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우리나라 제조업의 효율성과 탈공업화에 대한 연구

Title
우리나라 제조업의 효율성과 탈공업화에 대한 연구
Author(s)
강신성
Keyword
DEA, 제조업, 탈공업화, 기술효율성, 순기술효율성, 규모의 효율성, 규모의 수익, manufacturing industry, industrialization, technology efficiency, pure technology efficiency, scale efficiency, returns to scale
Issued Date
2020
Publisher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URI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12392
http://kmo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83954
Abstract
Korea's manufacturing industry has been growing rapidly since 1970, leading to economic development and gaining nat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industrial advancement. In the meantime, manufacturing has grown with exports, and higher trade dependence is expected to continue. With the recent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such as the reduction of manpower in the manufacturing sector and the increasing demand in the service industry, the deindustrialzation of the service industry is expected to proceed while the service industry plays more active ro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iciency of domestic manufacturing industry and to analyze the status of deindustrialization and to suggest policy measures for economic growth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method is used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domestic manufacturing region and export competitiveness.
In this study, the input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number of employees, assets, and intermediate goods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e output variables were sales and value added.
The input and output variables were used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for 10 years from 2009 to 2018

The finding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sales model, the technology efficiency of manufacturing industry was highest in “Oil Coal and Chemicals”, the pure technology efficiency was highest in “Furniture and other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e efficiency of scale was highest in “Oil Coal and Chemicals”. Returns to scale analysis shows that "wood paper, publishing and printing" and "metal products" show increasing returns to scale (IRS).
Second, in the value-added model, the technology efficiency of manufacturing industry was highest in “furniture and other manufacturing”, the pure technology efficiency was highest in “furniture and other manufacturing”, and the efficiency of scale was highest in “fiber and leather”. Paper, publishing and printing ”,“ petroleum coal and chemicals ”and“ furniture and other manufacturing ” have shown increasing revenues at scale (IRS).
Third, in terms of the efficiency trends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from 2008 to 2017, the trends of technology efficiency and pure technology efficiency are similar, decreasing from 2008 to 2015, and rising again from 2016. In contrast, the efficiency of scale decreased from 2008 to 2010 and then increased from 2011 to 2017.
Fourth,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efficiency, such as deindustrialization, log (scale), export weight, inflation rate, unemployment rate, and GDP growth rate. The factors influencing technology efficiency in the sales model were deindustrialization, log (scale), and GDP growth rate. In the value-added model, the factor influencing technology efficiency was log (scale).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deindustrialization and efficiency of manufacturing, especially in terms of employment. The important finding is that efficiency increases in the process of deindustrialization. In the past, a large number of people were involved in large-scale production, but now most facilities are being automated. It is commonly thought that the less working hours from the five-day workweek rules and higher per-capita labor costs can be seen as factors that reduce company's productivity. However, while efficiency increases due to deindustrialization, a decrease in the production population can lead to a decrease in the consumer population, which is by no means a positive sign for the whole industries. Therefore, more through researches on manufacturing regrowing policies along with deindustrialization will have to be carried out steadily.
Second, while manufacturing can seek to improve productivity through deindustrialization, the gap in productivity growth will ultimately determine whether the workforce released from manufacturing can absorb into other service industries or not. Therefore, in advanced countries, attention is focused on the effect of deindustrialization on employment, and research on the relevance between manufacturing and employment is expected to be needed here as well.
Third, the research on external factors influencing the economy due to deindustrialization is also needed along with the speed of deindustrialization of manufacturing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ascertain how the deindustrialization of manufacturing has to do with restructuring and how it affects the efficiency changes within the company.|우리나라 제조업은 1970년 이후 경제발전을 이끌며 빠른 성장을 해왔고 산업고도화를 이루어가며 국가경쟁력을 갖게 되었다. 그동안 제조업은 수출로 성장해 왔으며 앞으로도 무역의존도는 지속될 전망이다. 최근 제조업분야의 인력 감소와 서비스산업 분야의 수요확대라는 산업구조의 변화를 경험함에 따라 앞으로 서비스산업이 활성화되는 반면 제조업의 비중이 줄어드는 탈공업화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국내 제조업 효율성을 파악하고 탈공업화 현황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경제 성장을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자료포락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국내 제조업 지역별 효율성을 분석하고 수출경쟁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제조업의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사용한 투입변수는 종사자수, 자산, 중간재로 하였으며, 산출은 매출액 및 부가가치로 설정하였다.
투입 및 산출변수를 이용하여 2009년부터 2018년까지 10년간 제조업업의 효율성을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매출액 모형에서 제조업의 기술효율성은 “석유 석탄 및, 화학제품”, 순기술효율성은 “가구 및 기타제조업”, 규모의 효율성은 “석유 석탄 및, 화학제품”의 효율성이 가장 높았으며, 규모의 수익 분석은 “목재 종이 , 출판 및 인쇄”, “금속제품”은 규모의 수익이 증가하는 특성(IRS)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부가가치 모형에서 제조업의 기술효율성은 “가구 및 기타제조업”, 순기술효율성은 “가구 및 기타제조업”, 규모의 효율성은 “섬유및가죽”의 효율성이 가장 높았으며, 규모의 수익분석 “목재 종이 , 출판 및 인쇄”, “석유 석탄 및, 화학제품”, “ 가구 및 기타제조업”은 규모의 수익이 증가하는 특성(IRS)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제조업의 효율성 추세를 보면 기술효율성과 순기술효율성의 추세는 동일하며, 2008년부터 2015년까지 감소하고 있으며, 2016년부터 다시 상승하였다. 이와 반대로 규모의 효율성은 2008년부터 2010년까지 감소하다가 2011년부터 2017년까지 증가하고 있었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에서의 효율성 영향요인으로 탈공업화, log(규모), 수출비중, 물가상승률, 실업률, GDP증가율로 설정하였다. 먼저 매출액 모형에서 기술효율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탈공업화, log(규모), GDP증가율이며, 부가가치 모형에서 기술효율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log(규모)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제조업과 탈공업화 효율성의 관계를 알아보았으며, 탈공업화는 고용의 형태로 분석하였으며, 탈공업화가 진행될수록 효율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에는 많은 인력을 투입해 대규모 산출을 이끌었지만, 현재는 대부분의 시설이 자동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또한 주5일제 및 1인당 인건비의 증가는 기업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탈공업화로 인해 효율성은 증가하지만 생산인구의 감소는 소비인구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어 기업전반에는 결코 긍정적인 신호일 수는 없다. 따라서 탈공업화와 함께 제조공동화에 대한 연구도 꾸준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탈공업화를 통해 제조업은 생산성 향상을 꾀할 수 있지만 결국은 생산성 증가율 괴리로 제조업에서 방출된 노동력이 다른 서비스산업에 흡수할 수 있는가의 여부가 탈공업화의 긍정 및 부정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선진국에서는 탈공업화가 고용에 미치는 효과에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제조업의 탈공업화와 고용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탈공업화와 함께 투자 및 무역과 같은 대외요인에 대한 연구도 필요한데, 제조업에서 생성되는 제품에 대한 수요 조사를 통해 탈공업화의 속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나아가 제조업의 탈공업화가 기업 내 구조조정과 어떠한 관계가 있고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도 확인할 필요가 있다.
Appears in Collections:
해운항만물류학과 > Thesis
Files in This Item:
200000283954.pdf Download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