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부산항 위험물컨테이너 안전관리를 위한 저장시설 개선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강창화 -
dc.date.accessioned 2017-02-22T06:14:31Z -
dc.date.available 2017-02-22T06:14:31Z -
dc.date.issued 2016 -
dc.date.submitted 57098-06-03 -
dc.identifier.uri http://kmo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302940 ko_KR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9206 -
dc.description.abstract 선박을 통해 해상으로 운송되는 위험물 중에는 불산, 암모니아, 황산 등과 같은 유해액체물질과 LNG, LPG와 같은 액화가스, 그리고 석회석, 유연탄 등과 같은 산적고체화물을 비롯해 포장위험물이 있으며, 이러한 위험물의 최근 물동량은 약 2억5,100만 톤으로 전체 해상물동량의 약 19%를 차지하며 연간 증가추세에 있다. 또한, 포장위험물을 취급하는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은 지리적 위치로 인해 위험물과 관련한 사고 발생 시 그 피해는 텐진항 폭발사고 못지않을 어마어마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기 때문에 반입되는 위험물의 최초 경유지인 항만에서는 위험물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항 위험물컨테이너의 처리물량 증가에 따른 운영사별 위험물 옥외저장소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연간 위험물컨테이너의 처리실적과 운영사별 허가받은 옥외저장시설의 수용능력 및 평균장치율 등의 통계자료를 근간으로 하여 저장시설의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국/내외 대표적인 위험물사고사례와 컨테이너터미널의 사고사례를 바탕으로 위험물컨테이너의 안전관리 개선방안과 외부기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수입 위험물컨테이너에 대한 CIP제도, 그리고 위험물과 관련된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위험물로 인한 중대재해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사고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 하고자 연구 하였다. -
dc.description.abstract The dangerous goods transported by ship can b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hazardous liquid substance such as hydrofluoric acid, ammonia, sulfuric acid, etc., liquefied gas such as LNG, LPG, solid bulk such as limestone, flaming coal, etc. and packed dangerous goods. At present about 251million tonnage of the cargo which classified as dangerous goods is transported by ship and account for more than about 19percent of the maritime traffic. Also shipping of dangerous goods by sea becomes more increasing than ever before. Busan Port, 6th largest port in the word is now handling lots of packaged dangerous goods and the accident related with dangerous goods can bring about huge damages in Busan Port as much as Tianjin, China, chemical explosion accidents because of geographical position. So dangerous goods are required for special care and handling in the port as the first stop into a county. So this study would seek effective measures to improve the storage facilities based on statistics data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handling results of dangerous goods’ container and authorized facilities’ capacity and average staking rate of outdoor hazardous materials storage by container terminal in Busan Port. Also through investigating the current problems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regarding dangerous goods and CIP(Container Inspection Program) being performed by external agencies based on the typical case of accidents of domestic and abroad,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its improving method and prevent/reduce the serious accident caused by dangerous goods beforehand and to minimize damages in the event of accident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List of Tables ii List of Figures iv Abstract v 제 1 장 서 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의 내용 및 수행 방법 3 제 2 장 위험물의 정의 및 국제기준 4 2.1 위험물의 정의 4 2.2 위험물 운송에 관한 국제기준 4 2.3 국제해상위험물규칙(IMDG Code) 6 제 3 장 위험물관련 법규 10 3.1 위험물 해상운송 및 하역보관 법령 10 3.2 위험물의 분류 16 제 4 장 위험물 컨테이너 처리현황 25 4.1 IMDG Code기준 부산항 위험물 컨테이너 처리실적 25 4.2 위험물안전관리법 기준 위험물 처리실적 31 4.3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위험물 장치현황 34 제5장 부산항 위험물장치장 관리 문제점 및 개선방안 43 5.1 위험물저장소의 법적 기준 43 5.2 위험물 컨테이너 점검제도(CIP) 44 5.3 위험물 사고사례 49 5.4 항만종사자에 대한 위험물 안전교육 52 5.5 문제점 및 개선방안 55 제 6 장 결론 68 6.1 연구결과 68 6.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70 -
dc.language kor -
dc.publisher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금융· 물류대학원 -
dc.title 부산항 위험물컨테이너 안전관리를 위한 저장시설 개선에 관한 연구 -
dc.title.alternative Improving Storage Facilities for Dangerous Container Cargo in Busan Port -
dc.type Thesis -
dc.date.awarded 2016-08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KANG CHANG HWA -
Appears in Collections:
항만물류학과 > Thesis
Files in This Item:
000002302940.pdf Download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