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위험물 취급자 교육에 관한 인식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김환성 -
dc.contributor.author 박동진 -
dc.date.accessioned 2020-07-22T04:18:19Z -
dc.date.available 2020-07-22T04:18:19Z -
dc.date.issued 2020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12400 -
dc.identifier.uri http://kmo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83989 -
dc.description.abstract 국제 무역이 시작된 이래 국경을 넘어 오가는 물동량은 지속적 증가 추세에 있으며, 위험물 물동량 역시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와 함께 사고 발생의 위험도 증가하고 있으며, 실제 사고 발생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위험물은 잘못된 업무 처리 시 재산, 인명 피해 뿐 아니라 환경오염에까지 이르는 대형사고로 확대될 수 있기 때문에 취급자들은 관련 교육을 받는 것이 꼭 필요하다. 이에 실제 각 국에서는 관련하여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위험물 취급자에 대한 전문 교육을 법적 의무사항으로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 현행 법령에서는 화주에서부터 위험물 적재차량 운전자까지 다양한 행위자를 그 교육 의무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위험물이 운송되는 과정 중에 각 행위자들의 업무와 역할이 다른 만큼 교육에 대한 인식도 다를 것이라 예상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험물 수출 과정에서 직·간접적으로 이를 취급하는 행위자가 위험물 운송 전문교육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식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현재 위험물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실제 위험물의 운송 과정 중에 있는 각 행위자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하는 방식을 채택하였고, 설문의 내용은 법적 의무 인지, 필요성에 대한 인식 등 총 4가지의 기초 질문을 토대로 하여 답변에 따라 추가 질문을 진행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그리고 답변을 전체 응답과 각 행위자 별 응답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위험물 교육의 향후 개선방향을 세 가지로 제시한다. 첫째는 위험물 교육이 현재 법적 의무사항으로 규정되어 있음을 홍보해야 한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행위자 별 응답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교육 접근이 필요하며, 특히 이를 교육 내용에 연계 활용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법령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현실적 조치가 병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설문의 세부적인 분석 결과는 앞으로 위험물 교육 내용의 구성, 접근방법의 다양화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Since international trade began, cross-border shipments have been on a steady rise, and dangerous cargo shipments have also been on the rise. In addition, however, the risk of accidents about dangerous cargo is increasing, and actual accidents are also emerging. Handlers are required to get the relevant education because dangerous cargo can be extended to large accidents ranging from property and human casualties to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e event of mishandling of work. In fact, relevant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in each country, and professional education for dangerous goods handlers is stipulated as a legal obligation in Korea. The current laws in Korea stipulate that actors ranging from shipper to drivers of dangerous goods are subject to their educational duties. Therefore, It was expected that the perception of education would differ as much as the roles and tasks of each actor in the process of shipment of hazardous cargo. In this study, i wanted to explore the perception that the actors who handle dangerous goods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course of export procedure have about the professional education of dangerous goods, and to derive the implications of the current education for dangerous good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adopted a method of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for each actor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dangerous goods, and the content of the survey was based on four basic questions, including recognition of legal obligations and awareness of necessity. The response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 responses into overall responses and responses by each actor.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re are three directions for future improvement of dangerous goods handler education currently in place. First, It should be promoted that education of dangerous goods handler is currently defined as a legal obligation. Second, Depending on the responses of the actors, various approaches to education are required, and in particular, they should be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content of the training. Finally, it need to be realistic measures for the effectiveness secure of the statute together.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detailed analysis results of the survey will be utilized in organizing the content of education for dangerous goods handler and diversifying approaches to education for dangerous goods handle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List of Tables ⅱ List of Figures ⅲ 국문초록 ⅳ Abstract ⅵ 제 1 장 서 론 1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 내용 및 방법 3 제 2 장 위험물 운송 과정 개관 5 2.1 위험물의 정의 및 국제규칙 5 2.2 IMDG Code 규정 6 2.3 국내 위험물 분류 9 2.4 위험물 수출 운송 과정 12 제 3 장 이론적 고찰 25 3.1 관련 법령 25 3.2 선행 연구 27 3.3 국내외 교육훈련 사례 29 제 4 장 위험물 전문교육 인식 연구 36 4.1 연구 개요 36 4.2 연구 결과 및 분석 38 제 5 장 결 론 48 5.1 연구결과 요약 48 5.2 연구의 시사점 49 5.3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과제 50 참고문헌 52 부록 53 -
dc.format.extent 65 -
dc.language kor -
dc.publisher 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
dc.rights 한국해양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dc.title 위험물 취급자 교육에 관한 인식 연구 -
dc.type Dissertation -
dc.date.awarded 2020.02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Dong Jin Park -
dc.contributor.department 글로벌물류대학원 해운항만물류학과 -
dc.description.degree Master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박동진. (2020). 위험물 취급자 교육에 관한 인식 연구. -
dc.title.translated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Dangerous Goods Handling Education -
dc.contributor.specialty 항만물류전공 -
dc.identifier.holdings 000000001979▲200000001565▲200000283989▲ -
Appears in Collections:
해운항만물류학과 > Thesis
Files in This Item:
200000283989.pdf Download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