.description.abstract | 1970년 이후 우리나라 제조업은 경제발전을 이끌며 빠른 성장을 해왔고 산업고도화를 이루어가며 국가경쟁력을 갖게 되었다. 앞으로도 제조업 수출은 한국 경제성장의 기반이 될 것이며 이에 따라 높은 무역의존도는 지속될 전망이다. 본 연구는 운송제조산업 효율성을 파악하고 세계화, 규모 및 인적자본의 영향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경제 성장을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자료포락분석방법(Data Envelopment Analysis; DEA)을 이용하여 운송제조산업 분야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효율성의 영향요인인 세계화, 규모, 인적자본의 영향의 정도를 측정하고 분석한다. 운송제조산업의 효율성 분석을 위한 변수는 두 가지로 구분하였다. 투입변수로는 종사자수, 유형자산액, 중간재액으로 하였으며, 산출변수로는 매출액과 부가가치액으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투입 및 산출변수를 바탕으로 2007년부터 2018년까지 12년간 시계열자료를 이용하여 운송제조산업의 상대적 효율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매출액 모형의 효율성 분석에서 대부분 운송제조산업의 기술효율성은 0.9 이상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각 업종별 12년 평균 효율성을 보면, “선박 구성 부분품 제조업”의 기술효율성 측정값이 0.960로 가장 효율적인 운송제조산업이었다. 운송제조산업의 순기술효율성은 0.9 이상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의 순기술효율성 값이 0.991로 가장 효율적인 운송제조산업이었다. 운송제조산업의 규모의 효율성은 0.9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철도장비 제조업”의 순기술효율성 값이 0.983로 나타나고 있어 가장 효율적인 운송제조산업으로 확인되었다. 업종별 규모의 수익 분석에서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과 “자동차 신품 부품 제조업”은 12년 동안 규모의 수익감소의 특성(DRS)을 보여주었다. 둘째, 부가가치 모형의 효율성 분석에서 대부분 운송제조산업의 기술효율성은 0.7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각 산업별 12년 평균 기술효율성을 보면, “철도장비 제조업”의 기술효율성 값이 0.769으로 가장 효율적인 운송제조산업이었다. 운송제조산업의 순기술효율성은 0.7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의 순기술효율성 값이 0.951으로 가장 효율적인 운송제조산업이었다. 운송제조산업의 규모의 효율성은 0.7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강선 건조업”의 규모의 효율성 값이 0.999로 가장 효율적인 운송제조산업이었다. 2007년부터 2018년까지 업종별 규모의 경제분석에서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자동차 신품 부품 제조업”, “항공기, 우주선 및 보조장치 제조업”은 12년 동안 규모수익감소의 특성(DRS)이 있었다. 셋째, 2007년부터 2018년까지 운송제조산업의 효율성 추세를 보면, 매출액모형의 기술효율성과 순기술효율성 추세는 거의 일치하며 2011년 이후로는 감소 추세에 있으며, 규모의 효율성도 유사한 추세를 보이고 있다. 부가가치모형의 기술효율성 및 순기술효율성의 경우 증가와 감소가 반복하여 발생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규모의 효율성은 기술효율성과 순기술효율성보다 높은 값을 유지하고 있었다. 넷째, 매출액모형의 기술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상근직비율이 기술효율성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상근직비율이 증가하면 기술효율성이 증가하며 1인당 상용근로자급여의 영향력이 가장 크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신품 부품 제조업”, “철도장비 제조업”, “항공기, 우주선 및 보조장치 제조업”, “그 외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다섯째, 부가가치 모형의 기술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임시직비율, 규모지수가 기술효율성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규모지수가 증가하면 기술효율성은 감소하고 상용근로자비율, 임시직비율이 증가하면 기술효율성도 증가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더미변수의 효과를 보면, 기술효율성에 “항공기, 우주선 및 보조장치 제조업”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영향을 미쳤다. 즉 “항공기, 우주선 및 보조장치 제조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 - |
dc.description.abstract | Korea's manufacturing industry has grown rapidly, leading economic development since 1970, and gained nat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industrial advancement. The manufacturing industry has grown through exports, and the high dependence on trade is expected to contin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iciency of the transportation manufacturing industry,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globalization, and present policy measures for economic growth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method is used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each manufacturing industry and to analyze export competitiveness. Input variables were the number of workers, tangible assets, and intermediate goods, and the output was set as shipment amount and added value. When analyzing the efficiency of the transportation manufacturing industry, the efficiency was analyzed based on the sales and value added, which are the output variables. Using the previously set input and output variables, the efficiency of the transportation manufacturing industry for 12 years from 2007 to 2018 was analyzed an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efficiency analysis of the shipment value model, the technical efficiency of transportation manufacturing industries was relatively high, over 0.9. Looking at the 12-year average efficiency for each industry, the technical efficiency value of the “ship component parts manufacturing industry” was 0.960, which was the most efficient transportation manufacturing industry. The net technical efficiency of the transportation manufacturing industry was relatively high, above 0.9, and the net technical efficiency value of the “automobile and trailer manufacturing” was 0.991, which was the most efficient transportation manufacturing industry. The efficiency of the transportation manufacturing industry was as high as 0.9 or higher. The net technical efficiency value of "railroad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y" was 0.983, which was the most efficient transportation manufacturing industry. In the analysis of revenue by industry scale, “automobile and trailer manufacturing” and “automobile new parts manufacturing” had a characteristic of decreasing revenue of scale (DRS) over 12 years. Second, in the efficiency analysis of the value-added model, most of the transportation manufacturing industries showed a high technical efficiency of 0.7 or higher. Based on the 12-year average technical efficiency for each industry, the technical efficiency value of the “railroad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y” was 0.769, the most efficient transportation manufacturing industry. The net technical efficiency of the transportation manufacturing industry was higher than 0.7, and the net technical efficiency of “automobile and trailer manufacturing” was 0.951, which was the most efficient transport manufacturing industry. The efficiency of the scale of the transportation manufacturing industry was higher than 0.7, and the efficiency value of the scale of the “steel wire building” was 0.999, which was the most efficient transportation manufacturing industry. In the analysis of economies of scale by industry from 2007 to 2018, “automobile and trailer manufacturing,” “automobile new parts manufacturing,” and “aircraft, spacecraft and auxiliary equipment manufacturing,” showed a decline in scale revenues (DRS) over 12 years. there was. Third, Based on the efficiency trend of the transportation manufacturing industry from 2007 to 2018, the trend of technical efficiency and net technical efficiency of the transportation manufacturing industry with respect to the shipment value model almost coincides, and since 2011, it has been on a decreasing trend. There is a similar trend. In the case of the technical efficiency and net technical efficiency of the transportation manufacturing industry for the value-added model, there is a trend that increases and decreases repeatedly, and the efficiency of scale has maintained a higher value than the technical efficiency and net technical efficiency.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that affect the technical efficiency for the shipment value model, full-time employee ratio has an effect on technical efficiency. Therefore, it can be interpreted that as the ratio of full-time workers increases, technical efficiency increases, and the effect of per-person regular worker benefits is the greatest. In addition, "automobile new parts manufacturing", "railroad equipment manufacturing", "aircraft, spacecraft and auxiliary equipment manufacturing", and "other transport equipment manufacturing" are interpreted as having higher efficiency than other industries.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that affect technical efficiency in the value-added model, temporary employment ratio and scale index influenced technical efficiency. Therefore, it is interpreted that technical efficiency decreases as the scale index increases, and technical efficiency increases as the ratio of regular workers and temporary workers increases. Also, looking at the effect of the dummy variable, the “aircraft, spacecraft, and auxiliary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echnical efficiency. In other words, the “aircraft, spacecraft and auxiliary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y” is interpreted as being more efficient than other industries.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 1 장 서 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 1.2 연구방법 및 구성 3 제 2 장 제조업에 관한 문헌연구 2.1 제조업의 개요 5 2.2 제조업의 동향 7 2.2.1 제조업 규모 7 2.2.2 규모별 구조 변화 7 2.2.3 세부 업종별 구조 변화 8 2.3 운송제조업의 현황 9 2.4 글로벌제조업 현황 12 2.5 조선제조업 현황 19 2.6 항공제조업 현황 22 제 3 장 효율성 변화 분석의 이론적 배경 3.1 연구방법 26 3.1.1 CCR모형 26 3.1.2 BCC모형 28 3.1.3 효율성 결정요인 분석모형 30 3.2 DEA관련 국내 선행연구들 32 제 4 장 분석결과 4.1 투입/산출변수의 선정 36 4.1.1 변수 선정기준 36 4.1.2 선행 연구에 기선정된 변수 38 4.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39 4.3 기술통계량 41 4.4 효율성분석 45 4.4.1 매출액 모형의 효율성 분석 45 4.4.1.1 기술효율성분석 45 4.4.1.2 순기술효율성분석 49 4.4.1.3 규모효율성분석 53 4.4.1.4 규모의 경제분석 57 4.4.2 부가가치 모형의 효율성 분석 60 4.4.2.1 기술효율성분석 60 4.4.2.2 순기술효율성분석 64 4.4.2.3 규모효율성분석 68 4.4.2.4 규모의 경제분석 72 4.4.3 운송제조산업의 연도별 효율성 추세 75 4.5 효율성 영향요인 분석 77 4.5.1 매출액모형에 대한 기술효율성 영향요인분석 77 4.5.2 부가가치 모형의 기술효율성 영향요인분석 83 제 5 장 결론 5.1 연구결과 요약 및 시사점 89 5.2 연구의 한계점 94 참고문헌 국내문헌 95 해외문헌 99 국문요약 102 | - |
dc.format.extent | 115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 |
dc.rights | 한국해양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우리나라 운송제조산업의 생산효율성과 영향요인 분석:세계화, 규모 및 인적자본의 영향을 중심으로 | - |
dc.title.alternative | An Analysis of the Production Efficiency and Influential Factors in the Korean Transportation Manufacturing Industry: Focused on the Effects of Globalization, Scale and Human Capital | - |
dc.type | Dissertation | - |
dc.date.awarded | 2021. 2 | - |
dc.embargo.liftdate | 2021-03-11 | - |
dc.contributor.department | 대학원 경제산업학과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경제산업학과 | - |
dc.description.degree | Doctor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1]박세호, “우리나라 운송제조산업의 생산효율성과 영향요인 분석:세계화, 규모 및 인적자본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1. | - |
dc.subject.keyword | Transportation manufacturing industry | - |
dc.subject.keyword | DEA | - |
dc.subject.keyword | technical efficiency | - |
dc.subject.keyword | net technical efficiency | - |
dc.subject.keyword | efficiency of scale | - |
dc.subject.keyword | 운송제조산업 | - |
dc.subject.keyword | DEA | - |
dc.subject.keyword | 기술효율성 | - |
dc.subject.keyword | 순기술효율성 | - |
dc.subject.keyword | 규모의 효율성 | - |
dc.contributor.specialty | 경제학 | - |
dc.identifier.holdings | 000000001979▲200000001935▲200000376435▲ | -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