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한국 자동차산업의 학력별 노동수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 자동차산업의 학력별 노동수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lternative Title
An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Educational Labor Demand in Korean Automobile Industry
Author(s)
이상호
Keyword
Automobile IndustryEducational Labor DemandWageDiscrepancyGlobalizationTechnological Change
Issued Date
2021
Publisher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URI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12830
http://kmo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06435
Abstract
As Korea's economic growth has advanced, two phenomena have emerged in the Korean industry since the 1990s. One is that the so-called "serviceization of the economy" phenomenon, which increases the proportion of the service industry, is affecting the labor market structure. The other is that the wage gap between high-educated and low-educated labor is widening in the process, and income inequality is deepening due to job insecurity in low-educated labor.
Several studies show that the main cause of this industrial structure change and deepening income inequality is closely related to the labor market. As the industrial structure shifts from manufacturing to service, the wage gap by academic background expands and leads to job insecurity in low-educated labor, which eventually leads to the expansion of income inequality. Therefore, various theories have been sought on what factors affect the labor market structure and cause this phenomenon, representing human capitalism, international trade hypotheses, and highly educated labor-biased technological advances.
Based on these production functions, the following linear logarithmic estimation expressions (6) and (8) were derived, and regression was analyzed using fully-modified OLS methods.
(1) First order homogeneous function with respect to factor price and not CRS
(2) First order homogeneous function with respect to factor price and CRS
The time series data for each variable is from the last 21 years (1999 to 2019). Determination of labor demand by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 Korean automobile industry based on this estimated model. The estimated results of the caus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capital ratio () to gross output ha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negative direction of low-educated labor demand at most 1% significance and positive direction on the positive direction of high-educated labor demand).
Second, technological progress(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ing the low-educated labor demand() in a negative direction, while the positive direction in the high-educated labor demand(). The highly educated labor-biased technological advancement hypothesis is supported in the labor market of the Korean auto industry.
Third, although globalization consistently represents an estimated positive (+) coefficient for low-educated labor demand (), only som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a significant level of within 10%, which is considered to have no effect on the labor market in the automotive industry.
Fourth, relative wages of high-educated labor () affect the demand for low-educated labor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way from 10% significant to positive, creating a weak alternative between low-educated labor and high-educated labor demand ().
Fifth, production () also affected the demand for low-educated labor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direction at a 10% significant level. Changes in output in the Korean automobile industry do not significantly affect labor demand by educational background.
To summarize these estimates as a whole, low-educated labor demand is generally more affected by external changes such as material capital and technological progress than by the price variables of endogenous variables (wages for both labor). Increasing material capital or technological advances are caus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lines in demand for low-educated labour. In other words, production jobs, which are mostly low-educated workers in the auto industry, are replaced by capital facilities, and demand for low-educated labor is decreasing due to capital efficiency due to technological progress.
Therefore, in order to upgrade the automobile industry at this point,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vestment should be made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at the corporate level. In addition, at the government level, unemployment measures and education policies are required for the relocation of other industries due to reduced demand for low-educated labor.
This work establishes a first-order dynamic function assumption of a fairly constrained element price. This has a large number of parameters of transcendental logarithmic cost functions, so the time series data is relatively low at 21 years, which can distort the estimated parameter coefficient. It was therefore intended to reduce the number of parameters to prevent this. With more time series data, it is also necessary to estimate if the cost function is not a first-order homogeneous function. This is a future research project.
한국의 경제성장이 지속되면서 1990년대 이후 한국산업에 두 가지 현상이 나타났다. 하나는 제조업의 고용비중이 줄고 서비스산업의 고용비중이 빠르게 높아졌다. 다른 하나는 이 과정에서 학력별 노동의 임금격차가 확대되고 저학력노동의 고용불안이 발생되고 있고 소득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산업구조변화와 소득불평등 심화현상의 주요 원인은 노동시장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는 것이 여러 연구분석 결과이다. 산업구조가 제조업에서 서비스업으로 전환되면서 학력별 임금격차가 확대되고 저학력노동의 고용불안을 초래하여 결국 소득불평등 확대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어떤 요인이 노동시장구조변화에 영향를 미쳐 이런 현상을 초래하는지 다양한 이론이 모색되었는데 인적자본론, 국제무역가설과 고학력노동편향 기술진보가설 등 대표적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배경 하에서 자동차산업을 대상으로 학력별 노동수요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먼저 인적자본론의 함의를 바탕으로 자동차산업의 학력별 노동시장을 저학력노동시장과 고학력노동으로 분리하였다. 이에 따라 자동차산업의 단기생산함수는 설명변수로 고학력노동, 저학력노동과 자본의 생산요소와 고학력노동편향 기술진보가설과 국제무역가설의 의미를 나타내는 기술변수(연구개발비)와 세계화변수(총무역액) 등을 외생변수로 포함하였다.
이런 생산함수를 기반으로 초월로그형태의 비용함수로 가정하여 다음과 같은 선형로그추정식 (6)과 (8)을 유도하고 완전수정최소자승추정법을 사용하여 회귀분석하였다.
(1) 요소가격에 대한 1차동차함수와 규모에 대한 수익불변이 아닌 경우
(2) 요소가격에 대한 1차동차함수와 규모에 대한 수익불변인 경우
이때 각 변수의 시계열자료는 최근 21년(1999~2019)간 자료이다. 이러한 추정모형을 기반으로 한 한국 자동차산업의 학력별 노동수요 결정요인분석의 추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적자본()과 총생산량 대비 물적자본비율()은 대부분 1% 유의수준에서 저학력노동수요()에 음(-)의 방향으로, 고학력노동수요()에 양(+)의 방향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둘째, 기술진보(t)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저학력노동수요()에 음(-)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반면 고학력노동수요()에는 양(+)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고학력노동편향 기술진보 가설이 한국 자동차산업의 노동시장에서 지지받고 있다.
셋째, 세계화()는 저학력노동수요()에는 일관되게 양(+)부호의 추정계수를 나타내고 있지만 일부만 10%내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실질적으로 자동차산업의 노동시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고학력노동의 상대임금()은 저학력노동수요()에 일부만 10%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양(+)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어 저학력노동과 고학력노동수요() 간에 약한 의미의 대체관계가 성립된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생산량()도 일부만 10% 유의수준에서 저학력노동수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양(+)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한국 자동차산업에서 생산량의 변화는 학력별 노동수요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런 추정결과를 전체적으로 정리하면 대체적으로 저학력노동수요는 내생변수의 가격변수(두 노동의 임금)의 영향보다는 물적자본과 기술진보 등과 같이 외생변화에 더 영향을 받고 있다. 물적자본의 증가나 기술진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저학력노동수요의 감소를 초래하고 있다. 즉 자동차산업내에서 저학력노동이 대부분인 생산직이 자본설비로 대체되고, 기술진보에 따른 자본의 효율화로 저학력노동의 수요가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자동차산업의 고도화를 위해 기업차원에서는 교육과 훈련을 통해 인적자원 개발투자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정부차원에서는 저학력노동수요 감소에 따른 실업대책과 다른 산업의 이전을 위한 교육정책이 요구된다.
이 연구는 상당히 제약적인 요소가격의 1차동차함수 가정을 설정하였다. 이것은 초월로그비용함수의 파라메타가 많기 때문에 시계열자료가 21년으로 상대적으로 적어 파라메터 추정계수가 왜곡될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파라메터 숫자를 줄이기 위한 것이었다. 시계열자료가 더 많아지면 비용함수가 1차동차함수가 아닌 경우도 추정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향후 연구과제로 삼는다.
Appears in Collections:
경제산업학과 > Thesi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