危險物 取扱 施設物의 認證制度 導入을 위한 立法論的 硏究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정병건 | - |
dc.date.accessioned | 2017-02-22T06:49:20Z | - |
dc.date.available | 2017-02-22T06:49:20Z | - |
dc.date.issued | 2015 | - |
dc.date.submitted | 57069-08-26 | - |
dc.identifier.uri | http://kmo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175616 | ko_KR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9866 | - |
dc.description.abstract | The Social concern of the Safety has been reached a zenith these days of Korea through the past few decades. After Korean Independence, Development is more important and efficient than safety in Korean peninsula because of nothing to take place to eat for living. As a result of ignored safety, Industry is always chased more efficient than safety. Recently, Hot issued safety accidents in our society are as follows Firstly, the Lunar New Year morning in 2014 a Singapore-registered Oil Tanker WUISAN, VLCC(Very Large Crude Oil Carrier), collided with GS-Caltex Crude Oil Dolphin and pipelines caused spillage at a quay off Yusu, happened almost 20 years after some 5,000 tons of oil washed onto the same coast in 1995. Secondly, domestic passager boat "Sewol", the sinking of the Sewol ferry has also brought into focus the safety problems of coastal liners. In case of Ulsan port, a small amount of oil leaked off the coast of Ulsan from a cracked floating hose run by Korea’s major refiner, SK Energy in 2013. In oil handling facilities, there are many potential problems such as lacking and ambiguity of safety regulations, unconcerned and ignorance of dangerous cargo handling tanker and facilities - Dolphin, SPM, Tandem mooring etc. This Study aims for enhancing safety system on dangerous cargo handling facilities and makes a legislative Certificate System through investigation of maritime accidents on collision dangerous berths, questionnaire for workers and investigation regarding Self-Safety Management System on dangerous cargo handling and operating companys which transport dangerous cargo through tanker, the study of Safety Guidelines and Good Industry Practices for Oil Terminal in E.U, Marine Terminal Information System in OCIMF, CDI-T Today, Self-Safety Operation Management System in company is not core value of Dangerous cargo handling berths because of Lacks of willings of owners managing it safely in Dangerous cargo operation industry, safety monitoring processing system operating by Authorities. We need to be addressed promptly to avoid potential maritime disasters in the future through the Certificate System in Dangerous cargo handling facilities as similar with PSM(Process Safety Management) in Industry Fields and change of the Marine Safety Regulation. Therefore, I address the Introduction of the Certificate System in dangerous cargo handling facilities to encourage the workers those who work dangerous cargo handling facilities and to keep pace with safety policy in Korea.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Abstract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제2장 위험물 취급 현황 및 문제점 3 제1절 위험물 및 위험물 취급 시설물의 개념 3 Ⅰ. 위험물의 개요 3 1. 위험물의 정의 3 2. 위험물의 종류 5 Ⅱ. 위험물 취급 시설물의 구조형식 7 1. 중력식 부두 7 2. 말뚝식 부두 8 3. 일점계류 8 4. Tandem Mooring 9 5. 기타 계류 10 제2절 위험물 취급부두의 운영 실태 및 문제점 11 Ⅰ. 울산항 위험물 취급에 관한 안전관리 11 1. 개요 11 2. 자체안전관리계획서 승인제도 11 Ⅱ. 울산항 위험물 취급업체의 자체안전관리계획서 분석 13 1. A사의 자체안전관리계획서 내용 12 2. B사의 자체안전관리계획서 내용 17 3. C사의 자체안전관리계획서 내용 24 Ⅲ. 울산항 위험물 취급부두의 문제점 28 1. 자체안전관리계획서의 문제점 28 2. 울산항 위험물 하역현장 전문가 설문조사 40 제3절 위험물 취급 부두의 주요 해양사고 사례 44 Ⅰ. 위험물 취급부두관련 해양사고 발생 건수 및 발생 지역 44 1. 주요 해양사고 발생 건수 44 2. 주요 해양사고 발생 지역 48 Ⅱ. 위험물 취급부두관련 주요 해양사고 발생원인 49 1. 해양사고 사례에 본 인적과실 49 2. 해양사고 사례에 본 물적과실 51 Ⅲ. 소결 53 제3장 위험물 취급부두 운영에 관한 입법례 및 사례 55 제1절 유럽연합의 입법례 55 Ⅰ. 개요 55 Ⅱ. 유류터미널의 안전지침의 적용기준 56 1. 적용범위 56 2. 다른 안전기준과의 관계 57 3. 윈칙 및 일반적인 권고사항들 57 Ⅲ. 주요내용 60 1. 설계 및 기획단계 60 2. 조달, 건설 및 자산보전관리시스템 63 3. 운영단계 64 4. 사업폐쇄 및 사용중지 단계 66 제2절 민간기구의 운영 사례 67 Ⅰ. 해양터미널정보시스템 67 1. 개요 67 2. 구성 68 3. 주요 내용 68 Ⅱ. CDI-T(Chemical Distribution Institute - Terminal) 74 1. 개요 74 2. 특징 75 3. 주요내용 75 Ⅲ. 소결 77 제3절 우리나라 위험물 취급부두 관리 법령 77 Ⅰ. 개항질서법 78 Ⅱ. 해양환경관리법 79 1. 해양시설의 안전점검 의무 79 2. 해양시설 소유자의 협조의무 79 3. 해양시설의 안전검검 대상 80 4. 해양시설의 안전점검 대행 80 5. 안전진단 전문기관의 조건 80 6. 안전검검 실시시기, 방법 및 결과보고 81 Ⅲ.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 82 1. 적용범위 82 2. 주요내용 82 Ⅳ. 위험물안전관리법 90 Ⅴ.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91 1. 정의 91 2. 주요내용 92 Ⅵ. 소결 95 제4장 위험물 취급시설물 인증제도 도입 방안 및 입법론 97 제1절 위험물 취급시설물 인증제도의 배경 및 필요성 97 Ⅰ. 배경 97 Ⅱ. 필요성 97 제2절 위험물 취급시설물 인증제도의 주요 내용 98 Ⅰ. 인증제도 적용기준 98 1. 취급 위험물 기준 99 2. 물동량 기준 99 3. 업종 기준 99 Ⅱ. 인증제도 적용 범위 100 Ⅲ. 인증심사원 및 인증주기 101 1. 인증심사원 자격 101 2. 인증 주기 101 Ⅳ. 주요 내용 101 1. 위험물 취급시설물 안전관리계획 102 2. 위험물 취급시설물 안전운영계획 106 3. 교육 및 훈련계획 118 4. 기타 항만당국이 필요하다고 고시한 내용 118 제3절 위험물 취급시설물 인증제도의 입법론 119 Ⅰ. 근거법 설정 119 1. 해사안전법 119 2. 개항질서법 121 3. 소결 121 Ⅱ. 해사안전법 법률 및 하위 규정의 개정안 122 1. 해사안전법의 부분 신설 및 개정안 122 2. 해사안전법 시행령 규정의 신설안 126 3. 해사안전법 시행규칙 규정의 신설안 127 Ⅲ. 추가 연구 필요성 129 제5장 결론 130 참고문헌 132 부록 1 134 부록 2 138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한국해양대학교대학원 | - |
dc.title | 危險物 取扱 施設物의 認證制度 導入을 위한 立法論的 硏究 | - |
dc.title.alternative | A Legislative Study on the Introduction Certificate System on Dangerous Cargo Handling Facilities | - |
dc.type | Thesis | - |
dc.date.awarded | 2015-02 | -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