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패턴 분석에 관한 연구

Title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패턴 분석에 관한 연구
Author(s)
류기진
Keyword
부산항,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사회연결망 분석(SNA), 중심성
Issued Date
2018
Publisher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URI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11658
http://kmo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014067
Abstract
우리나라는 국내 수출입의 대부분이 해상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해운산업과 항만산업은 수출입 중심의 우리 경제구조에서 중요한 국가기간산업이라 할 수 있다. 국내 컨테이너 물동량의 75%를 처리하는 부산항은 자동화 터미널 시설을 갖춘 신항 개장, 신 해운동맹 출범에 따른 선석 조정, 해운 선사와의 네트워크 구축 등의 노력을 통해 지속적으로 물동량 유치에 노력하고 있다. 또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 부산항은 지속적으로 글로벌 선사 물동량 유치를 위해서 정기선 항로 서비스를 확대하는 노력 등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2012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부산항을 기항하는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패턴 분석을 통해 세계 주요항만과의 중심성을 파악하여 부산항과 연결되어 있는 항만 네트워크의 구조적인 특성을 살펴보았다.

부산항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네트워크상에 연결정도 중앙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이 높은 항만은 싱가포르항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실제 연도별 부산항 주요 국가 항만별 처리 물동량 순위와 부산항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결과 간 순위 비교 결과는 서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부산항 처리 물동량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 동부항만이 부산항 컨테이너 정기선 네트워크상에서 보았을 때 부산항의 허브항으로 보기 어렵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산항 컨테이너 정기선 서비스 항로 수는 증가하더라도 해당 항로에 투입되는 선박이 중소형으로 한정되어 있거나 네트워크상 부산항이 싱가포르항 기항을 위한 피더항(Feeder Port)의 성격을 띄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The shipping and port industry are the most important national industry for Korea’s export-oriented economy since most of our trades are done through shipping. Busan Port, which handles 75% of domestic container freight volume, strives to attract more freight volume through improvements such as opening automated terminal facility, in Busan New Port, adjusting the berth from forming a new shipping alliance, and establishing networks with shipping companies. Additionally, Busan Port, which has a global network, is expected to become significantly important for container liner routes and expand freight line services to secure more global freight volumes.

This study analyzes the pattern of container liner route pattern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16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to determine centrality of world’s key ports and examines maritime network’s infrastructure connected to Busan Port.

Analysis of the port with high degree of centralization, close proximity, and mediation center to Busan Port container terminal route network was Singapore Port. Additionally, analysis of annual ranks of freight handling volume of key national ports was different from Busan Port’s container liner route network centrality.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astern port of China, which occupies a high percentage of the volume of cargo handled by Busan Port, is not a hub port of Busan ​​Port when viewed on the Busan container terminal liner network. In addition, even if the number of container liner services in Busan Port increases, it is estimated that the vessels assigned to the liner services will be small to medium in size or that Busan Port will become a feeder port for the Port of Singapore.
Appears in Collections:
해운경영학과 > Thesis
Files in This Item: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패턴 분석에 관한 연구.pdf Download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