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해상검문검색의 집행시 상당성과 적법성 확보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강우예 -
dc.contributor.author 박정오 -
dc.date.accessioned 2022-06-23T08:59:01Z -
dc.date.available 2022-06-23T08:59:01Z -
dc.date.created 20220308093444 -
dc.date.issued 2022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12986 -
dc.identifier.uri http://kmo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3176 -
dc.description.abstract 당해 선박등의 해상검문검색 집행은 합리적인 의심(reasonable suspicion)과 상당한 혐의(probable cause)의 형성 여부 및‘행정단속 목적의 정선·선체수색’은 안전저해사범,‘불심검문 목적의 정선·선체수색’은 의심선박,‘범죄수사 목적의 정선·선체수색’은 침해사범으로 구분·분류할 수 있다. 이상의 해상검문검색은 당해인의 동의가 수반되지 않는 강제적 성격의 경찰작용이다. 이는 우리 주권을 침범하는 외국적 선박과 차별 없이 연안수역에서의 자국선박 등을 상대로 동일하게 행사되고 집행된다. 해상에서는 당해 선박등에 대한 영장 없는 선체수색 등은 연안국 관할해역 내 모든 선박등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연안국 관할해역 내 선박등에 대한‘강제정선’과‘선체수색’등의 강제집행은 중요하게 다룰 사안이라 생각한다. 강력한 권한을 지닌 해상검문검색이 연안수역에서 자국선박등을 대상으로 집행되기 위해서는 정당성과 상당성이 뒷받침되어야만 한다. 이를 위해 해상검문검색의 법적 절차상‘선체수색의 적법성’과‘정선요구의 상당성’을 확보하는 등의 대안을 모색하는데 연구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범위와 기준은 연안수역에서 국내법령 위반이 의심되는 자국선박등 이다. 국내법령은「해양경비법」뿐만 아니라 국제법 관련 규정의 수용 등 법적 구속력을 갖춘 해양 관계 국내법령 및 해양경찰이 행하는 해상검문검색 전반을 포함하여 분류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도출된 해상검문검색의 적법성과 상당성 확보를 위해서는 법제도의 정비 등이 필요하며 대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행정단속 목적의 해상검문검색’의 대국민적 효력제고를 위한 법적 근거 마련이다. 단기적으로는 일제 단속 기간을 선정하여 사전 안전계도 및 홍보가 정기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그리고 각종 승인 및 허가사항 등을 인터넷 홈페이지에 등록 업로드하는 방식으로 누구나 안전검사 관련 정보를 검색하고 확인할 수 있는 절차를 법제도화 하는 것이다. 세부적으로는 선박등 안전검사 관련 시스템정보와 경비세력의 CVMS 연계가 선박안전정보의 실시간 공유를 가능케 할 것이다. 둘째, 해상검문검색의 중요 집행수단인‘통신검문’과‘CVMS’의 법제화이다. 경비세력이란 해양경찰청장이 해양경비를 목적으로 투입하는 인력, 함정, 항공기 및 전기통신설비 등을 말한다(해양경비법 제2조제8호). 통신검문과 CVMS의 전기통신설비를 활용한 당해 선박등의‘정선’과‘선박정보수집’이 어떠한 용도로 경비세력에 활용되는지 법규로 정의할 필요가 있다. 셋째,‘수사활동의 수단’으로 해상검문검색이 남용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육상의 불심검문이 수사의 단서를 발견하기 위한 것이라면 해상검문검색은 법령 등 위반사범을 단속하기 위한 해상경비업무 수행에 필요한 기초적인 경찰활동이다. 넷째, 해상검문검색 목적에 맞는‘상당한 선체수색’이다. 불심검문의 요건이‘범죄혐의의 관련성’에 의존하여 불명확하다면 항법 일탈 및 국내법령 위반사항 등 해상검문검색의 요건은 명확하다. 다섯째,‘선체수색’의‘적법성’강화이다. 육상의 보행자와는 다른 각도에서 선체수색의 개념을 정립하고 경찰작용적 측면에서 선박등 해상의 특성에 맞게 보완하여야 한다. 여섯쩨,‘정선요구’의 ‘상당성 확보’이다. 해상검문검색의 강제정선 조건이 다소 미흡하다.‘정선불응의 처벌 조건을 명시’하여야 한다. 끝으로, 해양 관계 법령의 통합이다. 개별법령에 흩어져 있는 해양 관계 법령의 통합을 통해 법적 통일성과 안전성이 구현되었으면 한다. 그리고 해상검문검색에 있어서 경찰관의 무제한 선체수색을 경찰관의 안전과 결부된 입장에서 바라보는 패러다임의 전환과 행정법적 시각에서 해상검문검색의 강제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해상종사자에게 국한된 해상검문검색이라는 법집행은 일반국민이 육상에서 접할 수 없는 폐쇄적·특수한 영역으로서 학문적 관심이 요청되어 진다. -
dc.description.abstract Depending on whether the enforcement of checking and searching of the vessel, etc. is based on reasonable suspicion and probable cause,‘stopping and searching for the purpose of administrative search’as an offender of safety obstruction, and‘stopping and searching for the purpose of stopping and questioning’as a suspicious vessel, and‘stopping and searching for the purpose of criminal investigation as an offender’can be classified. The above stopping and searching is a compulsory police action without the consent of the person concerned. This is equally exercised and enforced against foreign vessels infringing on our sovereignty and domestic vessels in coastal waters without discrimination. At sea,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a searching, etc. without a warrant for the vessel in question affects all vessels, etc. within the jurisdiction of the coastal state. Therefore, I think that the compulsory enforcement of‘compulsory stopping’and‘searching' on vessels within the jurisdiction of the coastal state is an important issue to be dealt with. In order for checking and searching of vessels with strong authority to be carried out targeting domestic vessels, etc. in coastal waters, lawfulness and reasonableness must be supported. For this purpose, the study is meaningful in seeking alternatives such as securing the‘lawfulness of searching’and‘reasonableness of stopping’in the legal procedure of the checking and searching of vessels. The scope and standards of this study are domestic vessels suspected of violating domestic laws and regulations in coastal waters. Domestic laws and regulations aim to classify and analyze not only the「Maritime Policing Act」, but also domestic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maritime affairs that are legally binding, such as the acceptance of international law-related regulations, and the overall checking and searching of vessels conducted by the Korea Coast Guard. In order to secure the lawfulness and reasonableness of checking and searching of vessels derived through this,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legal system and suggest alternatives as follows. First, it is to prepare a legal basis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checking and searching of vessels for the purpose of administrative search’. In the short term, a period of general crackdown should be selected, and safety guidance and publicity should be conducted regularly. In addition, by registering and uploading various approvals and permits on the Internet homepage, it is a legal system that allows anyone to search and check safety inspection-related information. In detail, system information related to safety inspections such as vessels and CVMS (Combination Vessel Monitoring System) linkage of policing force of maritime (guardships, aircraft etc.) will enable real-time sharing of vessel safety information. Second, the legalization of‘checking of communication’and 'CVMS', which are important enforcement means of checking and searching of vessels. The term “policing force of maritime” refers to manpower, guardships, aircraft, and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etc. that the Commissioner of the Korea Coast Guard puts in for the purpose of policing of maritime (Article 2, No. 8 of the Maritime Policing Act). It is necessary to define by law what kind of purpose the‘stopping’and‘vessel information collection’of the vessel, etc. using the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as the checking of communication and CVMS are used by the policing forces of maritime. Third, checking and searching of vessels should not be abused as a‘means of investigation activity’. While onshore stopping and questioning unintentional inspection is to find clues in investigation, checking and searching of vessels is a basic police activity necessary for carrying out maritime policing work to crack down on offenders such as laws and regulations. Fourth, it is a‘searching of reasonableness’ that becomes the purpose of checking and searching of vessels. If the requirements for stopping and questioning are unclear depending on the‘relevance of criminal charges’, the requirements for checking and searching of vessels such as navigation deviations and violations of domestic laws are clear. Fifth, the‘lawfulness’of‘searching’is strengthened. The concept of searching should be established from an angle different from that of walkers on lan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itime, such as vessels, in terms of police action. Sixth, it is to secure the reasonableness of the ‘request for stopping’. The conditions for compulsory stopping in checking and searching of vessels are somewhat insufficient.‘The conditions of punishment for stopping non-compliance should be specified’. Finally, it is the integration of maritime laws and regulations. It is hoped that legal unity and safety will be realized through the integration of maritime-related laws scattered in individual law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compulsion of checking and searching of vessels from the viewpoint of a paradigm shift and administrative law that views the unlimited searching of police officers from the point of view linked to the safety of police officers in the checking and searching of vessels. As such, the enforcement of checking and searching of vessels limited to maritime workers is a closed and special area that the general public cannot access on land, and academic interest is requested.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과 배경 1 제2절 연구의 대상과 방법 4 제2장 해상검문검색의 법적 의의 및 근거에 관한 검토 6 제1절 국제법상 해상검문검색 6 Ⅰ. 법적 의의 6 Ⅱ. 「해양경비법」상 해상검문검색 7 1. 연안수역에서 정선요구 8 2. 연안수역에서 선체수색 10 Ⅲ. 기타법령상 해상검문검색 11 1. 적용대상이 자국선박인 경우 11 2. 적용대상이 자국선박과 외국선박인 경우 14 3. 적용대상이 외국선박인 경우 14 제2절 국내법상 해상검문검색 15 Ⅰ. 「해양경비법」상 해상검문검색 16 Ⅱ. 「해양경비법」이외의 해상검문검색 20 1. 해양경찰 주도의 해상검문검색 21 2. 특별사법경찰관의 해상검문검색 23 3. 관계 공무원의 수상레저기구‘일시정지권’등 26 제3장 해상검문검색의 법적 성격 28 제1절 행정단속 목적의 해상검문검색 28 Ⅰ. 행정규제의 대상‘선박등’ 28 Ⅱ. 행정단속 목적의 경찰작용 28 Ⅲ. 선박등의 안전검사와 서류검사 31 제2절 불심검문 목적의 해상검문검색 32 Ⅰ. 경찰작용상 구분 32 Ⅱ. 불심검문 목적의 경찰작용 33 1. 불심검문의 대상‘선박등’ 33 2. 불심검문과 해상검문검색의 비교 34 제3절 범죄수사 목적의 해상검문검색 35 Ⅰ. 해양범죄의 수단‘선박등’ 35 Ⅱ. 범죄수사 목적의 경찰작용 35 1. 범죄사실의 입증 35 2. 범죄수사와 관련된 선박정보의 수집 36 3. 강제처분의 대상‘선박등’ 38 4. 수사활동이 아닌 경비활동의 대상‘선박등’ 39 제4장 해상검문검색의 법적 요건 및 절차 42 제1절 해상검문검색의 법적 요건 42 Ⅰ. 「해상경비법상」해상검문검색의 근거 및 요건 42 Ⅱ. 행정단속 목적의 해상검문검색 요건 42 1. ‘선박’관련 법적 요건 43 2. ‘선원’관련 법적 요건 44 3. ‘해상교통’관련 법적 요건 45 4. ‘다중이용선박 등’관련 법적 요건 46 Ⅲ. 불심검문 목적의 해상검문검색 요건 48 1. 합리적인 의심과 상당한 혐의 48 2. 의심선박의 식별 48 Ⅳ. 범죄수사 목적의 해상검문검색 요건 49 1. ‘환경’관련 법적 요건 50 2. ‘수산·자원’관련 법적 요건 50 3. 기타 형사범 및 특별범 51 제2절 해상검문검색의 절차 및 강제집행 수단 52 Ⅰ. 통신수단 및 위치추적을 통한 해상검문검색 절차 52 1. 통신수단을 이용한 해상검문검색 52 2. 위치추적을 이용한 해상검문검색 57 Ⅱ. 정선 및 승선과 결부된 해상검문검색의 절차 62 1. 정선요구 62 2. 승선(등선) 68 3. 해상검문검색의 이유 등 고지 68 4. 질문과 사실확인 69 5. 선체수색과 그 밖의 필요한 조치 70 제5장 해상검문검색시 발생가능한 문제점과 해결방안 86 제1절 행정단속 목적의 해상검문검색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86 Ⅰ. 해상의 선박단속과 관련한 육상의 자동차 검문검색의 시사점 86 Ⅱ. 해상의 서류 및 안전검사 목적의 검문검색 87 제2절 불심검문 목적의 해상검문검색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89 Ⅰ. 의심선박의 유형 89 1. 비정상적인 항로 운항 89 2. 선박식별 회피 또는 통신불응 운항 90 3. 밀수 관련 의심 90 4. 기타 92 Ⅱ. 의심선박에 대한 정선과 선체수색의 상당성과 적법성 93 제3절 범죄수사 목적의 해상검문검색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95 Ⅰ. 개요 96 Ⅱ. 수사활동 및 경비활동과 결부된 선체수색의 상당성과 적법성 96 1. 수사활동과 경비활동과의 구분 96 2. 수사활동에 수반된 연안수역의 범죄수사 목적 선체수색 사례 97 3. 경비활동에 수반된 연안수역의 범죄수사 목적 선체수색 사례 98 제6장 결론 100 -
dc.language kor -
dc.publisher 한국해양대학교 해사산업대학원 -
dc.rights 한국해양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dc.title 해상검문검색의 집행시 상당성과 적법성 확보에 관한 연구 -
dc.title.alternative A Study on Lawfulness of Checking and Searching of Vessels : Focusing on the Analysis the Stopping and Searching of the Korea Coast Guard at Coast Waters -
dc.type Dissertation -
dc.date.awarded 2022. 2 -
dc.embargo.liftdate 2022-03-08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Park, Jung-Oh -
dc.contributor.department 해사산업대학원 해사법학과 -
dc.contributor.affiliation 한국해양대학교 해사산업대학원 해사법학과 -
dc.description.degree Master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1]박정오, “해상검문검색의 집행시 상당성과 적법성 확보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해사산업대학원, 2022. -
dc.subject.keyword 연안수역 -
dc.subject.keyword 정선 -
dc.subject.keyword 선체수색 -
dc.subject.keyword 해상검문검색 -
dc.subject.keyword 상당한 혐의 -
dc.subject.keyword 합리적 의심 -
dc.title.partName 연안수역에서 해양경찰이 행하는 정선과 수색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dc.identifier.holdings 000000001979▲200000002763▲200000603176▲ -
Appears in Collections:
기타 > 기타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