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e to the COVID-19 pandemic in 2020, the container transport logistics industry is predicted to decrease in volume, so domestic and foreign shipping companies adjust their fleets, such as delaying new orders, moorings, blank voyages, and early closures, and increasing ship size for cost reduction, and creating large alliance shipping lines to gain market dominance strengthened.However, since the second half of 2020, the container logistics market has exploded in volume due to social trends such as non-face-to-face e-commerce. In the second half of 2020, Busan Port, a hub port, had long-term storage of containers and an increase in yard utilization as domestic transshipment cargo volume increased due to larger vessels and a reflection effect on China under the condition of a shortage of vessels in the second half of 2020. As a result, the time to return to the ship increased, and work efficiency decreased, such as increased time for taking out and entering external trucks.Accordingly, container terminals invest in hardware such as operating system optimization, high-end equipment, remodeling, and yard automation to secure a competitive advantage. Port manages operational indicators that affect productivity.In this study, essential factors among the 100 or more factors that affect not only port productivity but also port operation, which factor is more important than other factors. As a result of this stud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e load loading value that had the most potent effect on the six group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automated yard cranes, and the importance of equipment infrastructure, are most closely related to port productivity. In addition, a time series analysis was conducted for personality analysis to have a clear vision of changes in variables, trends, and seasonality for the six factors indicated by factor analysis.| 2020년 코로나 대유행으로 인해 컨테이너 운송 물류 산업의 물동량 감소 예측되어 국내·외 해운선사는 신조 발주 연기, 계선, 항차 생략 및 조기 폐선 등 선복 조정하고 비용 절감 목적으로 선박 대형화 및 대형 얼라이언스 구축으로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였다. 하지만, 2020년 하반기부터 컨테이너 물류 시장은 비대면 전자상거래 등 사회 기조로 물동량이 폭증하였다. 허브 항만인 부산항은 2020년 하반기 선복이 부족한 여건 하에 선박 대형화, 대 중국 반사효과로 국내 환적 물동량이 증가함에 따라 컨테이너가 장기 체화되고 야드 장치율이 증가되었다. 이로 인해 선박 재항 시간이 증가하고 외부 트럭 반·출입 시간 증가 등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었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는 비교 우위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운영시스템 최적화, 고 사양 장비, 야드 장비 개조, 야드 자동화 등 하드웨어적 측면에서 투자하고 해운선사의 요구사항 및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 자체 비용 절감을 위해 항만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운영지표들을 관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만 생산성뿐만 아니라 항만운영에 영향 미치는 항만의 100여 가지 요인 중 어떤 요인이 다른 요인보다 더 중요한지에 대하여 요인을 분석하고, 요인간 상관관계 및 시간에 따른 추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요인분석은 6그룹에 대한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례 값 확인하였습니다. 상관관계 분석에서 항만생산성과 가장 밀접한 관계는 자동화된 야드 크레인 수량 즉, 장비 인프라 중요성을 밝혔다. 아울러 시계열분석은 요인분석으로 나타난 6요인에 대한 변수의 변화, 추세 및 계절성에 대한 명확한 비전을 갖기 위해 성격 분석 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