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부산남항의 지속 가능한 수변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이한석 -
dc.contributor.author 최혜린 -
dc.date.accessioned 2022-06-23T08:58:10Z -
dc.date.available 2022-06-23T08:58:10Z -
dc.date.created 20220308093443 -
dc.date.issued 2022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12912 -
dc.identifier.uri http://kmo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3104 -
dc.description.abstract 항만은 도시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항만을 중심으로 도시가 형성되었으며 항만이 성장함에 따라 도시도 발전하였다. 하지만 항만의 지속적인 성장에 따라 많은 도시문제가 발생하였다. 항만이 도시 외곽으로 확장이전하면서 기존의 항만은 기능을 잃고 쇠퇴하였으며 항만 일대로 슬럼화, 환경오염 등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도시의 회복을 위해 선진국들은 수변공간을 중심으로 항만재개발을 시도하였다. 전세계 주요 항만도시들은 항만재개발을 통해 도시이미지 제고 및 도시경쟁력을 향상시켰다. 특히 수변을 쾌적한 친수공간으로 재탄생시킴으로써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도시 및 항만의 회복을 도모하였다.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화두인 지속가능성에 중점을 두고 사회, 환경, 경제를 모두 고려한 지속 가능한 항만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국내에서도 항만재개발에 많은 관심을 보이며 지속 가능한 항만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부산광역시에서는 국내 대표적 항만재개발 사례인 북항 재개발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부산광역시는 북항 재개발사업과 원도심 대개조 사업을 연계하여 추진함으로써 도시경쟁력 강화와 도시이미지 제고에 있어 시너지 효과를 얻고자 한다. 하지만 이러한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북항과 원도심에 접해있는 부산남항에 대한 계획은 수립되어있지 않으며 북항 재개발사업과 원도심 대개조 사업에 종속된 개발 압력을 받고 있다. 현재 남항과 그 일대로 북항 재개발사업과 원도심 대개조 사업 등이 진행되면서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북항재개발 및 원도심 대개조 사업의 성공적인 결과를 위해서는 남항 역시도 재개발이 불가피하며 남항의 독립된 항만재개발 계획 수립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주변과 조화를 이루면서 지속 가능한 항만재개발을 위해서는 부산 남항의 고유한 정체성과 장소성을 살린 수변공간계획을 중점으로 재개발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부산남항의 수변공간 및 수역을 대상으로 하여 기초자료 및 현황조사를 통해 부산남항 및 그 일대의 현황 및 여건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남항과 그 일대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남항이 가진 특성을 토대로 남항 일대의 문제를 해결하며 수변공간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이용자와 환경을 고려한 친수공간 및 시설을 구상하여 지속 가능한 수변공간계획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산남항과 그 일대의 현황 및 문제점으로는 수변을 따라 들어선 산업시설들로 인해 수변으로의 접근이 어려우며 수변이 연결되지 못하고 방치되어 있다. 또한 대부분의 산업시설들은 노후화되어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고 경관을 해치는 등 남항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수변공간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시민과 관광객들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환경정비가 필요하며 수변공간과 수역을 활용하여 다양한 친수공간 및 시설을 계획하여야 한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조선소 이전 및 노후된 산업시설들의 현대화를 통해 이용자 중심의 복합기능을 가진 친수항만으로 탈바꿈해야 한다. 이를 토대로 먼저 수변공간계획에 있어 지속 가능한 목표 및 계획 방향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항만구역 내 수변과 수역을 서구, 중구, 영도구로 나누어 구별 특성을 살린 지구별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를 토대로 남항 수변공간 전체를 7개의 존으로 나누어 세부적인 계획을 수립하였다. 존별 기본계획의 경우 존별로 주제를 설정하고 각 공간의 특성을 살린 친수공간 및 시설을 계획하였으며 이를 구상도로 제시하였다. 또한 최근 추세에 따라 세계항만도시협회인 AIVP에서 제시하고 있는 AIVP 항만도시계획 가이드라인과 AIVP 2030 의제에 제시된 지속 가능한 요소들을 친수공간 및 시설에 반영시킴으로써 부산남항의 지속가능한 수변공간계획안을 수립하였다. 이러한 계획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부산남항의 항만재개발계획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
dc.description.abstract The port is closely related with the city. Cities have been formed around the ports. While the ports have grown up, the cities therearound have developed. However, as the ports have continued to grow, various urban problems have arisen. While the ports have been expanded and replaced into the suburban areas, the existing ports have been degenerated, losing their original functions. In this process, the existing ports areas would turn into slums, causing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environmental ones. In an effort to solve such problems and recover the urban functions, many of the major port cities in the world have attempted to redevelop their ports centering around the waterfronts. In particular, they have rebuilt the waterfronts into comfortable waterfront areas only to improve citizens' life quality and recover the original functions of the cities and ports. Lately, redevelopment of the ports has been underway in consideration of society, environment and economy and focusing on the sustainability or the global topic. According to such a global trend, Korea pursues a sustainable port redevelopment. Currently, Busan metropolitan city has been redeveloping its North Port, which must be an exemplary port redevelopment case in Korea. Busan metropolitan city has associated its North Port redevelopment with the original downtown renovation project in an effort to get a synergy effects of enhanced city competitiveness and improved city image. However, any redevelopment plan for Busan South Port has yet to be drawn up, while the city authority has been pressured to redevelop the South Port being subordinate to the redevelopment of the North Port and renovation of the downtown. Currently, the redevelopment projects of the North Port and the renovation of the original downtown have been underway, even encompassing the South Port and the areas thereof. For the successful redevelopment of the North Port and renovation of the original downtown, it would be inevitable to redevelop the South Port, and thus, Busan city authority is pressured to make an independent port redevelopment project. In order to design the sustainable port redevelopment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areas, a water-front space plan should be made, while its unique identity and placeness should be kept int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basic data and conditions of Busan South Port space and waterfront and thereupon, analyze their conditions, and thus, address their problems, and thereby, suggest some solutions to the problems and suggest a sustainable waterfront space plan conducive to activation of the waterfront space as well as its fac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problems facing Busan South Port and its surrounding areas are the industrial facilities built along its waterfront, which makes it difficult to gain access to the waterfront. Moreover, most of such industrial facilities are obsolete enough to contaminate its surrounding environment and destroy the landscape, creating a negative image for the South Port.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and activate the waterfront of the South Port, it is essential to renew its environment for the citizens and tourists to use the waterfront space safely. Furthermore, it is also necessary to use its waterfront and marine spaces to plan a variety of waterfront spaces and facilities. Besides, in a longer term, it would be necessary to relocate the ship-building yard and modernize the obsolete industrial facilities in order to transform the South Port into a user-centered waterfront complex. Based on the above conceptions, the researcher set a sustainable goal and direction for the waterfront plan. Then, the researcher made a basic plan for the redevelopment of the South Port by dividing the zone and its waterfront into Seo-gu, Jung-gu and Youndo-gu districts and thereby, endeavored to keep their original unique characteristics. Then, the researcher divided the entire waterfront into 7 zones for detailed sub-plans. Namely, a theme was set for each zone, and thereby, the waterfront spaces and facilities were plann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maintained, and thus, a road-map was drawn. In addition, the AIVP port city plan guideline suggested by AIVP and the sustainable elements contained in the AIVP 2030 agendas were all reflected on the redevelopment plan for the sustainable redevelopment of Busan South Port. Lastly,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d as some basic data for designing of the port redevelopment plan for the Busan South Port.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ABSTRACT Ⅺ 제 1 장 서 론 1 1.1 연구배경 및 목적 1 1.2 연구내용 및 방법 4 1.2.1 연구내용 4 1.2.2 연구방법 6 1.3 선행연구 분석 8 제 2 장 이론적 고찰 12 2.1 항만재개발 12 2.1.1 항만재개발 개념 12 2.1.2 항만재개발 필요성 및 방향 13 2.1.3 지속 가능한 항만재개발 16 2.2 수변공간 21 2.2.1 수변공간 개념 21 2.2.2 수변공간 특성 22 2.3 해외사례 25 2.3.1 지속 가능한 항만재개발 사례 25 2.3.2 지속 가능한 수변공간계획 사례 29 2.3.3 시사점 41 제 3 장 부산남항 여건 분석 42 3.1 부산남항 42 3.1.1 입지 42 3.1.2 역사 44 3.2 남항 현황 49 3.2.1 주요시설 49 3.2.2 수역 58 3.2.3 교통 64 3.2.4 녹지 및 공원 69 3.2.5 경관 70 3.2.6 역사문화자원 72 3.2.7 방재 79 3.3 법제도 및 관련계획 87 3.3.1 법제도 87 3.3.2 관련계획 92 3.4 여건분석 결과 99 제 4 장 부산남항 수변공간 현황조사 101 4.1 조사내용 및 방법 101 4.2 서구 및 중구 수변공간 현황 103 4.2.1 A1구역(송도해상케이블카~부산공동어시장) 104 4.2.2 B1구역(부산공동어시장~새벽시장) 110 4.2.3 C1구역(새벽시장~해안시장) 113 4.2.4 D1구역(해안시장~자갈치시장) 116 4.2.5 E1구역(자갈치시장~영도대교) 119 4.3 영도구 수변공간 현황 122 4.3.1 A2구역(브릿지수변테마공원~국제선용품유통센터) 123 4.3.2 B2구역(국제선용품유통센터~영도굴항(제8계류지)) 127 4.3.3 C2구역(영도굴항(제8계류지)~마스텍중공업) 130 4.3.4 D2구역(마스텍중공업~바이칼조선) 133 4.3.5 E2구역(바이칼조선~영도대교) 136 4.4 현장조사 결과 139 4.4.1 부산남항 수변공간 현황 139 4.4.2 소결 148 제 5 장 부산남항 수변공간계획 151 5.1 목표 및 방향 151 5.1.1 지속 가능한 목표 151 5.1.2 지속 가능한 방향 152 5.2 기본구상 156 5.2.1 수변공간 기본구상 156 5.2.2 지구별 기본구상 162 5.2.3 ZONE별 기본구상 164 5.2.4 지속 가능한 수변공간 187 제 6 장 결 론 197 참 고 문 헌 201 국문초록 205 -
dc.format.extent 222 -
dc.language kor -
dc.publisher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dc.rights 한국해양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dc.title 부산남항의 지속 가능한 수변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
dc.title.alternative A Study on the Planning of Sustainable Waterfront of Busan South Port -
dc.type Dissertation -
dc.date.awarded 2022. 2 -
dc.embargo.liftdate 2022-03-08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Choi, Hye-Rin -
dc.contributor.department 대학원 해양건축공학과 -
dc.contributor.affiliation 한국해양대학교 -
dc.description.degree Master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1]최혜린, “부산남항의 지속 가능한 수변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2. -
dc.subject.keyword Port Redevelopment 항만재개발 -
dc.subject.keyword Waterfront Planning 수변공간계획 -
dc.subject.keyword Sustainability 지속가능성 -
dc.subject.keyword Busan South Port 부산남항 -
dc.subject.keyword Waterfront 친수공간 -
dc.contributor.specialty 설계 -
dc.identifier.holdings 000000001979▲200000002763▲200000603104▲ -
Appears in Collections:
기타 > 기타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