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PLM기반 조선소 스마트 공장 구축 사례 연구

Title
PLM기반 조선소 스마트 공장 구축 사례 연구
Alternative Title
A Case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Smart Factory for Shipyards Based on PLM
Author(s)
이호준
Keyword
PLM(수명주기관리시스템)스마트팩토리(Smart Factory)조선 산업 정보운영 체계
Issued Date
2022
Publisher
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URI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12875
http://kmo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4873
Abstract
1970년 이후 3차 산업(전자기기 ICT 혁명, 인터넷, SNS 등)이 태동한 이후
50여년이 지난 지금 4차 산업혁명이 진행 중이다. 조선 산업에서도 IT 시스
템을 결합하여 지능형 스마트 공장으로 진화 시켜 나가고 있다. 즉, 사물인
터넷(IoT)에 해당하는 자동화 생산라인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하고, 서
비스인터넷(IoS)해당하는 ERP, PLM, MES 등을 물리적인 가상공간(CPS)에서
연결하여 쌍방향으로 자유로운 정보교환을 하면서 생산 체계를 구축하는 스
마트 공장의 역할이 부각되고 있다. 세계의 주요 제조업 강국들은 고령화,
노동력 감소 등 노동기반의 약화에 따라, 생산 현장의 고도화를 통하여 미
래 제조업 경쟁력 확보 노력을 하고 있다. 독일의 Industry4.0은 스마트 공장
- 73 -
기술과 데이터를 이용해 산업 전반을 성장시키고 나아가 글로벌 표준화를
추진하여 스마트 공장의 위상을 차지하려고 노력 중에 있다. 미국의 스마트
공장은 ICT 전반의 뛰어난 기술력과 혁신을 기반으로 빅 데이터를 분석해
즉시 생산성을 개선하고 새로운 사업모델과 수익원을 창출하는 방식을 채택
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도 특유의 노하우와 보안 등으로 생산성 한계 돌파
를 위한 보조 수단으로 스마트 공장을 이용하였으나 최근 솔루션 단위로 사
업을 확대 및 변화를 모색 중이다. 이에 대한민국도「제조업 혁신 3.0 전
략」을 발표하고 2025년까지 스마트 공장 3만개를 만든다는 목표로 여러 가
지 정책을 실시하고 있으며, 기업체들도 자사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스마트 공장을 구축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기업에서는 스마트
공장이 무엇이고, 어떻게 구축하며, 스마트 공장이 돼면 무엇이 좋아 지는지
를 모르고 있는 기업도 있다. 특히 조선업은 노동집약적 사업구조와 더불어
스마트 공장 구축이 늦은 편에 속하는 산업군이다. 2011년 이후로 약 10여
년간 조선업은 세계 경제 경기 침체로 수주 물량이 전무하였고 경영상태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어려운 시기에 조선업종의 종사자들의 수는 줄어들
어 예전 같은 작업률과 품질이 나오지 않고 있다. 하지만 최근 친환경 선박
수주로 다시 회복세로 돌아섰으나 조선업 전체적으로 수주율이 떨어지고,
이전처럼 고객의 요구사항을 세심하게 들어주는 전략에도 한계에 직면하게
되어 이젠 스마트 공장으로 새로운 변화를 찾아내야 할 시기가 도래되었다.
제품 및 서비스를 정보통신기술로 혁신하고 스마트 공장으로 스마트 제품,
스마트 제조, 디지털 생태계를 구축되어야 한다. 그래서 본 연구를 통하여
A, B 조선소에서 추진하고 있는 조선 산업에서의 스마트 공장 구축 방법과
성과에 대하여 공유함으로써 국가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 공장이 활성
화되기를 기대한다.
Appears in Collections:
기타 > 기타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