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2004년 '스터디 코리아 프로젝트(Study Korea Project)'를 실시한 후, 우수한 유학생유치를 통한 고등교육의 국제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 '유학생 10만 시대'를 앞두고 있다. 현재, 한국 내 유학생 수는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다. 특히, 한중 양국이 경제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한국으로 유학을 오는 중국인 유학생 수는 전체 외국인 유학생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한 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연구 범위를 한정하여 해당 그룹의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또한, 한국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한 중국인 유학생의 취업과 취업 후 월급 및 직장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본 논문은 설문 조사 방식을 채택하였으며, '텐센트' 소프트웨어로 링크를 생성한 후 중국인 유학생들이 자주 사용하는 통신 APP인 WeChat으로 해당 설문 조사를 배포하였다. 이를 특정 중국인 유학생 그룹에 배포한 뒤 온라인으로 작성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유효 응답 설문지는 총 188개이며, 그중 취업한 사람이 작성한 설문지는 123개이다. 본 논문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상관관계 분석을 제시하고, 중국 학생들의 취업, 취업 후 평균 월급 및 첫 직장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학교 순위, 비교육적 프로그램, 한중관계 수업, 나이, 외동 여부가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원 종류(전문대학원), 전공(이공계열), 부모의 학력은 중국인 유학생들의 취업 후 평균 월급과 비례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이가 높을수록 직장의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대학의 정책 및 향후 한국 유학을 선택하는 중국 학생들에게 참고 자료를 제공한다. 첫째, 학교들은 비교육적 프로그램을 최대한 늘리고 프로그램을 다양화하여 학생들의 참여도를 보장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둘째, 학교는 더욱 긴밀해지는 한중 관계와 발맞춰 한중 관계와 관련된 수업을 늘려야 한다. 이를 통해 중국인 유학생들로 하여금 한국 생활 및 학업에 보다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하며, 양국 학생들이 서로의 문화를 더욱더 이해하고 양국 국민 간의 교류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해야한다. 외국인 유학생들은 한국의 생활 양식과 자신의 미래 계획을 신중하게 고민한 후 자신과 알맞은 지역과 전공을 선택해야 한다. 또한 본 논문의 경우 연구 데이터 및 조사 인력의 한계 등으로 인하여 제한적인 연구 결과를 얻었으나,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 대상 및 종속 변수에 미치는 영향간의 조합의 경우 후속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