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조난선박 지원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조난선박 지원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egal System for Supporting Ships in Distress
Author(s)
정선근
Keyword
선박사고조난선박선박피난처코로나19감염병조난선박 지원에 관한 법률
Issued Date
2022
Publisher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URI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12956
http://kmo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3119
Abstract
Ships are always exposed to perils of the seas, and accidents caused by maritime perils traditionally include collision, sinking, oil spills, stranding, fire, and explosion. Ships have a limited ability to handle such accidents on their own, and accidents may put them in a distress situation in which normal operations are impossible. Therefore, active external support is essential for an effective response to ships in distress. Regarding this matter, there are internationally relevant norms, and each country responds through its own laws and regulations.
The provision of a ‘place of refuge for ships’ should be considered as a way of supporting ships in distress to manage accidents and prevent the spread of damage. A place of refuge means a place where a ship in need of assistance can take measures to stabilize its condition, reduce the hazards to navigation, and protect human life and the environment. At the 23rd General Assembly of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the 「Guidelines on Places of Refuge for Ships in Need of Assistance」 were adopted as a resolution of the General Assembly. Since then, some countries have designated and operated places of refuge due to the efforts of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and participation of each country, but such shelters remain inoperative in other nations. South Korea is also passive in operating places of refuge.
Meanwhile, unlike traditional vessel accidents, new unexpected forms of distress situations are occurring. A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recent global COVID-19 pandemic that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orts and the shipping industry. Specifically, there are problems such as crew and passengers infected with COVID-19, shifts of crew members, and port entry delays and refusals. There was a case where a cruise ship was refused to enter a port as the crew and passengers were infected with COVID-19 and the cluster infection spread. Ships that were refused to enter ports without proper measures by neighboring countries were forced to witness an increase in material and human damage.
In order to respond to ships in distress due to a variety of vessel accidents, including an unexpected crisis such as COVID-19, neighboring countries should provide appropriate places of refuge and conduct active support effor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reviously established concept of distress to prepare for new forms of distress. If the concept is expanded, not only ships in distress due to traditional accidents, but also those reporting infectious diseases can be classified as ships in distress. In this way, it will be possible to establish a response plan for new forms of distress and provide active support efforts.
In South Korea, there have been inadequate discussions on the provision of shelter for ships in distress, active support, and expansion of the concept of distress, and the specific legal system is also lacking to some extent. If a large cruise ship with a cluster infection of COVID-19 requests place of refuge in Korea, it will be difficult to provide adequate support and respons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oblems in Korea's legal system regarding the provision of effective support for ships in distress and to suggest policy measures for system improvements and legal system modifications to address these problems. For this purpose, the author review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such as the concept of distress and the necessity of providing place of refuge, and also examined the international norms and responses regarding the provision of support to ships in distress. Furthermore, the areas that require improvements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the national legal system and the response status for ships in distress. With this as the focus, the author tried to provide solutions to the problems by suggesting policies and measures for system improvements and legal system modifications related to ship evacuation.
The importance of effective support for ships in distress must be recognized in order to deal with accidents and prevent secondary damage. To effectively support ships in distress in the waters near Korea,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place of refuge and conduct active support efforts. To respond to new forms of distress situations, the concept of distress must be expanded. To realize this objective, this study proposes the enactment of an 「Act on Support for Ships in Distress」.
선박은 해상고유의 위험에 항시 노출되어 있으며, 해상위험으로 인한 선박사고로는 전통적으로 충돌, 침몰, 기름유출, 좌초, 화재 및 폭발사고 등이 있다. 이러한 사고는 선박에서 자체적으로 수습하는 데에 한계가 있고, 사고로 인하여 선박은 정상적인 운항이 불가능한 조난상황에 처할 수 있다. 따라서 조난선박에 대하여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서는 외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수적이다. 이와 관련하여 국제적으로 관련 규범을 두고 있으며, 각 국가에서도 자국 법령을 마련하여 대응하고 있다.
조난선박에 대한 지원방안으로 사고 수습과 피해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박피난처의 제공이 고려되어야 한다. 선박피난처는 원조가 필요한 선박이 그 상태를 안정시키고, 항해에 대한 위험을 줄이며, 인명 및 환경을 보호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장소를 의미한다. 국제해사기구 제23차 총회에서는 「원조가 필요한 선박을 위한 피난처에 관한 지침」이 총회결의서로 채택되었다. 국제해사기구의 노력과 각국의 참여로 일부 국가에서 선박피난처가 지정되어 운영되고 있지만, 선박피난처의 운영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선박피난처의 운영에는 소극적인 실정이다.
한편, 전통적인 선박사고와 달리 예기치 못한 새로운 형태의 조난상황이 선박에서 발생하고 있다. 최근 코로나19의 세계적인 대유행이 대표적인 사례이며, 코로나19의 대유행은 항만과 해운업계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선원과 여객의 코로나19 감염, 선원교대, 선박의 입항지연 및 거부 등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크루즈 선박에 승선 중인 선원과 여객이 코로나19에 감염되었고, 집단감염으로 확산되면서 해당 선박의 입항이 거부되는 사례가 있었다. 인근 국가의 적절한 조치 없이 입항이 거부된 선박은 물적·인적 피해를 키울 수밖에 없었다.
코로나19와 같이 예기치 못한 위험을 비롯하여 각종 선박사고로 인한 조난선박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인근 국가에서 적절한 선박피난처를 제공하고, 적극적인 지원 활동을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새로운 형태의 조난에 대비하기 위하여 기존에 정립된 조난의 개념을 확장할 필요성이 있다. 조난의 개념을 확장하면, 전통적인 선박사고에 기인한 조난선박뿐만 아니라 감염병이 발현한 선박도 조난선박으로 분류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새로운 형태의 조난선박에 대한 대응계획을 수립하고, 적극적인 지원 활동도 가능할 것이다.
우리나라는 조난선박에 대한 선박피난처 제공과 적극적인 지원, 조난의 개념 확장에 관한 논의가 미흡한 실정이며, 구체적인 법제 또한 다소 부족한 부분이 있다. 만약, 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한 대형 여객선이 우리나라에 피난처를 요청할 경우, 적절한 지원과 대응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조난선박에 대한 효과적인 지원을 위하여 조난과 관련한 우리나라 법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 및 제도개선방안과 법제의 정비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선박조난의 개념과 선박피난처 제공의 필요성 등 이론적 배경에 대하여 검토하였고, 조난선박 지원에 관한 국제적 규범과 대응 현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조난선박에 대한 국내 법제와 대응 현황을 분석하여 개선이 필요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중심으로 선박피난과 관련한 정책 및 제도개선방안과 법제의 정비방안을 제시하여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조난선박에 대한 효과적인 지원은 선박사고의 수습과 2차 피해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중요하게 인식되어야 한다. 우리나라 인근 해역에서 발생하는 조난선박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선박피난처의 운영과 적극적인 지원 활동이 필요하며, 새로운 형태의 조난상황에 대응하기 위하여 조난의 개념을 확장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조난선박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안」을 제시하였다.
Appears in Collections:
기타 > 기타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