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낚시선박 안전관리기준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낚시선박 안전관리기준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Improvements for Safety Management Criteria of Fishing Boats
Author(s)
하일홍
Keyword
낚시선박, 다중이용선박, 해양사고, 유선, 낚시어선, 수상레저기구, 안전관리기준
Issued Date
2022
Publisher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URI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13041
http://kmo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42551
Abstract
Recently, the interest in water-related leisure activities has increased along with an increase in income, including the settlement of the 52-hour workweek system and the breakthrough of $30,000 per capita income. In particular, the fishing population increased rapidly as entertainment programs with the theme of sea and fishing, such as "City Fishermen" and "Three Meals a Day" became popular. As of 2020, the fishing population reached 6.2 million, and the number of users of fishing boats increased from 2.24 million in 2010 to 5.07 million in 2020, making it a representative leisure activity for the people.
However, along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anglers using the boats, marine accidents of the fishing boats have occurred repeatedly, with many casualties occurring due to the capsize of the fishing boat ‘Dolgorae’ in 2015 and the collision of the fishing boat ‘No. 1 Sunchang’ in 2017.
Accordingly, the government was trying to resolve the blind spot of safety management by announcing measures to improve the safety management such as the multiple boarding vessels and coastal vessels. In 2016, the government announced "Safety Management Innovation Measures for multiple boarding Vessels" for vessels with 13 or more passengers and tried to resolve the imbalance in safety management between ship types by unifying safety criteria applied differently according to individual laws.
It will be difficult to understand on the view of general users that vessels on board for the same purpose are subject to different safety management criteria according to individual laws and regulations. Along with the explosive increase in the number of anglers, vessels used for fishing are divided into cruise vessels, fishing boats, and leisure boats in accordance with individual business laws, and different safety management criteria are applied.
In this study, safety management criteria applied to cruise vessels, fishing boats, and leisure boa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classifying them into four categories : registration and permission, safety management system, qualification and education for crew members, safety equipment standards.
Many safety management criteria have been improved in accordance with the government's improvement measures, and similar standards are applied between vessel’s types, but different safety management standards are still applied in several items. It seems that there is a limit to applying the same standards according to the business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vessels.
However, as improvements were not made quickly after the announcement of the safety management innovation measures for the multiple boarding vessels in 2016, it is inevitable to assume that the installation of AIS or life rafts in 2017 could have been minimized.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the following improvements based on the results of comparison and analysis of safety management criteria for individual vessels.
First, it is necessary to unify the safety management authorities in charge of the safety management of fishing vessels. It is necessary to support fishing boats with excellent safety management by introducing a support system for the vessels with excellent safety management implemented in passenger ships and fishing sites.
Seco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minimum manning standards for the multiple boarding fishing boats to share the safe operation of the vessels and safe management tasks for passenger, and to clarify the duties and authority of captain on boarding fishing boat and leisure boat. It wa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licensed test of the leisure boat on reflecting the navigation of the vessels.
Thir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safety management on fishing boats with 13 or more people on boar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license system that permits fishing boats through examination of registration requirements, such as fishing cruisers.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inspection period of personal leisure boats with a maximum number of 13 or more people on board every year like other vessels.
In addition, sailing areas are applied differently need to adjust reasonably, it was proposed to improve the legislation to unify the standards for safety facilities in consideration of navigation areas.
If we continue to improve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of the multiple boarding vessels including fishing boats, by creating a safer sea,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amage to the lives and property of users due to marine accidents. It will be the motivation to develop maritime power with enjoying the sea and marine leisure activities.|최근 주 52시간 근무제의 정착 민 국민소득 3만 달라 돌파 등 소득의 증가와 함께 수상레저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특히 ‘도시어부’, ‘삼시세끼 어촌편’ 등 바다와 낚시를 주제로 한 예능 방송이 인기를 끌면서 낚시인구가 급속히 증가하였다. 2020년 기준 낚시인구가 620만명에 이르고 있으며, 낚시어선의 이용객 수가 2010년 224만명에서 2020년 507만명으로 증가(125.6%)하는 등 국민의 대표적인 여가활동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하지만, 선박을 이용한 낚시객의 증가와 함께, 2015년 낚시어선 돌고래호 전복사고와 2017년 낚시어선 선창1호 충돌사고 등으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등 낚시선박의 해양사고는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다중이용선박과 연안선박 등의 안전관리 개선대책 을 발표하여, 안전관리 사각지대를 해소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2016년 정부에서는 승객 13인 이상의 불특정 다수 국민이 승객으로 승선하는 선박에 대하여 ‘다중이용선박에 대한 안전관리 혁신대책’을 발표하였고 그 내용으로 개별법령에 따라 상이하게 적용되는 안전기준을 통일하는 등 선종 간 안전관리의 불균형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일반 이용객의 입장에서 동일한 목적으로 승선한 선박이 사업별로 개별법령에 따라 다른 안전관리기준을 적용받고 있는 것은 쉽게 이해하기 힘들 것이다.
낚시객의 폭발적 증가와 함께, 낚시에 이용되는 선박이 개별 사업법령에 따라 유선, 낚시어선, 수상레저기구로 나누어져 상이한 안전관리기준을 적용받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선, 낚시어선, 수상레저기구에 적용되는 안전관리기준을 등록에 관한 사항, 안전관리제도, 승선원의 자격 및 교육, 안전설비기준, 4가지로 항목으로 분류하여 비교ㆍ분석하였다. 정부의 개선대책에 따라 많은 안전관리기준이 개선되어 선종 간 유사한 규정을 적용되는 항목도 있으나, 아직 여러 항목에서 상이한 안전관리기준이 적용되고 있는 경우도 식별되었다. 이는 개별선박의 사업특성에 따라 완전히 동일한 기준을 적용한다는 것은 한계가 있어 보인다.
하지만, 2016년 다중이용선박 안전관리 혁신대책 발표 후 개선사항이 신속히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2017년 선창1호 충돌사고 시 AIS나 구명뗏목의 설치가 조기에 이루어졌다면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가정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별선박의 안전관리기준 비교ㆍ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개선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낚시선박의 안전관리 업무를 담당하는 안전관리기관을 일원화할 필요가 있다. 여객선, 낚시터에서 시행하고 있는 안전관리 우수 선박 등에 대한 지원제도를 낚시선박에도 도입하여 안전관리가 우수한 낚시선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다중이용선박의 최저승무기준을 강화하여 선박의 안전 운항과 승객의 안전관리 업무를 분담하여 수행토록 하는 개선이 필요하며, 낚시어선과 수상레저기구 선장의 직무와 권한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선박의 항법 등을 반영한 동력수상레저기구 조종면허시험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셋째, 13인 이상 승선하는 낚시선박에 안전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유선과 같이 낚시어선의 등록 요건 심사를 통해 면허를 발급하는 면허제도 도입이 필요하며, 최대승선인원 13인 이상 개인용 수상레저기구의 안전검사 시기를 다른 선종과 같이 매년 받도록 조정이 필요하다. 아울러, 개별선박마다 상이하게 적용되는 항해구역에 대한 합리적인 조정이 필요하고, 마지막으로, 개별선박마다 다르게 적용되고 있는 안전설비기준을 항해구역 등을 고려하여 통일화하도록 법령을 개선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낚시선박을 포함한 다중이용선박의 안전관리체계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간다면, 보다 안전한 바다를 만들어 해양사고로 인한 이용객의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줄여나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욱더 많은 사람들이 바다와 해양레저활동을 즐기며 해양강국으로 발전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Appears in Collections:
기타 > 기타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