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우리나라 중후장대(重厚長大)화물 물류 프로세스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우리나라 중후장대(重厚長大)화물 물류 프로세스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lternative Title
An Analysis on Improvement of Logistics Process for Over-sized and Heavy Cargo in Korea
Author(s)
윤철원
Keyword
중후장대화물아웃 게이지 화물프로젝트화물과적불법운송플랜트
Issued Date
2021
Publisher
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URI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12675
http://kmo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76947
Abstract
1980년대 이후 우리나라는 중공업 부분의 눈부신 발전으로 인하여 거대한 수출입 규모의 경제시장으로 발전하였다. 주로 중후장대화물인 플랜트 생산설비의 수입과 중공업 생산품의 수출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다. 물류 SOC(도로망, 교량, 교통시설물 외)의 증가와 법과 제도의 정착에 따라 중후장대화물의 우리나라 내 물류에서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법적 단속을 피하여 불법운송이 만연하여 계측화할 수 없는 SOC피해나 인명사고나 무보험상태의 운송으로 인한 화물사고 피해 등이 거듭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물류 형태로 발생하는 사회적 피해를 구조적으로 막기 위하여 현행 중후장대화물의 물류 프로세스를 분석해 보고 개선방안을 찾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먼저 선행연구로서 플랜트 및 중량화물 물류 시장에 관한 연구사례를 분석하였고, 중량화물 등의 운송과 제반법규에 관한 연구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운송 작업상 위험성 관리에 관한 연구사례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중후장대화물의 정의를 유관법령 분석과 물류 SOC 분석과 전문 운반구 분석을 통하여 정량적으로 정의하고 분류하였다.

아웃 게이지 화물과 초중량물의 물류 프로세스를 하역, 운송, 보관작업으로 구분하여 실제 작업형태를 확인하였으며 법률적, 비용적, 인허가, 안전관리 측면으로 다각도 분석하였다. 또한, 중후장대화물 물류 관련 인프라 분석으로 산업단지 현황과 8대 국가지정항을 교차 비교하며 문제점과 개선안을 도출하였으며, 관련 보험제도를 살펴보았다. 사회적 피해를 막기 위한 개선안으로 항만 종합조립장과 통합행정의 필요성도 확인하였다.

끝으로 관련 업계나 학계에 도움 되도록 부록으로 유관법령, 하역작업 구분, 운송작업예시 등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자의 25년 업무 경험이 사회적 피해를 줄이는데 조금이라도 도움 되길 바란다.
South Korea has grown remarkably since 1980 becoming one of top exporting and importing countries due to an outstanding development in the heavy industry sector. In particular, the export of plant’s production facility and the import of the heavy machinery goods have surged exponentially. However, there have been a variety problems caused by logistic firms in South Korea handling over-sized and heavy cargoes after being confronted with not only a significant of investment in social overhead capital (SOC) facilities such as road, bridge, transport infrastructure but the enactment of the related law and policies. In many cases, to avoid law enforcement, illegal transportation of over-sized and heavy cargoes have penetrated deep into the society leading to non-quantifiable damage of SOC, casualties, accidents caused by uninsured drivers, etc.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damage to societ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transportation process of over-sized or heavy cargoes and draw up solutions in a constructive way.
This study analyzes the market of plants and over-sized or heavy cargoes as well as the relevant laws concerning over-sized or heavy cargo freight presented by previous studie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establishes a definition of over-sized or heavy cargoes with quantitative data, referring to the analysis on applicable laws, the logistics infrastructure as a form of social overhead capital and the equipment needed to over-sized and heavy cargo transportation.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ctual transportation process dividing logistic process of Out of Gauge (OOG) cargo and over-sized and heavy cargo into discharging, transportation and storage with multiple approaches in respect of relevant laws, cost, licensing approval and safety management. Moreover, this study draws problems through the cross comparison on the current status of industrial complex in Korea and designated 8 ports and for this, also proposes solutions such as an integrated administration system as well as a yard equipped to handle and over-sized and heavy cargoes.
Lastly, the relevant law, the classification of discharging or loading and examples of over-sized and heavy cargo transport are specified in the appendix for academia and related industries.
I hope that this study based on 25 years of work will be helpful to make significant strides in reducing the damage to our society.
Appears in Collections:
해운항만물류학과 > Thesi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