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부산광역시 지방자치구의 효율성 변화 및 효율성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부산광역시 지방자치구의 효율성 변화 및 효율성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uthor(s)
정정복
Keyword
DEA, Malmquist product index, Dental device companies, IRS, CRS, DRS
Issued Date
2018
Publisher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URI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11653
http://kmo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014041
Abstract
우리 사회는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많은 인구들이 수도권으로 집중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2000년대에 들어서도 멈추지 않고 있다. 부산광역시 전체 인구의 변화를 각 구군별로 살펴보면 2000년 이후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특히 학군이나 부동산의 영향으로 인한 인구이동이 많았다. 이러한 부산의 자치구·군별 인구 변화의 급격한 진행 속에도 고착화된 행정과 의회 구조로 인해 지역별 공공 서비스 편차가 갈수록 심각해질 것으로 보인다. 부산광역시 자치구군별 인구변화는 결국 행정이나 사회복지와 같은 공공정책과 더불어 예산, 교육과 산업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이런 변화가 지방세 징수나 재정자립도에 영향을 미쳐 전체적으로 지방자치단체 효율성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15까지 10년간의 부산광역시 16개 자치구군의 효율성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추정방법은 DEA(Date Envelope Analysis)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부산광역시 16개 자치구군의 10년간의 효율성을 측정ㆍ평가한다. 둘째는 부산광역시 16개 자치구군의 10년 동안의 효율성변화를 분석하여 각 자치구군의 효율성 증가의 원인을 찾는다. 셋째, 효율성결정요인분석을 통해 효율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고 그것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투입변수는 총면적, 예산, 공무원 수와 주민센터 수이며 산출변수는 인구수로 설정하였고, 자료는 각 자치구의 통계연보를 활용하여 정리하였다. 효율성 분석으로 기술효율성, 순기술효율성과 규모효율성 등이 측정되었고, 효율성변화분석에는 Malmquist 지수가 이용되었다. 또한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기 위해 종속변수로는 기술효율성이, 독립변수로는 자치구의 내부 및 외부환경변수가 이용되었다. 효율성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광역시 16개 자치구의 10년간의 기술효율성 분석결과를 보면, 동래구, 연제구, 해운대구는 10년 평균 기술효율성이 가장 높았고, 강서구가 가장 낮았다. 순기술효율성의 분석결과를 보면, 기장군, 동래구, 부산진구, 북구, 수영구, 연제구, 중구, 해운대구는 10년 평균 순기술효율성이 가장 높았다. 강서구는 기술효율성 경우와 달리 순기술효율성에서는 높은 효율성을 보이고 있었다. 규모의 효율성 분석결과를 보면, 동래구, 연제구, 해운대구는 10년 평균 규모의 효율성이 가장 높았고, 강서구는 가장 낮았다.

둘째, 연도별 부산광역시 16개 자치구의 규모의 경제 분석을 살펴보면 10년 동안 규모수익증가(IRS) 자치구는 강서구, 금정구, 동구, 사상구, 서구, 영도구 총 93개로 가장 많았다. 규모수익불변(CRS) 자치구는 동래구와 연제구가 55개이고 규모수익감소(DRS) 자치구는 12개로 가장 적었다.

셋째, 2006년부터 2015년까지의 효율성 변화 분석결과를 보면, 2009년~2010년 기간에서 효율성이 증가하는 자치구가 가장 많았으며 대부분 3~4개의 자치구만이 전년대비 효율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장군과 강서구는 다른 자치구와 차별적으로 2006년부터 2015년 전체 평균 효율성 증가는 1이상으로 평균적으로 10년 동안 효율성이 증가하였다. 또한 각 년도 별에서도 모두 1이상의 값으로 매년 효율성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효율성 결정요인분석에서는 종속변수를 기술효율성으로 설정하고, 독립변수는 내부 및 외부환경변수로 설정하여 이원고정효과모형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실업률, GDP, 수출증감률, 보육시설수가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첫째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복지사업 및 주거환경개선 사업 등과 함께 취업관련 사업과 같이 지속적 생계유지에 필요한 사업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과열된 주택시장의 안정화 및 서민주택의 공급과 확보를 통해 부산광역시를 살기 좋은 도시로 변화시켜야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부산광역시 내 자치구들은 결혼장려 및 출산증가를 위한 복지혜택을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이고 계속적인 혜택을 보장하여야 하며, 지역 내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부산광역시 16개 자치구를 통해 효율성을 분석함으로써 부산광역시와 인접한 지역들과의 연관성은 확인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또한 분석대상을 부산광역시 내 자치구로 한정함으로써 측정변수의 수가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연구범위의 확대를 통해 측정변수의 수를 늘릴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Seoul metropolitan area is getting more congested by the rapid inflow of population which has derived from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n Korea. Even since 2000s, this phenomenon is still going on. Unlike Seoul area, the whole level of population in Busan city has decreased. But there is a considerable migration between boroughs within Busan city. This kind of migration seems to be affected by the location of school, the price of real estate, social welfare policy provided by each borough and Busan municipal administration which also have an effect on regional industry and education. It is projected that these processes ultimately have an substantial effect on the whole efficiency of local public entities by way of the effect on local tax collection and financial independence.

Based upon this conjecture, this paper seeks to figure out how the efficiency of 16 boroughs within Busan city has changed during a decade from 2006 to 2015. The major contents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ly, the ten year-efficiency of 16 boroughs within Busan city is measured and valued. Secondly, Based on the results of efficiency change analysis, an attempt is made to find why the efficiency of each borough is increased. Thirdly, the factors which have an effect on efficiency is found and a way to increase it are also sought.

DEA(Data Envelope Analysis) is used as the method of empirical analysis. Total width, budget, the number of public officials and community service center in each borough is selected as input factor and the population, as output factor. Consecutively technical efficiency, net technical efficiency and scale efficiency is measured for efficiency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by DEA. And Malmquist index is used for the analysis on efficiency change. To find out the factors which have an effect on efficiency, technical efficiency i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and internal & external variables of environment,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data used in this paper comes from statistical year books published by each borough and has ten years time span(2006-2015).

The analyt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the analytical results of technical efficiency, ten year-average technical efficiency is the highest in Dongrae-gu, Yunje-gu and Haeundae-gu while Gangseo-gu the lowest. According to the analytical results of net technical efficiency, ten year-average net technical efficiency is the highest in Gijang-gun, Dongrae-gu, Busanjin-gu, Book-gu, Sooyung-gu, Yunje-gu, Joong-gu and Haeundae-gu. Unlike the analytical results of technical efficiency, Gangseo-gu is not the lowest and relatively high in net technical efficiency. According to the analytical results of scale efficency, ten year-average technical efficiency is the highest in Dongrae-gu, Yunje-gu and Haeundae-gu while Gangseo-gu the lowest.

Secondly, According to the analytical results of scale economy for 16 boroughs every year, the boroughs which enjoy the highest increasing returns to scale(IRS) for a decade are Gangseo-gu, Geumjung-gu, Dong-gu, Sasang-gu, Seo-gu, Yungdo-gu and their total number of IRS for a decade amounts to 93. The boroughs which enjoy the constant returns to scale(CRS) for the same period are Dongrae-gu and Yunje-gu. Their total number of CRS reachs 55. The cases of decreasing returns to scale are the least and their number is only 12.

Thirdly, according to the analytical results of efficiency change, the number of the boroughs in which efficiency is increased is the largest for 2 year:2009-2010. Several boroughs shows their increase of efficiency compared to last year. Two boroughs, Gangseo-gu and Gijang-gun, shows ten year-average increase of efficiency continuously over 1. Fourthly, according to the analytical results of two factor-fixed effect model, unemployment rate, GDP, export ratio and the number of nursery faciliti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igration between boroughs.

Based upon these analytical results mentioned above, it is suggested that the following policy should be carried out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each borough. Firstly, the business for sustainable maintenance of livelihood like job creating business along with social welfare service and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should be encouraged. Secondly, Busan city should be transformed into a proper city to live in by stabilizing the price of real estate and by securing the house for the poor. Thirdly, each borough should prepare the sustainable policies to encourage young couple to marry and have children and make a steady effort to create quality jobs for citizens.

There is a limitation in this paper in that the linkage of Busan city to the adjacent boroughs is ignored by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efficiency of 16 boroughs separately. And because the object of the analysis is limited within Busan city, the number of measurement variables is not sufficient to fully analyze the efficiency embedded in 16 boroughs. These limitations will be left for the next research.
Appears in Collections:
무역학과 > Thesis
Files in This Item:
부산광역시 지방자치구의 효율성 변화 및 효율성결정요인에 관한 연구.pdf Download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