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해운·항만물류 환경변화에 대응한 부산항 경쟁력 강화 방안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이순기 | - |
dc.date.accessioned | 2017-02-22T06:23:45Z | - |
dc.date.available | 2017-02-22T06:23:45Z | - |
dc.date.issued | 2007 | - |
dc.date.submitted | 56877-06-13 | - |
dc.identifier.uri | http://kmo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175278 | ko_KR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9462 | - |
dc.description.abstract | Recently logistics needs in Northeast Asia are remarkably increasing due to rapid growth of China. Therefore, each country is devoting all their energies to develop modern ports in order to accommodate logistics needs. This development has brought about a change of vessel's calling system like a direct calling to a modern Hub-Port, and the effects of change began to be felt in Busan, Korea. The increasing ratio of containers' handling at Busan is on the decrease step by step, and the first reason of this is not increasing in volume for transshipment cargo from China caused by direct vessels' calling to Hub-port in China. The second reason is development of neighboring ports, for example Kwangyang & Ulsan Port etc., which means that local cargos & transshipment cargos to be handled at Busan Port are shared out among these ports. Therefore, this study will present ways to raise the competitiveness of Busan relate to increasing handling volumes in container, performimg analysis of logistics aspects in shipping business and investigation of current situation for Busan Port. In order to raise handling volume to the goal, firstly, the competent authorities produce a good environment like such as top class of port facilities and transportation network for the calling vessel. Secondly, simplification of customs procedure for import/export cargos and transshipment by system improvement has to be needed. Finally, introduction of a positive incentive and marketing skills for securing vessels and transshipment cargos by the competent authorities have to be need. In conclusion, these plans should be executed by competent authorities continuously, and this will guide Busan Port into a prosperous future forever and ever.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 1 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 2 제 2 장 세계 해운·항만 물류환경 변화의 추이와 전망 4 1. 해운물류환경 변화 추이 및 전망 4 1) 선사간 M&A 확산 4 2) 글로벌 터미널운영업체간 인수합병 5 3) 얼라이언스 간의 제휴 강화 6 4) 컨테이너 선박의 초대형화 7 5) 컨테이너 선박의 고속화 9 2. 항만 물류 환경변화 추이 및 전망 10 1) 항만간 경쟁 심화 10 2) 컨테이너 선사 전용터미널의 증가 11 3) 글로벌 터미널 운영사의 확산 13 4) 종합물류 거점으로서의 항만기능 확대 14 5) 중국지역 항만의 물동량 증가 및 항만간 경쟁 심화 14 3. 세계 컨테이너 물동량 변화 15 4. 동북아 주요 경쟁 항만 현황 및 개발계획 18 1) 동북아 주요항만 개발 계획 18 2) 중국의 주요항 18 3) 일본의 도쿄항 23 4) 대만의 카오슝항 25 5) 홍콩항 26 제 3 장 부산항만 현황 및 물류단지 개발 계획 29 1. 부산항만 현황 29 1) 부산항 발전과정 29 2) 부산항 입항선박 현황 30 3) 부산항 컨테이너 전용터미널 현황 31 2. 부산항 처리물동량 현황 33 1) 전국 항만 컨테이너 물동량 33 2) 부산항 전용부두 컨테이너 물동량 34 3. 경쟁력 강화를 위한 부산신항의 개발 35 4. 동북아 물류 거점 확보를 위한 배후단지 개발 38 제 4 장 부산항의 당면 과제 40 1. 중국 항만개발과 직기항 체제 40 2. 배후 수송체계의 불비 42 1) 높은 도로의존율 42 2) 항만과 공항과의 연계 부족 42 3. 항만 배후단지의 활성화 및 고부가가치 산업 미흡 43 4. 신항과 북항간의 연계체계 미흡 45 5. 정부의 투포트 시스템(Two-port system)의 문제 46 제 5 장 부산항 경쟁력 강화 방안 48 1. 하드웨어(HARDWARE)적인 측면 48 1) 선박 대형화에 따른 수심 확보 48 2) 최신 컨테이너 크레인의 도입 49 3) 항만배후연계 수송능력의 확대 50 4) 신공항 건설과 신항의 연계 51 5) 국내외 복합수송 시스템 확충 52 2. 소프트웨어(SOFTWARE)적인 측면 53 1) 관세 자유지역의 지정 운영 53 2) 환적화물유치를 위한 인센티브제 도입 55 3) 새로운 투포트시스템 도입과 트리거 시스템 도입 56 4) 피더 네트워크 확대 56 5)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도입 57 3. 마케팅(MARKETING)적인 측면 58 1) 항만배후부지의 조기 개발과 기업의 유치 58 2) 선사 전용터미널 및 글로벌 터미널 운영사 확대 59 3) 초대형선 서비스 유치 60 4) 적극적인 항만 마케팅 61 제 6 장 결론 62 참고문헌 65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 |
dc.title | 세계 해운·항만물류 환경변화에 대응한 부산항 경쟁력 강화 방안 | - |
dc.title.alternative | A Study on the Ways to raise Competitiveness of Busan Port against Change of Logistics Aspects in Shipping Circle | - |
dc.type | Thesis | - |
dc.date.awarded | 2007-08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Sun Ki | -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