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우리나라 컨테이너 항만 특성분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김병홍 -
dc.date.accessioned 2017-02-22T06:47:28Z -
dc.date.available 2017-02-22T06:47:28Z -
dc.date.issued 2009 -
dc.date.submitted 56907-01-30 -
dc.identifier.uri http://kmo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175576 ko_KR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9817 -
dc.description.abstract 항만 정책 입안자나 민간사업자, 터미널운영업자 등의 입장에서 특정 항만의 특성과 위상을 현실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가장 근본적이며 중요한 일이다. 항만개발 계획을 수립할 때 항만 입지에 따른 항만의 위상을 사전에 설정할 때 현실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항만개발이 가능해진다. 현재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광양항이나 대규모 개발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인천항, 새만금항 등은 이러한 항만 위상 정립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일어나는 일들이다. 항만개발에 참여하는 민간사업자나 터미널 운영사도 항만의 위상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내려질 때 적정 수준의 규모, 시설 등을 갖추게 되며, 마케팅 방안 역시 현실적으로 수립된다. 그러나 문헌 검토 결과 국내 컨테이너항만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극히 미흡하다. 많은 연구들이 우리나라의 전체 무역항을 대상으로 하거나 대표 항만인 부산항을 대상으로 하여 전 세계 경쟁 관계에 있는 항만들을 표본으로 하여 경쟁력 정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한계점을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주요 컨테이너 항만인 부산항, 광양항, 인천항, 평택항, 울산항 등을 대상으로 하여 시계열 자료를 바탕으로 항만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근거는 최근 우리나라 컨테이너항만은 글로벌 중심항만, 권역 중심항만, 지역항 등으로 구분하는 연구 결과이다. 동 연구는 실증 자료 분석 없이 지역 특성과 물동량 규모 등을 감안하여 정성적으로 항만을 분류한 것으로서 보다 심층적인 연구를 필요로 하였다. 분석은 먼저 항만의 위상을 결정하는 요인을 수출입화물 및 환적화물 처리 비중 및 성장률, 글로벌 및 국내 배후지 범위 등으로 설정하고 시계열 자료를 바탕으로 추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산항은 모든 요인에서 독보적인 위상을 차지하며 광양항은 글로벌 배후지 범위가 구주 및 미주 지역으로 일부 확대되는 특성 외에는 권역 중심항으로 볼 수 있는 인천항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세에 있어서도 연도별로 지속적인 성장 추이를 보이기보다는 지표에 따라서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앞으로도 위상이 높아질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보인다. 인천항과 평택항은 글로벌 및 내륙 배후지에서 거의 유사한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수출입 물동량이 증가하는 것 외에는 권역 중심의 항만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부산항은 동북아 허브항으로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광양항은 기존 유휴시설 활용방안을 모색하며, 인천 및 평택항은 트리거 룰을 적용하여 대중국 교역 중심항으로 그 기능을 다양화하고, 울산항은 울산전역 산업을 지원할 수 있는 다목적부두 중심의 지역항으로 개발해야 한다. -
dc.description.abstract A recent study suggested the classification of container ports in Korea as global hub port, regional hub ports and local ports without any empirical results backing. This study, therefore, aims at providing an empirical results for the port classification of 5 container ports such as Busan, KwangYang, Incheon, Pyeongtaek, Ulsan. For this time series data for the ports such as origin and destination countries, local origin and destination, ect. are analysed with BCG matrix.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1.1 연구의 배경 = 1 1.1.2 연구의 목적 = 2 제 2 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 2 1.2.1 연구의 방법 = 2 1.2.2 논문의 구성 = 3 제2장 유사 항만군 분류에 관한 이론적인 고찰 = 4 2.1 문헌 검토 = 4 2.2 항만 분류 관련 선행연구의 한계점 = 5 제3장 우리나라 주요 컨테이너항만 특성 분석 = 7 3.1 현황 = 7 3.2 컨테이너화물 처리 비중 분석 = 9 3.3 글로벌 및 국내 배후지 지수 = 11 제4장 항만 기능 분류 = 13 4.1 항만 분류 정의 및 기준 = 13 4.2 화물 집중도 분석 = 14 4.3 배후지 집중도 추이 = 17 4.4 항만 특성 분류 = 19 제5장 결론 = 23 참고문헌 = 25 부록 = 28 -
dc.language kor -
dc.publisher 한국해양대학교 해사산업대학원 -
dc.title 우리나라 컨테이너 항만 특성분석 -
dc.title.alternative An Analysis on the Classification of Korean Container Ports -
dc.type Thesis -
dc.date.awarded 2009-08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Kim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Byoung Hong -
Appears in Collections:
항만물류학과 > Thesis
Files in This Item:
000002175576.pdf Download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