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우리나라 섬유 및 의류기업의 경영효율성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 Title
- 우리나라 섬유 및 의류기업의 경영효율성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 Alternative Title
-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Textile and Clothing Companies in Korea
- Author(s)
- 최연욱
- Keyword
- DEA, Textile Companies, Clothing Companies, Technical Efficiency, Pure Technical Efficiency, Profit on Scale, DEA, 섬유기업, 의류기업, 기술효율성, 순기술효율성, 규모에 대한 수익
- Issued Date
- 2022
- Publisher
-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13062
http://kmo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42571
- Abstract
- In this study, for the domestic textile and clothing companies in Korea, the relative efficiency levels and efficiency determinants are analyzed through the efficiency measurement method (DEA), and the regression method, and the policy implications to be improved for the inefficiency of this industry are presented. The study period is 10 years from 2011 to 2020,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Electrionic Public Information System of Korea Financial Inspection Agency and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For the efficiency measurement, the input variables are employees, assets, and intermediate goods, and the output variables are sales and value added. The efficiency of textile and clothing companies are analyzed for the period of 10 years from 2011 to 2020 using input and output variables, and the empirical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techincal efficiency in the sales model, the average was measured as 0.704, the highest with DMU21 0.990, and the lowest with DMU26 with 0.398. Pure technical efficiency was measured on average 0.760, DMU21 was the highest with 0.997, and DMU16 had the lowest with 0.403. The scale efficiency was measured as average 0.933, the highest with DMU12 0.997, and the lowest with DMU5 0.624.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technology efficiency, Pure technical efficiency, and scale efficiency, it can be seen that DMU21 is relatively high. The case of technical efficiency and the case of pure technical efficiency show almost similar trends, and it can be seen that the efficiency is decreasing over time.
Second, looking at the technical efficiency in the value-added model, the average was measured as 0.365, the highest with DMU21 0.945, and the lowest with DMU25 at 0.054. The pure technical efficiency was measured on average of 0.498, the highest with DMU1 of 0.953, and the lowest with DMU16 of 0.071. The scale efficiency was measured as average 0.716, the highest with DMU28 0.980, and the lowest with DMU26 0.179.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technology efficiency, pure technical efficiency, and scale efficiency, it can be seen that the efficiency of the DMU21 was relatively high. It shows a trend of high in the beginning, low in the middle, and rising again in the late period. And it can be seen that the scale efficiency was maintained at a very high level.
Third, it was found that among textile and clothing companies, the companies that export 50% or more of total sales shows the lower efficiency. Compared to non-exporting domestic firms, exporting firms were more disadvantaged in efficiency.
Comparing exporting firms and domestic firms, it can be seen that firms that depened on domestic demand seem to have an advantage in increasing efficiency. Due to the dumping and the sales and administrative expenses the disadvantages were given for the exporting firms. In particular, in a situation where textile and clothing companies were in fierce competition with those of other countries, such as China or Southeast Asian countries, the companies focusing on domestic demand were more efficient than the companies focusing on domestic consumption.
Fourth, the companies that do R&D in textile and clothing companies, shows the lower efficiency. It shows the difficulties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design development, research and development of new products and brands due to the fierce competition with foreign countries. It is said that it can be more efficient to buy a brand with royalties produce and sell it than to invest in R&D expenses. In other words, doing an OEM (ODM) may be more advantageous.
The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efficiency of domestic clothing companies was improving, labor (number of employees) and capital (fixed assets) in the industry seemed to be overinvested. In particular, the correlation between labor force and operating profit was very low, while the correlation between fixed assets and operating profit was high. It shows that the industry is slowly transforming into a capital-intensive industry. In order for the textile and clothing companies to be reborn as efficient companies, they will need to drastically reduce their fixed assets and the number of employees, and to make efforts to cut costs such as sales and administrative expenses.
Second, among domestic textile and clothing companies, companies that have their own brands should take an outsourcing strategy of products without owning factories, and companies that do not have a brand need to have their own factories (local corporation) overseas or in Korea.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brands by nurturing design personnels engaged in textiles and clothing in the medium and long ter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hift the production structure to focus on own brand.
Above all, the government's strong and sophiscated policy support will be demanded for the textile and clothing industry’s fierce competition environments in the world in that the textile and clothing industr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an pursue high value added, and nurture professional talents such as designers who are necessary for the textile and clothing industry’s own development strategy.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섬유·의류기업의 효율성 분석을 위한 것으로 자료포락분석의 측정방법(DEA)을 통해 효율성 측정 및 효율성 결정요인 분석을 하여 이 산업의 비효율성에 대한 정책적인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기간은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총 10년으로 자료는 금융감독원의 전자공시시스템의 자료와 통계청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투입변수는 종사자수, 자산, 중간재로 하였으며, 산출은 매출액 및 부가가치로 설정하였다. 투입 및 산출변수를 이용하여 2011년부터 2020년까지 10년간 섬유·의류기업의 효율성을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매출액모형에서 기술효율성을 보면, 평균 0.704로 측정되었고, DMU21 0.990으로 가장 높았으며, DMU26이 0.398로 가장 낮았다. 순기술효율성은 평균 0.760으로 측정되었고, DMU21는 0.997로 가장 높았으며, DMU16이 0.403으로 가장 낮았다. 규모의효율성은 평균 0.933으로 측정되었고, DMU12가 0.997로 가장 높았으며, DMU5는 0.624로 가장 낮았다.
DMU21은 기술효율성, 순기술효율성, 규모의효율성을 비교분석 결과 비교적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기술효율성의 경우와 순기술효율성 경우가 거의 비슷한 추세를 보여주고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효율성이 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부가가치모형에서 기술효율성을 보면, 평균 0.365로 측정되었고, DMU21이 0.945로 가장 높았으며, DMU25는 0.054로 가장 낮았다. 순기술효율성은 평균 0.498로 측정되었고, DMU1이 0.953으로 가장 높았으며, DMU16은 0.071으로 가장 낮았다. 규모의효율성은 평균 0.716으로 측정되었고, DMU28은 0.980으로 가장 높았으며, DMU26가 0.179으로 가장 낮았다.
기술효율성, 순기술효율성, 규모의효율성을 비교분석 결과 DMU21의 효율성이 비교적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초기에는 높았다가 중간에는 낮아지고 후기에는 다시 높아지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규모의효율성은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섬유·의류기업 중에서 Export(수출)을 50% 이상 하는 기업일수록 효율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하지 않는 기업들에 비해서, 수출하는 기업들이 국내 내수의 기업들보다 수출기업들이 오히려 효율성에서는 불리하다. 수출기업과 내수기업을 비교해보면, 내수에 집중하는 기업이 효율성을 높이는 데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덤핑이나, 수출대상인 나라의 판매관리비 등이 국내보다 제도적인 제약 등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특히 섬유·의류기업이 다른 나라 중국이나 동남아 국가들과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내수와 수출에 집중하는 기업을 비교했을 때, 내수에 집중하는 기업들이 더 효율성이 크다.
넷째, 섬유·의류기업에서 R&Dratio(연구개발)을 많이 하는 기업일수록 효율성이 더 떨어진다. 디자인 개발이나 신상품, 브랜드 등의 연구개발은 외국과 경쟁이 치열하다 보니, 경쟁력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R&Dratio(연구개발비)에 투자를 하는 것보다 로얄티를 주고 브랜드를 사 와서 생산 판매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것이다. 즉, OEM(ODM)을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의류기업들의 효율성은 향상되고 있었지만 산업내의 노동(종업원 수)과 자본(고정자산)은 과잉 투자되어 있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노동력과 영업이익과의 상관관계는 굉장히 낮게 나온 반면, 고정자산과 영업이익과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온 결과는 노동력의 증가가 영업이익과 상관관계가 매우 낮다는 점과 의류산업이 노동집약적 산업에서 자본집약적 산업으로 서서히 변모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국내의 섬유·의류기업들이 효율적인 기업들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고정자산과 종업원 수를 과감하게 줄여야 하고, 매출원가 등에 대한 비용 절감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국내의 섬유·의류기업들 중에서 브랜드를 가지고 있는 기업들은 공장을 소유하지 않고 제품의 아웃소싱전략을 가져가야 하며, 브랜드를 가지고 있지 않은 기업들은 해외 또는 국내에 공장(현지법인)을 소유하는 것이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중·장기적으로 섬유나 의류에 종사하는 디자인의 인력을 양성해서 브랜드를 개발하여야 한다. 그래서 자기브랜드 중심으로 생산구조를 전환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4차 산업혁명시대의 섬유·의류산업이 고부가가치를 추구할 수 있고, 디자이너 등의 전문인재육성과 섬유·의류산업의 발전전략을 실행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도 필요할 것이다.
-
Appears in Collections:
- 기타 > 기타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