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선박대형화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 장치장 규모 산정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김정은 -
dc.date.accessioned 2017-02-22T06:19:29Z -
dc.date.available 2017-02-22T06:19:29Z -
dc.date.issued 2004 -
dc.date.submitted 56823-11-10 -
dc.identifier.uri http://kmo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175173 ko_KR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9340 -
dc.description.abstract If the vessel is getting lager in size, the shipping company will reduce the port of call to cut down the staying time in port, and that reason classify the port part into the hub port and feeder port. By the reason of those, the competition between rival ports is the deeper and deeper. Generally, the container terminal is separated into Wharf, CY, and gate, but if to separate the terminal productive as special part is unreasonable on total terminal operation. The discharging and loading capacity in CY, the storage capacity for admitting them in storage yard and harmonized operation in gate have to be balanced. Especially on wharf capacity, there are many flowing items like skill of worker, the number of crane, discharging capacity. But on CY, the storage space for the capacity of discharging and loading for container in moment are the fixed items, in time of requirement for expanding and changing of them is difficult. Therefore, in this research, on considering those factors, we predict the most volume of throughput on discharging and loading from 8,000 TEU and 1,2000 class vessel, and then estimate the scale of CY for handing the volume of throughput and assessing the additional necessary space of CY comparing with new port in Pusa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 1장 서론 1.1 연구의 배경 1 1.2 연구의 목적 2 1.3 연구의 방법 및 구성 3 제 2장 해운항만 환경 변화 2.1 선박의 대형화 및 수주현황 5 2.1.1 선박의 대형화 5 2.1.2 국내조선소의 수주현황 및 선박 규모 7 2.2 선박의 대형화로 인한 항만환경 변화 8 2.2.1 펜들럼 스비스 증가와 기항항만의 축소 8 2.2.2 중심항 및 피더항으로의 역할 구분 9 2.2.3 항만에 미치는 영향 10 제 3장 국내 컨테이너터미널 현황 3.1 부산 북항의 시설 현황 12 3.1.1 일반현황 12 3.1.2 장치장 현황 13 3.2 부산 북항의 처리능력 14 3.2.1 안벽 하역능력 14 3.3 장치장 처리능력 16 3.3.1 장치장 규모 산정 방법 16 3.3.2 계획 하역능력과 실제 장치능력 비교 17 3.4 국내 터미널의 현황 문제점 20 제 4장 실증자료 분석 4.1 선박규모별 특성 분석 21 4.1.1 선박규모별 양&#8228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양하비율별 과부족 38 제 6장 결론 6.1 결론 및 시사점 40 6.2 연구의 한계 및 추후 연구방향 42 참고문헌 43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적하 물동량 예측 26 4.2 장치장 특성 27 4.2.1 장치장 점유율별 일수 27 4.2.2 연속장치일수 분석 29 4.2.3 터미널에서 ODCY로 반출된 수입컨테이너 29 제 5장 장치장 규모 산정 5.1 장치장 규모 산정시 환경설정 31 5.2 1개 선석 운영시 장치장 규모 산정 33 5.3 4개 선석운영시 장치장 규모산정 37 5.4 선박규모&#8228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적하 비율 22 4.1.3 대형선의 선박 규모별 처리량 24 4.1.4 선박당 접안시간 및 처리시간 25 4.1.5 대형선의 양&#8228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적하 특성 분석 21 4.1.2 양&#8228 -
dc.language kor -
dc.publisher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dc.title 선박대형화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 장치장 규모 산정에 관한 연구 -
dc.title.alternative An Empirical Study on the Estimation of Terminal Storage Capacity -
dc.type Thesis -
dc.date.awarded 2004-08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Kim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Jeong Eun -
Appears in Collections:
물류시스템공학과 > Thesis
Files in This Item:
000002175173.pdf Download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