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우리나라 제조업에서 무역과 연구개발투자가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Title
우리나라 제조업에서 무역과 연구개발투자가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Effects of Trade and R&D Investment on the Efficiency in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Author(s)
박유근
Keyword
DEA, manufacturing, R&D, export, import, technical efficiency, 자료포락분석(DEA), 제조업, 수출, 수입, 연구개발투자, 기술효율성
Issued Date
2023
Publisher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URI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13218
http://kmo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70489
Abstract
By utilizing the export-led development strategy instead of import substitution development strategy after 1960's, South Korea has become a remarkable advanced country belonging to the 10 biggest countries' group and in terms of foreign trade, sixth or seventh country in the world. During the growth process, it has experienced the reducing share of manufacturing industry and enlarging share of service industry in national industrial structure. But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USA and England have been considering the economic effects of manufacturing on the whole economy, and have supported their own companies reshoring toward their home countries, pursuing the campaign, which is called :'Manufacturing Renaissance'. South Korea's government has arrived at the timepoint to make a very important decision to choose the policy direction about manufacturing renaissance campaign in that South Korea has been trapped in sandwitch position between the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This study attempts to find out the current position of Korean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and suggest the policy implications to develop the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In this study, we have used the data of 25 subindustries in the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from 2006 to 2020, consisting of the data surveyed on 6,150 sampled companies.
The input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the number of employees, assets, and intermediate goods, and the sales data was used as an output variable. In addition, various nominal variables were transformed to real variables using the GDP deflator. In addition, in order to measure efficiency by converting it into a company unit, output and input variables by industry were divided by the number of companies and converted into variables per individual company. In addition, in the regression analysis model, the regression equations were estimated by excluding the samples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there were no R&D expenses and export and import data. The total amount model used the real amount per company of export, import, and R&D expenses, and the intensity model used the saares of exports, imports, and R&D expenses divided by sales. In addition, the model for measuring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efficiency index used the efficiency index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export variable, import variable, and R&D variable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addition,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applying dummy variables for each industry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ustry. The method to measure relative efficiency of the company adopted an input-oriented method of DEA.
The empirical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chnical efficiency of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has been gradually decreasing over the past 15 years, and this phenomenon means that the technological efficiency of the second half is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half.
Second, scale efficiency in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rose 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over the past 15 years and then fell sharply in the second half.
Third, the gap in productivity of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has been widening over the past 15 years. On average, the decline in the value of technology efficiency means that the relative efficiency gap between Korean companies is widening, and this has shown a phenomenon "the rici, the richer, and the poor, the poorer.' among the big and small companies.
Fourth, the impact on the technical efficiency of exports is also seen explicitly in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which means that positive impacts on exports was measured in terms of technical efficiency and scale efficiency.
Fifth, imports also have minimal or very limited effects on efficiency.
Sixth, corporate R&D investments play negative roles in terms of technical efficiency. The scale efficiency an also have received negative effects from R&D investmen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can be obtained.
First, in the case of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more and more companies are both exporting and importing. This phenomenon can be seen that the better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are, the greater the productivity benefits obtained by exporting and importing together. This can be said that companies that operate both exports and imports may have greater productivity gains in some areas, but their complementarity is weak.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exports are effective in increasing efficiency, but imports have a limited impact.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he complementarity between exports and imports is relatively weak.
Second, it is very urgent to establish a social infrastructure wher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large enterprises can coexist in the face of the growing rich and poor phenomenon between SMEs and large enterprises. There is a need for an institutional mechanism to bridge the productivity gap between companies and increase the technology of SMEs. Recently, the National Assembly ihas ntroduced the "Unit Price Linkage Act", and this system was introduced in Korea to reflect the price increase in parts and raw materials in the delivery of SMEs. This is a very encouraging phenomenon, and there is a need to expand this system to the moe flexible system. An alternative to the unit price registration system is proposed. If SMEs register the unit price with large companies and establish institutional mechanisms to guarantee a certain percentage of the unit price through consultation among large companies, South Korea can establish the foundations for co-prosperity between large and small companies
Third, in the case of R&D investment, there is a need to convert corporate goals into long-term goals from the reality of companies that focus on short-term performance. There is a need for an institutional mechanism to introduce national support incentives for SMEs' technical personnel and to prevent the outflow of SMEs' technical personnel to large companies or other companie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se measures are also directly related to the problem of common assets that have been discussed recently. Efforts are needed to recognize and manage technology or technical personnel possessed by SMEs as common asset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n institutional device that manages and supports new technologies invented by SMEs at the national level so that they cannot be leaked to large companies and continuous technology development is possible. There is a need for government departments that manage SMEs to establish and operate an institutional system that manages SMEs' technology and manpower, and a tentatively named "Small and Medium Business Common Asset Management System" that solves these problems on a regular basis. The system can establish a system managed and supported by the state by registering new technologies and technical personnel of SMEs in this system. In this system,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that selects national tasks that will be the future growth engine of the country and turns them into national common assets. The national tasks supported by SMEs should break away from the structure of individual support and establish a system that organically connects these tasks so that technology development and manpower training can have an upward effect on various national tasks.
Fourth, at the national level, support policies for each industry should be established by dividing industries with increasing efficiency and falling industries for each Korean manufacturing company. In other words, policy support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facilitate the exit of industries with declining productivity, and policy support should be provided so that more efficient companies can prosper to more trade and more R&D. To this end, it is a very important national task to benchmark Taiwan's SME development policy, understand Japan and Germany's SME development policy, and devise a SME policy suitable for the Korean economy. Reforming Korea's economic structure biased toward large companies and creating an economic structure in which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and large companies grow together will be a shortcut for Korea to become the world's most advanced country. In particular, industrial robot technology, automation technology, the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machine learning technology, big data technology, and 3D springing technology, which are recently developing INDUSTRY 4.0, should be established to encourage creative destruction in terms of manufacturing space and function.
Fifth, there is a need to have an upward effect by combining exports and imports and trade and R&D. In other words, policies should be prepared to ensure that R&D and trade appear in parallel, just as exports and imports cause synergistic effects on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centives by reducing import tariffs or increasing R&D expenses to companies that increase R&D expenses while importing a lot of raw materials.
Sixth,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increase manufacturing productivity by identifying the cause of the productivity gap in terms of efficiency in the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In the reality that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re increasing their competitiveness in manufacturing through the "Manufacturing Renaissance" movement, appropriate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revive Korea's manufacturing industry.|우리나라는 1960년대 이후 수출주도형 경제개발전략을 통하여 무역자유화를 통한 경제성장전략을 추구함으로써 2020년대에 이르러 세계 10대 경제선진국에 도달했으며 무역면에서는 세계 6-7위의 경제대국으로 성장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한국의 산업구조는 제조업의 비중이 감소하고 서비스업의 비중이 커지는 선진국과 같은 산업구조로 변화되어 욌다. 그러나 2008년 세계금융위기 이후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들이 제조업이 산업에 미치는 경제적인 영향을 고려하여 외국에 나가 있던 공장을 국내에 유치하는 리쇼어링현상이 대두되고 있고 제조업르네상스운동이 전개되는 현실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나라 제조업은 공장의 해외이전이나 선진국으로의 공장건설에 대해 우리나라 제조업의 발전에 대한 국가적인 정책방향설정이 매우 중요한 시점에 이르고 있다. 우리나라 제조업은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의 해외공장의 국내유치를 향한 리쇼어링현상과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국가로의 공장 이전을 통한 경쟁력확보 노력 사이에 끼어 있는 샌드위치적인 위치에 있어 우리나라 제조업에 대한 국가적인 정책방향설정이 그 어느 때 보다도 중요한 시점에 이르게 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대한 과제를 안고 있는 우리나라 제조업의 경쟁력의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우리나라 제조업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정책제안을 함으로써 우리나라 제조업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주요한 목표로 하여 연구를 전개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제조업을 대상으로 업종별 효율성을 측정하고 시간적 추세를 비교하였고 이러한 제조업의 업종간 효율성의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을 찾고자 하였다. 2006부터 2020년의 기간 사이의 우리나라 제조업 25개 업종별 자료를 대상으로 자료포락방식을 이용하여 상대적인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효율성측정을 위하여 사용된 투입변수로는 종업원수와 자산액 그리고 중간재가 이용되었으며, 산출로는 매출액이 이용되었다. 그리고 기업단위로 변환하여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해 산업별 산출과 투입변수는 산업별 기업체수로 나누어 개별기업당 변수로 환산하였다. 그리고 효율성 차이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회귀분석모형에서는 연구개발비와 수출 및 수입 그리고 산업별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더미변수 이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우리나라 기업들의 기술효율성은 지난 15년간 점차 하락 되어 왔으며, 전반기보다 후반기의 기술효율성이 낮게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우리나라의 제조기업에서 규모효율성은 지난 15년에 걸쳐 전반기는 상승하다가 후반기에는 급격히 하락했다는 것이다.
셋째, 수출의 기술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이 한국의 제조기업에서도 나타나고 있으며, 규모효율성 면에서도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이 측정되었다.
넷째, 수입도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거나 매우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다섯째, 기업의 연구개발투자는 기술효율성 과 규모효율성 면에서도 부정적인 영향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여섯째, 효율성이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일곱째, 효율성이 수입에 미치는 영향은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나고 있었다.
여덟째, 효율성이 연구개발투자에 미치는 영향은 부정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효율성이 높은 기업일수록 연구개발에 소극적인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우리나라 제조기업의 경우는 수출과 수입을 겸하는 기업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국제화와 세계화가 잘되어 있는 기업일수록 수출과 수입을 함께 함으로써 얻게 되는 생산성의 이익이 커진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수출과 수입을 겸하여 운영하는 기업이 생산성의 이득이 일부에서는 커질 수 있지만, 그 상호보완성은 약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제조업의 경우에 수출은 효율성 증대에 효과적이지만, 수입은 제한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즉, 수출과 수입의 상호보완성이 비교적 약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중소기업과 대기업간의 부익부빈익빈현상이 커지고 있는 현실에서 중소기업과 대기업이 상생할 수 있는 사회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매우 절실하다. 이러한 기업간 생산성 격차를 해소하고 중소기업의 기술력을 올릴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최근 국회에서 단가연동제를 도입하여 우리나라에서도 부품이나 원자재가상승을 중소기업의 납품가에 반영하는 제도가 도입되었다. 이는 매우 고무적인 현상으로 이러한 단가연동제가 확대적용되도록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단가 등록제라는 대안이 제시되고 있는바 대기업에 부품을 제공하는 중소기업들이 대기업에 부품단가를 등록하고 이를 기반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협의를 통해 일정비율의 부품단가를 보장하는 제도적 장치를 만든다면 중소기업이 대기업간의 종업원간의 임금격차를 해소하고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에 투자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든다면 중소기업과 대기업이 상생하는 기반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연구개발투자의 경우는 단기적인 성과에 치중하는 기업의 현실에서 기업의 목표를 장기적인 목표로 전환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중소기업의 기술인력에 대한 국가적인 지원인센티브가 도입되고 일정기간 중소기업의 기술인력이 대기업이나 다른 기업으로 유출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대책은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공유자산의 문제와도 직결된다. 중소기업들이 가지고 있는 기술이나 기술인력을 공유자산으로 인식하고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중소기업이 발명한 신기술에 대해서는 대기업에 유출되지 못하고 지속적인 기술개발이 가능하도록 국가적인 차원에서 관리하고 지원하는 제도적 장치의 도입이 필요하다. 중소기업을 관리하는 정부 부처들이 중소기업의 기술과 인력을 관리하는 제도적 시스템을 구축하고 상식적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가칭 “중소기업공유자산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 시스템에는 중소기업의 신기술과 기술인력을 등록하여 국가가 관리하고 지원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것이다. 이 시스템에서는 국가의 미래 성장동력이 될 국책과제를 선별하여 국가공유자산화하는 시스템도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중소기업에 지원하는 국책과제는 개별적으로 지원하는 구조에서 벗어나 이러한 과제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여러 가지 국책과제간에 기술개발 및 인력양성에 상승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넷째, 국가적인 차원에서 우리나라 제조기업별로 효율성이 상승하는 업종과 하락하는 업종을 구분하여 업종별 지원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생산성이 하락하는 산업은 퇴출이 원활하게 되도록 정책적으로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하고 효율성이 높은 기업들이 보다 많은 무역과 연구개발이 이루어지도록 정책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가적으로는 대만의 중소기업육성정책에 대해 벤치마킹을 하고 일본과 독일의 중소기업의 육성정책을 잘 파악하여 우리나라 경제에 맞는 중소기업정책을 강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국가적인 과업이다. 대기업으로 편향된 우리나라 경제구조를 일신하고 중소기업과 대기업이 동반 성장하는 경제구조를 만드는 것이 우리나라가 세계가 주목하는 일등 선진국으로 가는 지름길이 될 것이다. 특히 최근에 발전하고 있는 산업 4.0(INDUSTRY 4.0)인 산업용 로봇기술, 자동화기술, 사물인터넷(the Internet of Things: IoT)기술, 기계학습기술, 빅데이터기술, 3D프린팅기술 등은 제조업의 공간적이고 기능적인 면에서 창조적 파괴를 장려할 수 있는 중소기업지원시스템을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다.
다섯째, 수출과 수입을 겸하고 무역과 연구개발을 겸하여 상승효과가 나타나도록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수출과 수입이 서로 상승효과를 일으키는 것과 마찬가지로 연구개발과 무역이 병행해서 나타나도록 하는 방향으로 다시 말하자면, 무역과 연구개발의 보완효과가 나타나도록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수출을 많이 하면 연구개발비의 국가지원에서 혜택을 주거나 수출실적과 연구개발비 실적을 합산하여 세금감면 혜택을 주거나 원자재 수입을 많이 하면서 연구개발비를 늘리는 기업들에게는 수입관세를 감면하거나 연구개발비의 국가지원을 늘려주는 방식 등으로 인센티브가 제공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여섯째, 우리나라 제조업에서 효율성 면에서 나타나는 생산성 격차의 원인을 파악하여 제조업 생산성을 증대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들이 제조업 부흥운동을 통해 제조업 경쟁력을 높이고 있는 현실에서 우리나라 제조업을 부흥시킬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개선할 부분이 있다.
첫째로, 본 연구에서는 효율성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자료포락방식을 이용하여 기업간 효율성의 상대적인 격차를 측정하였으나 보다 정밀한 계량경제모형식을 적용하여 절대적인 효율성의 측정치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제조업의 15년간의 측정치를 계산하였으나 보다 긴 기간의 자료를 확보하여 30년 내지 50년간의 자료를 확보하여 제조업의 장기적인 효율성의 측정치를 파악함으로써 우리나라 제조업의 효율성의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여 비교한다면 더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본 연구는 투입을 세 가지, 산출을 한가지로 하여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산출은 매출액을 이용하여 효율성을 측정하였는데 부가가치를 이용하여 효율성을 측정하여 매출액효율성과 부가가치효율성을 비교하는 것도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매출액과 부가가치면에서 효율성이 유사하게 나타나는지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제조업의 최근 15년간의 효율성을 측정하고 효율성 격차의 원인에 대해 수출의 중요성과 연구개발비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얻었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는 제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리쇼어링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과 대기업간의 동반성장을 통한 공동상생전략과 수출을 통한 경쟁력확보를 위한 다양한 정책개발이 시급하다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Appears in Collections:
기타 > 기타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