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D를 활용한 연안지역 침수 취약성 대응방안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홍성기 | - |
dc.date.accessioned | 2017-02-22T02:17:50Z | - |
dc.date.available | 2017-02-22T02:17:50Z | - |
dc.date.issued | 2012 | - |
dc.date.submitted | 2013-01-21 | - |
dc.identifier.uri | http://kmo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174201 | ko_KR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8163 | - |
dc.description.abstract | On the assumption that currently the rise of the sea level in coastal area, several research about the inundation vulnerability are treated in different ways. The pro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high sea level caused by global warming in coastal area, specially the region Yeong-do as the research subject, and to suggest solution approaches for the damage types. Therefore, a potential rate of rise in sea level is assumed and with this data the flood damage is mapped in the real situation. With this virtual map this work attempts to be used for making preparations of the several practical measures and furthermore for establishing an urban planning. These research purposes show in a part of the second chapter the rise of sea level and it is searched for the effect on the human life in coastal area. Accordingly the solution approaches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n this foundation the geographical problems of the selected area, Yeong-do, as the research object of flooding vulnerability are found in the third chapter and forecasted the real flooding situation in three-dimensional. In addition the explanation and the supplement points about the map is mentioned, which is made with this process, and then is suggested, how this map will be used in reality. In the last chapter the region Yeong-do is subdivided into four small parts and individual solution approaches for each area are suggested.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목 차 ⅰ 표 목 차 ⅲ 그림목차 ⅴ Abstract ⅷ 제 1 장 서 론 1 1.1 연구배경 및 목적 1 1.2 연구내용 5 제 2 장 연안 해수면 상승 및 대응 7 2.1 해수면 상승 7 2.1.1 해수면 상승의 원인 7 2.1.2 해수면 상승의 영향 9 2.2 해수면 상승 대응방안 10 2.3 연구 사례 및 동향 13 2.4 대응 방안 유형 사례 19 2.4.1 적응(Adaptation) 20 2.4.2 방어(Defend) 23 2.4.3 관리적 이주(Retreats) 25 제 3 장 영도 침수 취약성 진단 26 3.1 지역 특징 및 문제점 26 3.1.1 대상지역 분석 및 고찰 26 3.1.2 침수 피해 사례 31 3.1.3 침수 요인 설정 34 3.2 침수 가상 시나리오 작성 37 3.2.1 3차원 가시화 및 데이터 구축 37 3.2.2 시나리오별 침수 범위 41 3.2.3 침수 취약지역 설정 43 3.3 활용 및 개선방안 47 3.3.1 재해지도 및 침수 흔적도 활용 사례 47 3.3.2 향후 개선 및 활용 방안 51 제 4 장 영도 침수 대응 방안 52 4.1 관련 제도 검토 56 4.2 섹터-1 (남항동,영선동 일대 및 봉래동 일부) 64 1) 하드웨어적 대응 방안 68 2) 소프트웨어적 대응 방안 76 4.3 섹터-2 (청학동,삼삼 공업단지 일대) 80 1) 하드웨어적 대응 방안 82 2) 소프트웨어적 대응 방안 86 4.4 섹터-3 (동삼 3동 매립지 일대) 87 1) 하드웨어적 대응 방안 90 2) 소프트웨어적 대응 방안 95 4.5 섹터-4 (감지해변 및 중리 해안가 일대) 99 1) 하드웨어적 대응 방안 102 2) 소프트웨어적 대응 방안 106 제 5 장 결 론 110 감사의 글 113 [참고문헌] 114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한국해양대학교 | - |
dc.title | CAD를 활용한 연안지역 침수 취약성 대응방안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CAD를 활용한 연안지역 침수 취약성 대응방안 연구 | - |
dc.type | Thesis | - |
dc.date.awarded | 2013-02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Hong sung ki | -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