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항만하역시장 안정화 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항만하역시장 안정화 방안에 관한 연구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stabilization measures of Busan Port Container Terminal Cargo Market
Author(s)
윤정희
Issued Date
2016
Publisher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URI
http://kmo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302802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9222
Abstract
본 논문은 현재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이 직면하고 있는 출혈적 과당경쟁으로 인한 하역시장의 불안정한 요인을 체계적으로 진단하였다. 불안정한 요인을 해소하기 위한 안정화방안을 선행연구 고찰과 현황분석을 통해 도출하였다. 도출된 하역시장 안정화방안의 안정화 효과를 검정하고 실현가능한 하역시장 안정화방안을 제시하여 부산항의 컨테이너 터미널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사가 직면하고 있는 하역시장 불안정화 요인을 살펴 보면, 시장구조적 측면에서 볼 때, 컨테이너 하역산업이 자연독점적 특성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산항 컨테이너부두 운영주체는 9개사로 소규모로서 독점적 경쟁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규모의 경제효과를 달성하기 어렵고 일시적 수급 불균형 내지 부두간 물동량 전이가 발생할 경우 운영사 간 과당경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2006년 신항 개장이래로 북항과 신항간에 시장점유율 변동성이 심화되어 양극화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어 부산항 이미지 실추는 물론, 선사에 대한 대외교섭력이 크게 약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본래 항만산업은 자연독점적 성격이 강해 적정이윤 뿐만 아니라 초과이윤이 발생되지만 현재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은 과당경쟁으로 적정이윤은 커녕 적자가 누적되고 있다. 시장집중률을 나타내는 허쉬만-허핀달 지수(HHI)가 1996년에 비해 2015년도에는 급격히 낮아지면서 경쟁적인 시장으로 변모해 가고 있다. 이러한 시장집중률 하락과 신항, 북항간 양극화는 운영사의 수익성에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

이에 부산항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하역안정화 방안의 효과를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 임직원을 위시하여 관련선사와 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진단하였고 이에 대한 연구가설 검정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검정결과에 의하면, 3개의 하역안정화요인[시장구조요인, 시장행동요인, BPA요인]은 하역안정화 효과에 강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운영사요인은 영향관계를 보이지 않고 있다. 특히 시장행동요인인 덤핑규제로 적정요율 준수 강화, 처리능력 적정화 및 처리물량 상한제 설정, 임대부두와 민자부두 사후관리 강화, 항만노무시장 유연안정화 및 구조조정 지원이 하역안정화 효과에 매우 중요한 영향요인인 것으로 입증되고 있다. 그리고 시장구조요인인 개발정책과 운영정책의 적절한 연계를 통한 항만수급관리 강화, 터미널 운영구조 개편과 운영단위 확대 및 운영사간의 선석․항만시설의 공동 활용 등의 협력강화로 선사에 대한 대응능력 제고도 하역시장 안정화에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시장행동 및 구조적 요인도 중요하지만 부산항 관리주체인 BPA의 역할도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즉, 항만물류사업의 글로벌화를 통하여 해외진출 역량을 강화하고 부산항이 동북아 물류허브가 되기 위해 국제SCM 역할을 강화하는 것이 부산항 이미지 제고와 선사에 대한 교섭력을 증진시켜 하역안정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입증되고 있다.

둘째로, 본 연구에서는 4개의 하역안정화 요인이 안정화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데에 있어서 하역요율 인가제가 조절효과가 있는 가를 검정하였다. 검정결과, 4개의 안정화요인 전부에 대해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현재의 요율신고제 대신 인가제로 변경할 경우,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 하역안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선사가 하역요율 인상 필요성을 실질적으로 인지하는 계기가 되어 시장구조 개선이나 바람직한 방향으로 시장행동을 유인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에 의한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의 하역시장을 안정화 시켜 경쟁력을 제고시킬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현재 북항 터미널을 통합하는 작업이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북항터미널을 싱가포르처럼 하나의 운영사로 통합하여 운영단위를 글로벌화해야 한다. 이를 통해 신해운동맹으로 영향력이 강화된 글로벌선사에 대응하는 하역요율 협상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나 BPA는 개발정책과 운영정책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체제를 구축하여 항만수급관리를 실질적으로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부산항 하역시장의 가장 본질적인 문제점은 출혈적 하역요율로 인한 수익성 및 경쟁력 저하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의 시장행동적 문제점을 BPA와 더불어 바로 잡아야 한다.

컨테이너터미널 하역시장의 안정화를 도모하여 부산항이 동북아 물류허브가 되기 위해서는 정부와 BPA의 역할이 중요하다. 현재 진행 중인 북항터미널의 단일화 작업을 신속히 매듭짓고 그래도 하역요율 덤핑이 계속된다면 신고제에서 인가제 방안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개발정책과 운영정책의 효율적인 연계가 필요하다.

현재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은 대내적으로 환경적인 불확실성과 악재로 이중적인 경영의 어려움에 처해 있다. 이러한 경영적인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한 방안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하역안정화 방안을 도출하여 터미널 운영사와 관련선사와 기관을 통하여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현재 정책적으로 검토되고 있는 하역요율 인가제 방안의 효과를 검정함으로써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본 연구는 시기적절하고 연구의 공헌점과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The container terminal’s cargo market in Busan port is very unstable because of the temporary supply-demand imbalance due to Busan New Port open a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Furthermore the competition for hub-port is getting fierce and the shipping liners have enjoyed the increased bargaining power over the terminal operators through the mergers & acquisitions (M&A) and strategic alliances. This result leads the competition among terminal operators to attract liner companies and cargoes in their terminal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Busan container terminal’s cargo market and proposing the stabilization measures. For stabilizing the container terminal market, this study suggests the improvement of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ystem such as improvement in determining and reporting system of stevedoring tariff, establishment of fair competition rules etc., the introduction of port pooling system and adoption of volume-linked terminal lease system with cargo volume ceiling system for each terminal operator.

As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international ports have changed rapidly, the competition of the ports to attract cargoes is getting fierce. In this situation, because of the competition to attract more container cargoes of the North China and the West Japan in North-East Asian region, the ports in Korea has become one of the possible candidates for the main container ports among Korea, Japan and China. The Busan Port Authority is facing a cargo market which is being destablized these days. When viewed in terms of market structure, container cargo industry has been managed by only 9 companies. That is why this industry has been called a monopoly.

In this industry, it is difficult to achieve so-called ‘economy of scale’ because the rule of supply and demand is in imbalance and decided temporarily. As a result, the industry has been faced with excessive competition among a few operators. In addition, as the new port opened in 2006, the competition was getting hotter. And so, the image of the ports in Busan became worse than before, and the ports had difficulty in getting orders from the foreign container cargo industry.

This thesis diagnosed the effects of the stabilization plan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ports in Busan through the survey. This survey was proceeded to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and shipping agencies.

First, according to the hypothesis which is made by the survey results, three cargo stabilizing factors such as market structure factors, market behavior factors and BPA factors are considered to have positive impact for stabilization. But the factors which are handled by the operators were found to have few relationship with that. In particular, market behavior factors such as dumping regulations were considered to strengthen the management and the fairness of trade. The governmental support of structural adjustment of industry seems to take a very important role in handling stabilizing effect.

Market structure factors in the development policy of the government were found to strengthen cooperation. Market behavior and structural factors are not only important, but also regard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management body of Busan BPA. That is, Busan can become the hub of Northeast Asian logistics to strengthen capabilities for overseas shipment and international supply-chain management. When Busan becomes the hub of Northeast asia logistics, it will contrubute to stability by improving the image and bargaining power.

Second, in this study, four stabilizing factors have shown that their impact was effective. If the government tries to change the approval system instead of the current system, Busan can be more stabilized in the industry of container terminal handling operations. Now it seems to be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need for shippers who appear to contribute to making desirable market structure or market behavior.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of policies, implications of the thesis that can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at Busan port, are as follows: North Port Terminal has undergone an integ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tudy, the ports should be intergrated for the globalization such as Singapore. In addition, the government and the BPA has established a system which is linked to the development of policy.

The fundamental problem of Busan cargo market is that the competitiveness and profitability has deteriorated due to the loss caused by the fierce competition. To prevent this, it would be better for the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to fix the behavioral problems of the cargo market with BPA.

The role of the government and BPA seems to be also important to stabilize the container terminal cargo market. If the government wants to become a hub of logistics in Northeast Asia, the ongoing process to integrate the North Port terminal should be wrapped up promptly. To prevent dumping, it would be necessary to make the approval system. In addition, it would be also helpful to make a port development policy and operational policy linked so closely with each other.

Now the container terminals in Busan are faced with many difficulities in management because of insecure environment. In this study, it would be pointed out that the container terminal cargo market, terminal operators, shipping companies and institutions should be stabilized first.

Now, Busan container terminals is facing difficulties in management with an insecure environment. In this study, Derive the Busan container terminal cargo market stabilization measures, and was confirmed by the terminal operators and shipping companies and institutions.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suggested by the approval system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argo rates should be focused on. By then, this study would take an important role to improve and develop the shipment industry in Busan.
Appears in Collections:
항만물류학과 > Thesis
Files in This Item:
000002302802.pdf Download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