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항만 관련 권한의 합리적 배분방안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김상구 -
dc.contributor.author 손용구 -
dc.date.accessioned 2024-01-03T17:29:57Z -
dc.date.available 2024-01-03T17:29:57Z -
dc.date.created 2023-03-03 -
dc.date.issued 2023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13261 -
dc.identifier.uri http://kmo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65594 -
dc.description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으로 급격히 변화하는 해외 선진항만의 항만물류 시스템의 변화에 발맞추어 부산항의 세계경쟁력을 제고하고, 항만 관련 산업은 부산 지역 내 경제적 파급효과가 매우 크기 때문에, 부산항 등 항만개발 및 관리에 있어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항만공사 간의 항만 관련 권한 행사에 있어, 과연 항만개발 및 관리에 대한 권한을 전적으로 중앙정부가 행사하는 것이 맞는지에 대한 문제제기와 함께, 부산항의 경제적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 부산광역시나 부산항만공사가 중앙정부의 항만 관련 사무를 현지에 맞게 항만자치권을 얼마만큼 확보해야 부산항의 세계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중앙정부에 집중되어 있는 항만개발 및 관리 등의 권한을 지방자치단체나 항만공사로의 권한배분을 문헌조사와 항만 관련 전문가 설문조사 등을 통해 제시하고, 항만 관련 권한에 대해 중앙정부의 입장, 지방자치단체의 입장, 항만공사의 입장은 무엇인지를 선행연구들을 통해 분석하고 또한 항만에 대한 중앙정부의 권한, 지방자치단체의 권한, 항만공사의 권한은 어떻게 설정되어 있는지에 대해서 「항만법」,「항만 재개발 및 주변지역 발전에 관한 법률」,「마리나항만의 조성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등 이른바 현행 항만3법 조항의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현행 「항만법」상, 부산항 등 국가관리항은 항만기본계획수립 등 항만 관련 권한은 해양수산부장관에게 있음으로 해서 항만의 통일성, 공공성, 효율성의 측면에서 지금까지 운용되어 왔지만, 지방자치시대가 30년을 넘기면서 각 지방자치단체의 역량이 과거 보다 많이 강화되었고, 지방분권에 대한 지역민의 요구가 그 어느 때보다 크기 때문에 항만개발에 있어 항만의 현지성, 지역과의 연계성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중앙정부 보다는 지방자치단체가 주체적으로 항만 관련 권한을 행사 해야지 도시계획과의 정합성의 문제도 해결 될 수 있다. 또한 항만 경쟁력 강화와 항만운영의 자율성, 항만운영의 전문성을 위해서도 관할 구역 내의 항만공사의 역할도 점점 커져가고 있다. 본 연구는 항만 관련 권한의 합리적 배분방안을 크게 5가지로 정리하였는데, 첫째, 「항만법」상 항만기본계획 수립 및 시행권한의 배분방안, 둘째, 「항만법」상의 항만관리ㆍ운영 권한의 배분방안, 셋째, 「항만법」상 항만배후단지개발계획 및 시행 권한의 배분방안, 넷째, 「항만재개발법」상 항만재개발 기본계획수립 및 시행 권한의 배분방안, 다섯째, 「마리나항만법」상 기본계획수립 및 시행 권한의 배분방안에 대하여 관련 법 제도의 개정 필요성과 함께 배분방안을 제시하였다.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한 「항만법」상 ‘항만기본계획수립 및 시행 권한의 배분’은 기존 해양수산부의 권한유지보다는 지역과의 연계성과 항만의 현지성에 중점을 두고 지방자치단체로 권한 배분이 필요하고, 항만의 경쟁력을 위해서는 항만공사로의 권한 배분이 필요하다. 「항만법」상 ‘항만관리ㆍ운영 권한’의 배분은 기존 해양수산부의 항만의 통일성, 항만의 효율성 측면에서 해양수산부의 권한유지보다는 지역과의 연계성과 항만의 현지성 측면에서 지방자치단체로의 권한 배분이 필요하고, 항만운영의 자율성 측면에서는 항만공사로의 권한 배분이 필요하다. 또한 「항만법」상 ‘항만배후단지개발계획 권한’의 배분은 기존 해양수산부의 항만의 통일성, 공공성, 효율성 측면에서 해양수산부의 권한유지보다는 지역과의 연계성과 지역경제 활성화, 항만의 현지성 측면에서 지방자치단체로의 권한 배분이 필요하고, 「항만재개발법」상 ‘항만재개발기본계획수립 및 시행권한’의 배분은 기존 해양수산부의 항만의 통일성, 항만의 공공성, 그리고 자원배분의 효율성 측면에서 해양수산부의 권한유지보다는 지역과의 연계성, 지역경제 활성화, 항만의 현지성에 중점을 두고 지방자치단체로의 권한의 배분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마리나항만법」상 ‘마리나항만기본계획수립 및 시행 권한’의 배분은 기존 해양수산부의 항만의 통일성, 항만의 공공성, 그리고 자원 배분의 효율성의 측면에서 해양수산부의 권한유지보다는 지역과의 연계성, 지역경제 활성화, 항만의 현지성에 중점을 두고 지방자치단체로의 권한의 배분이 필요하다. -
dc.description.abstract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global competitiveness of Busan Port in line with the changes in the port logistics system of advanced overseas ports that are rapidly changing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exercise of port-related authority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port authorities in port development and management, raises the question of whether it is true that the central government exercises the authority for port development and management entirely, as well as raising the economic status of Busan Port. In order to improve the Busan Metropolitan City or the Busan Port Authority, the central government's port-related affairs started with a critical mind of how much port autonomy should be secured to enhance the global competitiveness of Busan Port. The distribution of authority, such as port development and management, concentrated in the central government to local governments or port authorities is present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a survey of port-related experts, and the central government's position on port-related authority, The position of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position of the port authority are analyz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how the authority of the central government, the authority of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authority of the port authority are established in the 「Port Act」.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provisions of the so-called 3 Port Acts, such as the 「Port Redevelopment and Adjacent Area Development Act」 and the 「Marina Port Creation and Management Act」. Under the current 「Port Act」, nationally managed ports such as Busan Port have been operated so far in terms of uniformity, publicity, and efficiency of ports because the Minister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has port-related authority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basic port plans. Over the years, the capacity of each local government has been strengthened more than in the past, and since the demand of local residents for decentralization is greater than ever, the central government has been Rather, local governments should exercise port-related authority on their own initiative to solve the problem of compatibility with urban planning. In addition, the role of port authorities within the jurisdiction is gradually increasing for the strengthening of port competitiveness, the autonomy of port operation, and professionalism of the port operation. This study has organized the rational distribution of port-related rights into five major categories. First, the establishment of a basic port plan under the 「Port Act」 and the distribution of enforcement rights, second, the distribution of port management and operation rights under the 「Port Act」 Third, the distribution plan of port hinterland development plan and execution authority under 「Port Act」, fourth,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authority of basic port redevelopment plan under 「Port Redevelopment Act」, fifth,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a basic plan under 「Marina Port Act」 Regarding the distribution method of authority, the distribution method were proposed along with the need for revision of related laws and systems. According to the 「Port Act」 through a survey of experts, ‘allocation of authority to establish and implement basic plans for ports’ requires distribution of authority to local governments with an emphasis on connectivity with regions and locality of ports rather than maintaining the existing authority of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For the competitiveness of ports, it is necessary to distribute authority to port authorities. According to the 「Port Act」, the distribution of the ‘right to manage and operate the port’ is not to maintain the authority of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in terms of port unity and port efficiency, but rather to distribute the authority to local governments in terms of connectivity with the region and locality of ports. This is necessary, and in terms of autonomy in port operation, it is necessary to distribute authority to port authorities.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of the ‘port hinterland development planning authority ’ under the 「Port Act」 is not about maintaining the authority of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in terms of unity, publicity, and efficiency of ports, but in terms of connectivity with the region, 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and locality of ports It is necessary to distribute powers to local governments The distribution of the ‘authority to establish and implement basic plans for port redevelopment’ under the 「Port Redevelopment Act」 is based on the connection with the region rather than maintaining the authority of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in terms of the unity of ports, the publicity of ports, and the efficiency of resource distribution. It is necessary to distribute authority to local governments with an emphasis on economic revitalization and port locality. Lastly, the distribution of the ‘marina port master plan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authority’ under the 「Marina Port Act」 is related to the region rather than maintaining the authority of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in terms of port uniformity, publicity of ports, and resource allocation efficiency. It is necessary to distribute authority to local governments with an emphasis on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and locality of ports. Keywords: Port Autonomy, Port 3 Act, port authority, Port Development, Port Redevelopment, Marina Port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 1 장 서 론 1 제1절 연구목적 1 제2절 연구범위와 연구방법 4 Ⅰ. 연구의 범위 4 Ⅱ. 연구의 방법 6 제 2 장 항만 관련 권한에 대한 이론 및 선행연구의 고찰 7 제1절 항만관리제도의 개관 7 제2절 우리나라 항만관리제도의 연혁 9 제3절 항만개발 및 관리 권한의 배분에 관한 선행 연구의 고찰 12 Ⅰ. 중앙정부 입장의 선행연구 분석 12 Ⅱ. 지방자치단체 입장의 선행연구 분석 18 Ⅲ. 항만공사 입장의 선행연구 분석 28 Ⅳ. 세계 주요 항만의 항만관리 권한 사례분석 및 시사점 35 제 3 장 항만 관련 기관의 권한 분석 및 한계 45 제1절 「항만법」의 권한 분석 및 한계 45 Ⅰ. 중앙정부의 권한 46 Ⅱ. 지방자치단체의 권한 51 Ⅲ. 항만공사의 권한 55 제2절 「항만재개발 및 주변지역 발전에 관한 법률」의 권한 분석 및 한계 59 Ⅰ. 중앙정부의 권한 60 Ⅱ. 지방자치단체의 권한 62 Ⅲ. 항만공사의 권한 65 제3절 「마리나항만의 조성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의 권한 분석 및 한계 69 Ⅰ. 중앙정부의 권한 72 Ⅱ. 지방자치단체의 권한 74 Ⅲ. 항만공사의 권한 78 제 4 장 연구모형과 항만 관련 권한의 합리적 배분방안 79 제1절 선행연구의 핵심주장과 내용분석 79 Ⅰ. 중앙정부 입장의 핵심주장 79 Ⅱ. 지방자치단체 입장의 핵심주장 81 Ⅲ. 항만공사 입장의 핵심주장 85 Ⅳ. 선행연구로부터 본 연구의 변수 선정 88 제2절 연구의 분석틀과 가설설정 91 Ⅰ. 연구의 분석틀 91 Ⅱ. 가설설정 93 제3절 자료수집과 가설검증 96 Ⅰ. 자료수집과 표본의 특성 96 Ⅱ. 통계분석과 가설검증 100 제4절 항만 관련 권한의 합리적 배분방안 118 Ⅰ. 항만 관련 권한의 배분기준 118 Ⅱ. 권한의 합리적 배분방안 124 제 5 장 결 론 132 참 고 문 헌 135 부 록 140 국 문 초 록 144 -
dc.format.extent 146 -
dc.language kor -
dc.publisher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dc.rights 한국해양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dc.title 항만 관련 권한의 합리적 배분방안에 관한 연구 -
dc.title.alternative A study on rational distribution of port-related authority - Focusing on Busan Port - -
dc.type Dissertation -
dc.date.awarded 2023-02 -
dc.embargo.terms 2023-03-03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Sohn, Yong-Gu -
dc.contributor.department 대학원 통상행정학과 -
dc.contributor.affiliation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통상행정학과 -
dc.description.degree Doctor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손용구. (2023). 항만 관련 권한의 합리적 배분방안에 관한 연구. -
dc.subject.keyword 항만자치권, 항만3법, 항만권한, 항만재개발 -
dc.title.partName 부산항을 중심으로 -
dc.contributor.specialty 행정학 -
dc.identifier.holdings 000000001979▲200000003272▲200000665594▲ -
Appears in Collections:
기타 > 기타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