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항만물류분야 디지털 전환의 수용성에 관한 연구

Title
항만물류분야 디지털 전환의 수용성에 관한 연구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Acceptance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Port Logistics Field
Author(s)
송현덕
Issued Date
2023
Publisher
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URI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13262
http://kmo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70721
Abstract
디지털 전환은 다양한 기술을 기반으로 지속 가능하며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가져온다는 점에서 전략적으로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전환은 항만물류분야에도 진행되고 있으며, 세계적인 기업들은 미래에 기업 경쟁력을 확보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위해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항만물류분야는 기업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국가 차원에서도 디지털 전환이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국가 차원의 항만물류분야 디지털 전환은 업무의 효율성이나 편의성을 넘어, 해당 국가의 경쟁력이자 물류 수준을 보여줄 수 있는 증거물이라고 할 수 있다. 국내 항만물류분야에서 디지털 전환이 성공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실무 종사자들이 디지털 전환을 거부감 없이 수용해야 한다. 따라서 디지털 전환에 대한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는 판단하에 본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진행되는 항만물류분야 디지털 전환의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어떠한 요인들에 초점을 두어야 하는지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전환의 개념을 정의한다. 둘째, 항만물류분야에서의 디지털 기술을 정의하고, 디지털 전환 도입현황을 파악한다. 셋째,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 : TAM), 혁신확산이론(Innovation Diffusion Theory), 합리적 행동이론(Theory of Reasoned Action: TRA)을 기반으로 항만물류분야 디지털 전환 수용성에 미치는 요인들을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항만물류분야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도출된 요인이 디지털 전환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정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변수는 다음과 같다. 개인 특성과 관련된 변수로 지식, 자기 효능감, 관여도를 포함하였고, 혁신 특성과 관련된 변수로는 상대적 이점, 복잡성, 관찰 가능성을 포함하였으며, 그리고 환경 특성과 관련된 변수로는 정부 규제, 경쟁자 압박을 포함하여 총 8가지 잠재변수를 선택하였다. 이들 8가지 잠재변수와 디지털 전환 수용 태도의 인과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8가지 가설을 검정하였다. 또한 디지털 전환 수용 태도와 디지털 전환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수용성과의 인과관계를 검정하기 위하여 2가지 가설을 설정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정하였다. 총 10개의 가설 검정을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 국제물류주선자(3PL), 내륙운송사, 창고보관업자 등에 종사자를 대상으로 2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고 176부를 회수하였다. 인구통계 분석을 위해 SPSS 23.0을 사용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위해 SmartPLS 4.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특성 중 자기 효능감, 관여도 등 2가지 변수와 디지털 전환에 대한 태도는 정(+)의 인과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지만, 지식은 애초 정(+)의 인과관계를 예상했으나 결과는 부(-)의 인과관계로 나타나서 해당 가설은 기각되었다. 둘째, 혁신 특성 중 복잡성은 디지털 전환 수용 태도에는 부(-)의 인과관계를 가지며, 상대적 이점과 기술 혁신성은 디지털 전환에 대한 태도에 정(+)의 인과관계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환경 특성 중 정부 규제와 경쟁자 압박은 디지털 전환 수용 태도에 정(+)의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디지털 전환 수용 태도는 디지털 전환의 개인적 수용 및 사회적 수용에 정(+)의 인과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은 디지털 전환이 전 산업에 걸쳐 일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디지털 전환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디지털 전환 수용성에 대해 실증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디지털 전환 수용성을 개인적 수용과 사회적 수용으로 구분하여 실증분석 하였다는 점이 다른 연구와 비교해서 학문적으로 시사점이 있다. 또한, 디지털 전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디지털 전환 수용 태도를 매개로 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여, 다수의 잠재변수와 다수의 내생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은 항만물류분야에서 디지털 전환 수용성에 관한 최초의 실증 연구이며, 성공적인 항만물류분야 디지털 전환을 위해 디지털 기술에 대한 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 요인들을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향후 항만물류분야에서 디지털 전환 도입 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요인들을 참고하여 항만물류분야 종사자들의 디지털 전환 수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Appears in Collections:
기타 > 기타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