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한ㆍ중 무역구조의 변화와 물류기업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한ㆍ중 무역구조의 변화와 물류기업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Alternative Title
A Study of On the Structural Change between Korea-China Trade and Some Strategies for Logistics Service Provider
Author(s)
정민지
Issued Date
2006
Publisher
한국해양대학교
URI
http://kmo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176208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10523
Abstract
이업종 업체 간 인수합병이나 전략적 제휴를 추진하여 역량을 갖춰야 한다. 또한 중국 내 물류네트워크 구축과 정부 및 고객과의 ‘관계’ 구축을 위하여 중국 물류업체와 제휴연락도 검토해야 한다.

또한 우리나라 물류기업이 진출할 산업분야는 전자제품, 가전제품, 자동차․
전문화는 우선적으로 국내 물류업체 간 또는 동업종․
전문화를 추진해야 한다. 대형화․
중간 무역구와 물류구조는 양국의 교역기간이 길지 않은 만큼 출발이 거의 동시에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물류네트워크의 발달 속도는 교역의 급속한 성장을 따라잡기에는 역부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무역구조와 물류구조 간의 간극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인으로는 특화되지 못한 한국 물류기업들의 상황뿐만 아니라 중국 현지 내에서의 법/제도적 장애와 인프라 부재 등과 더불어 설명하였다.

현재 중국과의 교역패턴은 국제 생산 거점형 및 현지 소비 지향형으로 진화 중이며 이런 교역 여건 하에서는 단연 멀티 물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3PL의 등장은 필연적이며, 현재 한국 물류기업들 중에서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업체는 손으로 꼽을 수 있을 만큼 저조한 상황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물류업체들도 성장잠재력이 무한한 중국 물류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물론 중국의 시장진입과 관련한 정책 등 개방정책의 추이나 법제도의 개선내용 등 중국 물류시장의 변화에 대하여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 영세하고 전문화가 미흡한 우리나라 물류업체는 업체 간 인수합병이나 전략적 제휴 등을 통하여 종합물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대형화․
중 수교 이후부터 2005년 10월말까지의 가공단계별 그리고 제품군별 수출입 추이 통계를 바탕으로 도출하였다.

그리고 상기 무역구조의 패턴별 물류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해운 네트워크, 항공 네트워크 그리고 물류업의 중국 현지 투자를 정리하였는데, 해운 네트워크는 매년 선사별 항로를 점검하였고, 항공네트워크의 건설교통부 통계연감의 자료를 바탕으로 도출하였으며, 물류업의 현지 투자는 수출입은행의 해외직접투자 통계를 활용하였다.

이상의 연구에서 파악된 한․
중간 무역구조의 분석 결과는 교역패턴이 단순 수출입 형태에서. 가공 수입형로 그리고 국제 생산 거점형 및 현지 소비 지향형으로 진화되는 양상을 포착했다. 이는 한․
중 무역구조를 분석하였고, 앞으로의 물류기업이 직면하게 될 환경과 물류기업들의 대응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한․
중 물류네트워크와 물류관리방식을 규명하기 위해 한․
중 수교를 전후하여 현재까지의 한․
유통업체 뿐만 아니라 다수의 물류기업들도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 현재 중국 물류시장은 아직 충분히 성숙되지 않았으나 무궁한 시장잠재력과 함께 매년 두 자리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는 물류산업을 경제발전 핵심 산업의 하나로 인식하고 인프라 확충 및 시스템 구축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 외국인 투자기업을 위해 규제완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물류관리 효율화를 높이기 위한 물류서비스와 아웃소싱 확대는 불가피한 상황이므로 우리나라 물류업체의 중국진출 확대 방안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특히 우리나라 기업의 중국 내수시장 진출이 확대되면서 우리나라 기업을 위한 물류서비스 요구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물류업이 중국에서 이익을 창출하는 시장으로서는 아직도 어려운 점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논문은 한․
중국은 21세기 세계 생산 공장으로서 다국적 제조․
자동차 부품, 소비재 분야 등이며, IT 기술을 활용한 첨단물류시스템을 구축하여 글로벌 물류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며, 현재 중국이 추진하고 있는 개발 정책들에 적극적으로 투자하여 개발지역으로의 진출을 촉진하기 위해서 ‘공동 물류센터’와 거점항만을 개발하거나 투자하는 방안도 검토할 만하다.
Appears in Collections:
무역학과 > Thesis
Files in This Item:
000002176208.pdf Download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