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자산거래가 화폐수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자산거래가 화폐수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Effect of Asset Transaction on Money Demand
Author(s)
백창현
Keyword
Money Demand, Currency Indicator(M1, M2, Lf), Liquidity Preference Theory, Asset Effect, Uncertainty Effect, 화폐수요, 유동성선호설, 통화지표, 자산효과, 불확실성효과
Issued Date
2023
Publisher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URI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13226
http://kmo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70783
Abstract
Since the 1990’s, with the progress of globalization, financial regulations have been eased, and with the development of ICT it has quickly been combined with a financial industry. In the process, the various types of financial product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existing financial products emerged, and the financial policies of the governments based on stable determinants which lay foundation on the existing money demand theory, could not effectively control liquidity and credit size. Therefore, the researches were activated to establish a new money demand function by finding the determinants of stable money demand.
Due to changes in the financial environment, this paper established two types of extended money demand functions. one is the asset effect estimation model which adds asset effect factors (stock prices, real estate prices, and exchange rates) to the money demand function including real income and interest rates, which are the basic factors. The other one is the uncertainty effect estimation model which adds the uncertainty effect factors (stock prices volatility and exchange rates volatility) to the basic money demand function. To confirm whether a stable relationship between these determinants and long-term and short-term demand for money is established, It was divided into the period of the Korean foreign exchange crisis (1991-2006) and the period of the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 (2007-2021), and the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GLS method including the entire period (1991-2021), respectively.
The estimation results of the asset effect estimation model and the uncertainty effect estimation model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gardless of the monetary indicators M1, M2 and Lf in the estimation results for the entire analysis period, in most of the estimatin results by the asset effect estimation and uncertainty effect estimation models, real incom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long and short-term money demand in the positive (+) direction and the interest rate in the negative (-) direction, as predicted by the liquidity preference theory for real income and interest rate, which are basic factors.
Second, comparing the period of the Korean financial crisis and the period of the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 the asset effect estimation model and the uncertainty effect estimation model showed greater influence on real income and interest rates during the Korean financial crisis than during the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 However, during the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 interest rates have some influence on short-term money demand, but they do not affect long-term money demand, showing an unstable relationship between interest rates and money demand.
Third, as a result of estimation for the entire analysis period in the asset effect estimation model, stock prices had a negative (-) effect on long-term and short-term currency demand, resulting in a greater substitution effect. In general, it was found that its influence was greater during the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 Real estate prices were found to have a greater income effect as they had a positive (+) effect on long-term and short-term money demand. In general, it can be seen that its influence increased during the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 The exchange rate had a positive (+) effect on mid- and long-term money demand, indicating that the income effect was greater. During the Korean financial crisis, the income effect is greater in the positive (+) direction, and during the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 the substitution effect is greater in the negative (-) direction, indicating that the fluctuation is quite large.
Fourth, as a result of estimation for the entire analysis period in the uncertainty effect model, real estate prices have a positive (+) effect on all long-term and short-term money demand, resulting in a greater income effect. However, it had a greater influence on short-term money demand than long-term. It was found that real estate prices affected short-term money demand in the positive (+) direction during the Korean foreign exchange crisis, and short- and medium-term currency demand during the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
Fifth, as a result of estimation for the entire analysis period in the uncertainty effect model, stock price volatility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on mid- and long-term money demand. During the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 it was found that it had a negative (-) effect on mid- and long-term money demand.
Sixth, as a result of estimating exchange rate volatility for the entire analysis period in the uncertainty effect model, it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long-term and short-term money demand.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Korea's long-term and short-term demand for money in 1990 is greatly affected by asset effects such as stock prices, real estate prices, and exchange rates as well as real income and interest rates, which are basic factors. On the other hand, stock price volatility affects the uncertainty effect, but it was not so big. Therefore, when implementing government policies, it is suggested that policies including asset price variables such as stock prices, real estate prices and exchange rates, and uncertainty factors such as stock price volatility should be devised, not just based on real income and interest rates.|1990년대 이후 세계화 진전에 따라 금융규제가 완화되고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빠르게 금융 산업과 결합되었다. 이 과정에서 기존 금융상품과 특성이 다른 다양한 형태의 금융상품들이 등장하면서 기존 화폐수요이론에 근거를 둔 안정적 결정요인에 입각한 정부의 금융정책은 유동성과 신용규모를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없었다. 따라서 안정적인 화폐수요의 결정요인을 찾아 새로운 화폐수요함수를 구축하려는 연구가 활성화되었다.
본 논문은 금융환경변화로 인해 기본요인인 실질소득과 이자율을 포함한 화폐수요함수에 자산효과 요인(주가, 부동산가격, 환율)를 추가한 추정모형(자산효과 추정모형)과 불확실성효과 요인(주가변동성, 환율변동성)을 추가한 추정모형(불확실성효과 추정모형) 등 2가지 형태의 확장 화폐수요함수를 설정하였다. 이들 결정요인과 장·단기 화폐수요 간의 안정적 관계 성립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한국외환위기 기간(1993-2006)과 국제금융위기 기간(2007-2021)으로 나누고, 또한 전 기간(1993-2021)에 대해 일반최소자승추정법을 사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자산효과 추정모형과 불확실성효과 추정모형의 추정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 분석기간을 대상으로 한 추정결과에서 통화지표 M1, M2, Lf와 관계없이 자산효과 추정모형과 불확실성효과 추정모형 대부분에서 기본요인인 실질소득과 이자율은 유동성선호설이 예측한 대로 실질소득은 양(+)의 방향으로, 이자율은 음(-)의 방향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한국외환위기 시기에 자산효과 추정모형과 불확실성효과 추정모형에서 한국외환위기 시기에 실질소득과 이자율의 영향력이 장·단기 화폐수요에 더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자율의 단기 화폐수요에 대한 영향력은 어느 정도 존재하나 장기 화폐수요에 대한 영향은 없었다.
셋째, 자산효과 추정모형에서 전 분석기간을 대상으로 한 추정결과 주가는 장·단기 화폐수요에 음(-)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쳐 대체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국제금융위기 시기에 그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가격은 장·단기 화폐수요에 양(+)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쳐 소득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국제금융위기 시기에 그 영향력이 더 커진 것을 알 수 있다. 환율은 중·장기 화폐수요에 대해 양(+)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쳐 소득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외환위기 시기에는 소득효과가 더 커서 양(+)의 방향으로, 국제금융위기 시기에는 대체효과가 음(-)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쳐 그 변동 폭이 상당히 큰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불확실성 효과모형에서 전 분석기간을 대상으로 한 추정결과 부동산가격은 모든 장·단기 화폐수요에 양(+)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쳐 소득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장기보다는 단기 화폐수요에 대한 영향력이 더 컸다. 한국외환위기 시기에 부동산가격은 단기 화폐수요에 양(+)의 방향으로 영향을, 국제금융위기 시기에는 중·단기 화폐수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불확실성효과 모형에서 전 분석기간을 대상으로 한 추정결과 주가변동성은 중·장기 화폐수요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금융위기 시기에도 중·장기 화폐수요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불확실성효과 모형에서 전 분석기간 대상으로 한 환율변동성을 추정결과 장·단기 화폐수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실증분석 결과 1990년대 한국의 장·단기 화폐수요는 기본요인인 실질소득과 이자율뿐만 아니라 주가, 부동산가격과 환율 등 자산효과에 크게 장기 안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반면 불확실성효과로 주가변동성이 영향을 미치지만 그렇게 크지 않았다. 따라서 정부정책을 실시할 때 기존의 기본요인인 실질소득과 이자율에만 기반을 두지 않고 주가, 부동산가격과 환율 등 자산가격변수와 주가변동성 등 불확실성 요인을 포함한 정책을 입안해야한다는 시사점을 얻는다.
Appears in Collections:
기타 > 기타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