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한국 주요산업의 학력별 노동수요 결정요인 분석 : 제조업과 보건복지서비스업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유일선 -
dc.contributor.author 임재원 -
dc.date.accessioned 2024-01-03T18:01:23Z -
dc.date.available 2024-01-03T18:01:23Z -
dc.date.created 2023-09-25 -
dc.date.issued 2023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13331 -
dc.identifier.uri http://kmo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97394 -
dc.description.abstract Since the 1990s, two economic phenomena have emerged in the Korean economy. One is that the labor market structure is changing as the industrial structure changes from the manufacturing industry to the service industry. The other is deepening income inequality. In addition to the difference in capital and labor income, the wage gap between workers by education, occupation, and skill level is intensifying, and employment insecurity for unskilled labor is intensifying. Various theories have emerged to clarify this, including human capital theory related to the segmented labor market, international trade hypothesis related to globalization, and skilled labor biased technical progress hypothesis related to technical progress. This paper attempted an empirical analysi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labor demand by academic background for the manufacturing industry, where the proportion of employment is decreasing, and the medical and welfare industry, where the proportion of employment is rapidly expanding. First, according to the theory of human capital, the labor markets are segmented into two labor markets by educational background in both industries. Assuming the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 high- educated labor(), low-educated labor(), and physical capital() were variable factors in the long term, and total production(), technical progress(), and globalization() were exogenous variables in both industries. In the short term, only and were variable factors, and physical capital () was included in the exogenous variable. Based on this production function, the cost function was induced, and the Shepard’s lemma was applied to it to derive the linear log estimation equation and estimate it as the SUR model based on the data of 1993-2021. Based on the results estimated so far, in the case of long term, the contents of the interpreta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 high-educated labor with college graduates or higher, the manufacturing industry(MI) showed a decrease in employment of , low-educated labor and an increase in employment of . On the other hand, in the medical and welfare service industry(MWI), employment increased in both and . Second, technical progress showed an increase in employment of in the MI and an increase in employment of in the MWI. Therefore, ‘high-educated labor biased technical progress hypothesis’ has not been proven in both industries. Third, The impact of globalization() was found to be an increase in employment of in the MI, and an increase in employment of in the MWI.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international trade hypothesis is not established in the labor market by educational background of both industries. Fourth, in the MI and MWI, an alternative relationship between labor by educational background is being established, and it is stronger in the MI. Fifth, in the case of high-educated labor() with more than vocational college graduates, it shows that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capital() and in the MI,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and in the MWI and an alternative relationship between and . The following short-term cas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 the increase of leads to a decrease in employment of in the MI but an increase in employment of and in the MWI. Second, during the economic boom, employment of and increased in both industries. Third, technical progress was found to be a decrease in employment of and an increase in employment of in the MI. On the other hand, in the MWI, employment of and increases. Therefore, it shows that‘high-educated labor biased technical progress hypothesis’is emerging in the MI. Fourth, in the case of , it shows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he labors by education in the MI and the MWI. Fifth, the impact of was found to be the increase in employment of and in both industrie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international trade hypothesis is not established in the labor market by educational background in both industries. The most prominent feature of this study is that in the MI, there is a significant decrease in employment of due to technical progress in the short term and in the long term, despite the economic boom. It has policy implications to solve the wage gap by education level and job insecurity such as unemployment due to the decrease in employment of . As a limitation of the study, the elasticity of substitution in the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 was 1 and it was estimated simply using time as an indicator of technical progress. In order to understand the impact of ‘high-educated labor biased technical progress hypothesis’on the labor market by Korean academic background, industrial R&D costs offered by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companies are expected to be more effective as indicators of technical progress. An empirical analysis based on the production function considering these indicators will be able to more clearly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labor demand by the educational background in major Korean industries. These problems will be considered as future research projects.|1990년대 이후 한국경제에 두 가지 현상이 나타났다. 하나는 산업구조가 제조업중심에서 서비스산업의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노동시장구조가 변화하고 있다. 다른 하나는 소득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다. 자본과 노동소득 차이뿐만 아니라 노동자간 학력별, 직종별, 숙련도별 임금격차와 저학력노동의 고용불안 등이 심화되고 있다. 이것을 규명하기 위해 다양한 이론들이 등장하였고 대표적으로 분절노동시장 관련 인적자본론, 세계화 관련 국제무역가설과 기술진보 관련 고학력노동편향 기술진보가설 등 들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경제환경의 변화 배경하에서 고용비중이 축소되는 제조업과 고용비중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보건복지서비스산업을 대상으로 학력별 노동수요 결정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먼저 인적자본론에 따라 양산업의 학력별 노동시장으로 분절하였다. Cobb-Douglas 생산함수를 가정하고 장기에는 고학력노동(), 저학력 노동()과 물적자본()을 가변요소로 하고, 양 산업의 총생산(), 기술진보(), 세계화() 외생변수로 하였다. 단기에는 과 을 가변요소로 하고 물적자본()을 외생변수에 포함하였다. 이런 생산함수를 바탕으로 비용함수를 유도하고 여기에 세퍼드 정리를 적용하여 선형로그추정식을 도출하였다. 이 추정식을 가지고 1993-2021년 간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SUR모형으로 추정하였다. 지금까지 추정한 결과를 바탕으로 먼저 장기의 경우 해석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 경우 제조업은 경기호황에 의 고용감소, 의 고용증가가 나탔다. 반면 보건복지서비스업은 과 모두 고용증가가 나타났다. 둘째, 기술진보는 제조업에는 의 고용증가로, 보건복지서비스업에는 의 고용증가로 나타났다. 따라서 양 산업에서 고학력노동 편향 기술진보가 입증되지 않고 있다. 셋째, 의 영향은 제조업에서 의 고용증가로, 보건복지서비스업에는 의 고용증가로 나타났다. 따라서 양산업의 학력별 노동시장에서는 국제무역가설이 성립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제조업이나 보건복지서비스업에서 학력별 노동간 대체요소 관계가 성립되고 있고 제조업에서 더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다섯째, 의 경우 제조업에서 와 는 보완요소관계가, 보건복지서비스업에서 와 는 보완요소 관계가, 와 는 대체요소관계가 성립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단기의 경우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 경우 증가가 제조업에서 의 고용감소를 가져오나 보건복지서비스업에서 과 의 고용증가를 가져온다. 둘째, 경기호황에 양 산업 모두에서 과 모두 고용증가가 나타났다. 셋째, 기술진보는 제조업에 의 고용감소로, 의 고용증가로 나타났다. 반면 보건복지서비스업에서 과 의 고용증가를 가져온다. 따라서 제조업에서는 고학력노동 편향 기술진보가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넷째, 인 경우 제조업과 보건복지서비스업에서 학력별 노동간 보완요소 관계를 보여준다. 다섯째, 의 영향은 양 산업에서 과 의 고용증가로 나타났다. 따라서 양산업의 학력별 노동시장에서는 국제무역가설이 성립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제조업부문에서 단기에는 기술진보로 의 고용감소로, 장기에는 경기호황에도 의 고용감소가 상당히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의 고용감소에 따른 학력별 임금격차와 실업 등 고용불안을 해결해야 하는 정책적 함의를 갖는다. 연구의 한계점으로 Cobb-Douglas 생산함수의 대체탄력성이 1이고 기술진보의 지표로서 단순히 시간을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고학력노동편향 기술진보가 한국 학력별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기술진보 지표로서 정부와 민간기업의 산업별 연구개발비가 더 유효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지표를 고려한 생산함수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하면 한국 주요 산업의 학력별 노동수요의 결정요인을 더 명확히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문제는 앞으로 연구과제로 삼는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 1 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방법과 범위 4 2. 1 연구방법 4 2. 2 연구범위 5 제3절 연구의 구성 6 제 2 장 노동시장이론과 선행문헌연구 10 제1절 이론적 배경 10 1. 1 분절노동시장론과 임금격차 10 1.1.1 인적자본론 10 1.1.2 이중노동시장 이론 13 1. 2 숙련노동편향 기술진보 가설 15 1. 3 국제무역가설 18 제2절 선행문헌연구 20 2. 1 고학력-저학력노동시장 구조 21 2. 2 기술진보과 노동시장구조 변화 25 2. 3 세계화와 국제무역가설 29 제 3 장 제조업과 보건복지서비스업의 노동시장구조 32 제1절 한국 주요산업의 현황 32 1. 1 주요 산업의 고용구조 변화 32 1.1.1 주요산업의 고용구조 변화 32 1.1.2 주요산업의 임금구조 변화 36 제2절 제조업의 학력별 노동시장 현황 41 2. 1 제조업의 고용구조 41 2. 2 제조업의 임금구조 43 제3절 보건복지서비스업의 학력별 노동시장 현황 46 3. 1 보건복지서비스업의 고용구조 46 3. 2 보건복지서비스업의 임금구조 49 제 4 장 실증분석 모형 설정 53 제1절 추정모형 설정 53 제2절 통계자료 56 2. 1 산업별 학력별 고용자수 56 2. 2 산업별 학력별 노동수요와 임금 57 2. 3 산업별 총생산액 57 2. 4 시장이자율과 금융비용 57 2. 5 세계화 : 총무역액 58 2. 6 물적자본 58 2. 7 소비자 물가지수 59 제3절 변수 관련설명 59 3. 1 종속변수 59 3. 2 독립변수 60 제4절 통계분석 방법 61 4. 1 단위근 검정 61 4. 2 공적분 검정 62 4. 3 SUR추정방법 63 제 5 장 추정결과 및 해석 65 제1절 단위근과 공적분 검정 65 1. 1 단위근 검정 결과 65 1. 2 공적분 검정 결과 68 제2절 SUR 추정결과 70 2. 1 제조업의 추정결과 70 2. 2 보건복지서비스업의 추정결과 75 제3절 해석 80 제 6 장 결 론 87 참고문헌 90 부표 97 국문초록 98 -
dc.format.extent 100 -
dc.language kor -
dc.publisher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dc.rights 한국해양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dc.title 한국 주요산업의 학력별 노동수요 결정요인 분석 : 제조업과 보건복지서비스업 중심으로 -
dc.title.alternative An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Labor Demand by Educational Background in Korean Major Industries: Manufacturing Industry and Medical & Social Welfare Service Industry -
dc.type Dissertation -
dc.date.awarded 2023-08 -
dc.embargo.terms 2023-09-25 -
dc.contributor.department 대학원 경제산업학과 -
dc.contributor.affiliation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경제산업학과 -
dc.description.degree Doctor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임재원. (2023). 한국 주요산업의 학력별 노동수요 결정요인 분석 : 제조업과 보건복지서비스업 중심으로. -
dc.subject.keyword Manufacturing Industry, Medical & Welfare Industry, Educational Wage Discrepancy, Determinants of Educational Labor Demand, 제조업, 보건복지서비스업, 학력별 노동수요 결정요인, 학력별 임금격차 -
dc.identifier.holdings 000000001979▲200000003613▲200000697394▲ -
Appears in Collections:
기타 > 기타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