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선박으로 인한 침입수생종 대응을 위한 법제 개선방안 연구
- Title
- 선박으로 인한 침입수생종 대응을 위한 법제 개선방안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egislation for the Response to the Invasive Aquatic Species by Ships
- Author(s)
- 박제영
- Keyword
- 침입수생종; 선박평형수; 바이오파울링; 해양생태계; 해양환경관리법;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
- Issued Date
- 2022
- Publisher
-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12923
http://kmo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3112
- Abstract
- Shipping using the sea, which consists of 71% of the Earth's surface area, plays a very important role for mankind in the global era of the world. However, as trade volume increases in the global era, shipping activities increase in the seas around the world, and environmental damage caused by ships is an inevitable problem for mankind. Environmental damage caused by ships is not only marine pollution and air pollution, which are mainly dealt with, but also disturbance of the marine ecosystem is becoming a big problem, and the Invasive Aquatic Species(IAS) by ships is a typical cause. Invasive aquatic species are introduced in the form of ballast water, biofouling and that bring environmental damage that disturbs the marine ecosystem, human damage, and economic damage worldwide and facing a situation where measures need to take place.
To take action to these problems, existing international regulations such as the UNCLOS,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the IMO's Ballast Water Management Convention,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Control of Harmful Anti-fouling Systems on Ships, etc., and other International agreements and measures have come into force, but in the case of biofouling, there are insufficient parts because actions have taken place in the form of guidelines and not a convention, and since Invasive Aquatic Species is being actively discussed and conducted with continuous interest in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the IMO, etc., so with the existing agreements, and regarding the current measures and the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trends under discussion, will be find out.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analyze related legislation in major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to consider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to respond to the Republic of Korea's Invasive Aquatic Species.
International regulations to cope with this problem include the UNCLOS and the Convention on Biodiversity, the IMO's Ballast Water Management Convention,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Control of Harmful Anti-fouling Systems on Ships, etc., and international measures have been taken but in the case of biofouling, the IMO has insufficient response in the form of guidelines, not conventions, and discussions are activ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to respond to Invasive Aquatic Species in the Republic of Korea by identifying existing agreements and international trends and reviewing related laws in major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The UNCLOS basically requires the parties to protect and preserve the marine environment, and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also mandates the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and response to foreign species, but binding force is weakened without including specific details. In addition to the Ballast Water Management Convention,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Control of Harmful Anti-fouling Systems on Ships, the 2011 Guidelines for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ships' biofouling to minimize the transfer of invasive aquatic species also came into force, but this is a recommended guideline for some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In this study, international regulations and trends as well as domestic and foreign legislation are reviewed and analyzed to deduct the Republic of Korea's legal problems and suggest legal improvement on measures regarding Invasive Aquatic Species. For the legal problems and the subsequent improvement measures, firstly, legal action can take place for Invasive Aquatic Species that flow in the form of Ballast Water, because the Ballast Water Management Act exists domestically. But in the case of Biofouling, due to the lack of legal concept, domestic legal responses are not taking pla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relevant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Act and specify a legal definition of Biofouling. Secondly, there is a lack of institutional aspects because of the insufficient management of Biofouling. Now the current occurrence status of domestic Biofouling, the inflow status of Invasive Aquatic Species from overseas, removal method, the amount of waste generated from the removal process and the status of treatment after removal etc., is insufficient, and regular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and post-monitoring have not been made. In addition, institutional enactment is needed due to the qualification and safety standards of the removal of Biofouling that follow, as well as the definition of business being non-existent. Therefore the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Act, must stipulate biofouling removal businesses, and based on this, “Biofouling Removal and Management System (tentative name)” should be enacted. Environmental damage, human damage, and economic damage, which are representative damages to harmful marine species, are organic to each other, and even looking at domestic marine species damage cases, there is a limit to distinguishing the scope of application due to the inability to manage disturbing species of marine ecosystems and harmful marine species of the Marine Ecosystem A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law of the Marine Ecosystem Act. Lastly, the risk assessment of marine species also needs to be revised to the name of the definition according to the extent of damage, and some items in the risk assessment data are lacking, and there is room for omission without based on the criteria for the announced items, so due to the lack of objectivity and systematic management, risk-grade items should be added to the data to be evaluated, and the evaluation omission clause in the evaluation period of the notice should be removed to improve objective, regular and systematic evaluation. In this way, by reviewing and analyzing international regulations and trends and domestic and foreign legislation, we will derive legal and institutional problems related to invasive aquatic species due to ballast water and biofouling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present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to improve them.
지구 표면적의 71%로 구성된 바다를 이용하는 해운은 전 세계를 무대로 하여 이루어지는 글로벌 시대에서 인류에게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글로벌 시대에서 무역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 세계의 바다에 해운활동 또한 많아지면서 선박으로 인한 환경적 피해는 인류에게 피할 수 없는 문제이다. 선박으로 인한 환경적 피해는 주로 다뤄지는 해양오염과 대기오염뿐만 아니라 해양생태계 교란 또한 큰 문제가 되고 있는데, 선박으로 인한 침입수생종이 대표적인 원인이다. 침입수생종은 선박평형수와 바이오파울링의 형태로 유입이 되며 전 지구적으로 해양생태계 교란인 환경적 피해와 인적 피해 그리고 경제적 피해를 일으켜 조치가 필요한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대응하기 위한 국제규정으로는 기존의 유엔해양법협약 및 생물다양성협약과 국제해사기구의 선박평형수관리협약, 선박의 유해방오시스템 사용 규제에 관한 국제협약 등이 발효되어 국제적 조치가 마련되었으나 바이오파울링의 경우는 국제해사기구에서 협약이 아닌 지침의 형태로 대응하여 미흡한 부분이 있고, 또한 국제사회에서 침입수생종에 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협약들과 국제동향을 파악하고 국내와 국외 주요국의 관련 법제를 검토하여 우리나라의 침입수생종 대응을 위한 법률적, 제도적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유엔해양법협약에서는 기본적으로 협약 당사국들에게 해양환경을 보호하고 보전할 의무를 요구하고 있으며, 생물다양성협약 또한 생물다양성 보전 및 외래종 문제에 대응을 의무화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내용을 포함하지 않고 구속력이 약화되어 있다. 국제해사기구에서는 선박평형수관리협약과 선박의 유해방오시스템 사용 규제에 관한 국제협약에 이어 2011 선박의 바이오파울링 지침 또한 발효하였으나 이는 권고적 지침으로 미국, 호주 등의 일부 국가들은 자국의 국내법으로 규제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국제동향 및 국제규정과 국내·외 법제를 검토하여 우리나라의 법제적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침입수생종 대응을 위한 법제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법제적 문제점과 그에 따른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선박평형수의 형태로 유입되는 침입수생종은 국내에 「선박평형수관리법」이 존재하여 법률적인 대응을 할 수 있으나, 바이오파울링의 경우는 법률적 개념 부재로 국내의 법률적 대응이 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관련된 「해양환경관리법」을 개정하여 바이오파울링의 법률적 정의 명시가 필요하다. 둘째, 바이오파울링의 관리 또한 미비하여 제도적인 부분이 부족한 상황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바이오파울링의 발생 현황, 외국에서의 침입수생종 유입 실태, 제거방식, 제거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양과 제거 후 처리 등에 대한 실태 파악이 미흡하고, 정기적인 실태조사와 사후 모니터링도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바이오파울링 제거에 따른 자격과 안전기준 및 그에 따른 사업에 대한 정의 또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제도적 제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해양환경관리법」에 바이오파울링제거업을 규정하고 이에 근거하여 “바이오파울링의 제거 및 관리 제도(가칭)”가 제정되어야 한다. 셋째, 피해를 끼치는 해양생물의 대표적 피해인 환경적 피해와 인적 피해 그리고 경제적 피해는 서로 유기적이며, 국내 해양생물의 피해 사례를 보아도 국한되지 않은 피해 범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해양생태계법」에서 피해 적용범위로 해양생태계교란생물과 유해해양생물을 구분하고 각각 관리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해양생태계법」의 법률 개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해양생물의 위해성 평가 또한 피해 범위에 따른 정의의 명칭 수정이 필요하며 위해성 평가하는 자료의 항목이 일부 결여된 부분이 있고, 고시된 항목의 기준에 근거하지 않고 생략의 여지가 있어 객관성 및 체계적인 관리가 부족하기 때문에 평가하는 자료에 위해성 등급 항목을 추가하고 고시의 평가 시기 부분의 평가 생략 조항을 삭제 및 강제조항으로 개정하여 객관적이고 정기적인 평가가 되도록 개선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선박평형수와 바이오파울링으로 인한 침입수생종과 관련한 국제규정 및 동향과 국내·외 법제를 검토하여 우리나라의 침입수생종 관련 법률적, 제도적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법률적,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침입수생종에 대응하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
Appears in Collections:
- 기타 > 기타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