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3차원 고해상도 모형을 이용한 동중국해 내부조석의 해류효과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권현경 -
dc.date.accessioned 2017-02-22T02:14:02Z -
dc.date.available 2017-02-22T02:14:02Z -
dc.date.issued 2014 -
dc.date.submitted 2014-03-24 -
dc.identifier.uri http://kmo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174134 ko_KR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8085 -
dc.description.abstract 내부 조석의 발생은 대륙붕과 대륙사면과 같이 급격히 지형이 변하는 해저 지형의 형태와 조석의 크기, 밀도의 성층화 조건에 좌우된다. 이러한 조건에 부합하는 동중국해 지역은 세계적으로 M2 내부 조석이 발생하는 주요 지역이지만 선행된 연구들의 대부분이 외부조석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었다. 내부 조석의 생성과 전파는 관측만으로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지역적인 수치 모델을 이용하여 연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동중국해의 해류가 M2 내부 조석 에너지의 생성과 전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고 내부조석 에너지의 시·공간적 크기 및 분포 특성을 정량적으로 알아 보기위해 3차원 고해상도 해양 모형을 이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모델 영역은 위도 15。N~35。N, 경도 115。E~150。E로 설정하였다, 모델 해상도는 1/12。(약 7~8 Km)이며, 수직격자는 50층으로 구성하였다. 1979년부터 2011년까지 평균하여 3시간 간격의 기상자료를 사용하였고, 2004년부터 2011년 까지 HYCOM에서 제공하는 동화자료 중 유속, 수온, 염분, 표층 수위 값을 개방경계에서 사용하였다. 동중국해에서 M2 내부 조석 에너지가 생성되는 주요 지역은 Bashi/Luzon 해협과 Tokara 해협이다. 해류에 영향으로 인해 내부조석의 생성량이 약 3 GW 정도 감소하였고, 계절별로 생성량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Bashi/ Luzon 해협과 Tokara 해협에서 전파되는 내부 조석 에너지는 해류로 인해 전파 에너지가 감소하였고, 전파 방향 또한 변화하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1.서론 2.모델개요 2.1 모델 개요 3 2.2 모델 영역 및 입력 자료 4 3.결과 3.1 해류 검증 8 3.2 조석 검증 11 3.2.1 조위 검증 11 3.2.2 조류 검증 14 3.3 내부 조석에 미치는 해류의 효과 14 3.3.1 내부 조석의 생성 17 3.3.2 내부 조석 에너지 전파 27 3.3.3 해역별 해류 효과 30 4. 결론 41 -
dc.language kor -
dc.publisher 한국해양대학교 -
dc.title 3차원 고해상도 모형을 이용한 동중국해 내부조석의 해류효과 -
dc.type Thesis -
dc.date.awarded 2014-02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Hyun Kyung Kwon -
Appears in Collections:
해양생명환경학과 > Thesis
Files in This Item:
000002174134.pdf Download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