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東北아시아에서의 島嶼紛爭에 關한 硏究 = 獨島 領有權 紛爭을 中心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曺圭雲 -
dc.date.accessioned 2017-02-22T05:59:57Z -
dc.date.available 2017-02-22T05:59:57Z -
dc.date.issued 2002 -
dc.date.submitted 56797-10-27 -
dc.identifier.uri http://kmo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173832 ko_KR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8928 -
dc.description.abstract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had been concluded in 1982 through a long session, and by many times of argument, and entered into force in November, 1994.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that 157 States put an agreement under their signature, 138 nations ratified up to now February, 2002 was arranged as The Magna Carta of the sea.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has an object to settle dispute between subjects of International law, or to settle dispute that has already occurred between subjects of International law in an amicable way. In the northeastern Asia,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did not achieved it's object, but produced "a quite contrary result". Becaus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regulates the exclusive right of the coastal State positively, and the coastal States are anxious to expand the bounds of the sea that they can govern like land. This phenomenon is detected obviously at the dispute of islands. In the northeastern Asia, Korea, Japan, China(Taiwan), and Russia are pitted against each other for its interest on the other side of the sea. The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sea, so it leaves some room to dispute. In the northeastern Asia, there are 3 disputes of islands. Russia and Japan are pitted against each other about the islands of the southern Kuril Islands, and the confrontation of small island adjacent Taiwan is going on. Firstly, dispute about "Northern Territories(Japan designated)" between Russia and Japan. Secondly, dispute about "Senkaku Islands(Japan designated)" between China, or Taiwan, and Japan. The third, the last, one is the dispute about "Tokdo" that the antagonism is going on. When I study about dispute about "Tokdo", first of all, I arrange two aspects of dispute about "Tokdo". The Northen Territories is occupied by Russia, but there is stronger will of Japan about the Northern Territories than will of Japan about other disputing region, so there is substantial negotiation using economic support as intermediation at the northern territory. In 1991, since The Soviet Union broke down, both Russia and Japan cleared hostile relation, and built companion relation under the end of the Cold War, furthermore they made diplomatic effort to settle dispute about territory. Specially, with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New force of Reformation in Russia that got faced with total crisis established a principle that they return four islands of Kuril Islands by stages on condition of economic support in a big way. Also, Japan that concluded that they could recover the northern territory, because the Yeltsin adminstration needed economic support of Japan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so Japan concentrated on negotiation about the northern territory on condition of economic support. As a result, both Russia and Japan reached conclusion with adopting the joint declaration There are some importances that China can't concede Senkaku Islands. Firstly, in the southern sea of China, any concession can't be expected, because the southern sea of China is related other dispute of island, secondly, existence of petroleum is clarified at the coast, therefore China is expected that it shows the effectiveness of armaments to consolidate the effectiveness against this waters, or that it tries substantial exploration to make foundation of possession. Against this, Japan is evading positively the phenomena that lead the result that can magnify or deepen character of dispute to maintain substantial control. Senkaku Islands are certainly belongs to Japan, therefore what is useless to debate about Senkaku Islands are Japan's standpoint. Japan's will looks passive against "Tokdo" as compared to Japan's will about the northern territory and standpoint of Senkaku Islands, but it is very positive as compared to position of Korea. As compared to the government of Korea that insists "no dispute" about "Takesima(Japan designated)"-like Japan that insists "no dispute" about dispute about Senkaku Islands-, the government of Japan stresses that there is a dispute by formal announcement of the government of Japan with presenting wrongfulness about the occupation of "Tokdo" of Korea. Japan is the nation that adopts expansive policy of the sea, with establishing exclusive economic zone, continental shelf, or straight baseline for its interest from the island that doesn't satisfy essential condition for island. With considering these factors, against dispute about island, Japan is expected that it doesn't concentrate on triumph on one place, but it aims at overall triumph. There is no guarantee not to apply the method of Japan that lead advantageous situation of Japan by progress of negotiation through economic intermediation, or by manipulation of public opinion of circumference for "Tokdo", therefore Korea has to prepare certain foundation about assertion of dominium of "Tokdo", with dismissing disregarding, and avoiding position about phenomeno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목차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목적 = 1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4 제2장 해양경계획정, 섬제도 및 국가 영역에 관한 고찰 = 6 제1절 서언 = 6 제2절 해양경계획정 = 7 I. 1958년 해양법에 관한 협약상의 경계획정 = 7 1. 「영해 협약」 = 7 2. 「대륙붕?夏胥? = 8 3. 제3차 UN해양법회의에서의 논의 = 8 (1) 경계획정 논의의 필요성 증대 = 8 (2) 논의의 방향 = 9 (3) ISNT(1975년) = 9 (4) RSNT(1976년) = 9 (5) ICNT(1977년) = 10 (6) 협상그룹-7에서의 협의 = 10 (7) NG-7 의장의 절충안 = 11 II. 「UN해양법협약」상의 해양경계획정 = 12 1. 영해의 경계획정 = 12 2. 배타적 경제수역의 경계획정 = 12 3. 대륙붕의 경계획정 = 13 제3절 섬제도 = 13 I. 섬의 정의 = 13 1. 섬의 정의에 대한 논의 = 13 (1) 국제법위원회의 초안 = 13 (2) 1958년 「영해협약」 = 14 (3) 1982년 「UN해양법협약」 = 14 2. 섬에 대한 법적 개념요소의 분석 = 14 (1) 바다로 둘러싸일 것 = 14 (2) 자연적으로 형성된 섬 = 14 (3) 육지지역 = 15 (4) 고조시 수면 위에 있을 것 = 15 II. 섬의 관할 수역 = 15 III. 인공섬 = 15 IV. 산호암초 = 16 1. 협약 규정 = 16 2. 규정의 모호성 = 17 (1) 외곽에 있는 암초 = 17 (2) 암초의 해양측 저조선 = 17 (3) 외곽암초의 본도로부터의 거리 제한 = 17 V. 경계획정의 기준으로서의 섬의 가치 = 18 VI. 제121조 제3항의 문제 = 19 1. 의미의 모호성 = 19 (1) 표현상의 모호성 = 19 (2) 의미의 확정 = 19 2. 제121조 제3항의 요건 = 20 (1) 거주 가능성 = 20 (2) 독자적 경제활동의 지속 = 20 (3) 요건의 모호성 = 20 (4) 협약 문언상의 해석 = 21 3. 무인도의 관할수역 인정에 관한 양론 = 21 (1) 긍정적 의견 = 21 (2) 부정적 의견 = 21 4. 각국의 관행 = 22 5. '제121조 제3항은 일반적인 국제법인가?'의 문제 = 23 제4절 국가영역의 권원 = 23 I. 국가영역의 개념 = 23 1. 국가영역의 의미 = 23 2. 국가영역 개념의 다분화 경향 = 24 II. 국가영역의 권원의 요건 = 25 1. 영역주권의 취득 = 25 2. 시제법 = 25 3. 결정적 기일 = 26 (1) 조약의 체결과 발효의 시점 = 26 (2) 분쟁 발생시점 = 26 (3) 양 당사국의 주장을 배척하는 경우 = 27 4. 권원취득의 태양(態樣) = 27 III. 국가영역 권원의 원시취득 = 28 1. 무주지의 선점 = 28 (1) 의의 = 28 (2) 요건 = 28 (3) 효과 = 29 (4) 범위 = 29 2. 발견 = 29 3. 인접성의 권원의 주장 = 30 4. 관계국의 묵인 = 30 IV. 국가영역 권원의 승계취득 = 31 1. 정복에 의한 승계취득 = 31 2. 시효에 의한 승계취득 = 31 3. 할양에 의한 승계취득 = 32 4. 병합 = 32 제3장 북방영토 및 센카쿠 열도 문제 = 33 제1절 북방영토 문제 = 33 I. 서언 = 33 II. 대립지역 개관 = 33 1. 위치, 면적 및 기후 = 33 2. 이용가치 = 34 (1) 군사적 가치 = 34 (2) 경제적 가치 = 34 III. 귀속의 역사 = 35 1. 2차 세계 대전 종료 이전 = 35 (1) 시모다 조약(下田 條約) = 35 (2) 사할린-쿠릴 교환조약(1875년) = 36 (3) 러일전쟁(1905년) = 36 (4) 얄타 회담 및 포츠담 선언 = 37 (5)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 38 2. 2차 세계대전 종료 이후 = 38 (1) 전쟁 종료 직후 = 38 (2) 1960년 이전 = 39 3. 1970년대 = 40 (1) 전기 = 40 (2) 후기 = 41 4. 1980년대 = 41 (1) 전기 = 41 (2) 후기 = 42 5. 소련 붕괴 이후 = 42 IV. 북방영토 주변해역에 있어서 어업문제 = 43 1. 협상배경 = 43 2. 체계 = 43 3. 주요 내용 = 43 (1) 조업대상수역인 협정수역의 명기 = 44 (2) 입어료 등 조업조건 = 44 (3) 주권 문제 = 44 (4) 관할권 문제 = 44 V. 남쿠릴수역에서의 꽁치어업 문제 = 45 1. 경위 = 45 2. 일본의 입장 = 46 3. 한국의 입장 = 46 4. 협상의 문제점 = 46 VI. 소결 = 47 제2절 센카쿠 열도 문제 = 48 I. 서언 = 48 II. 대립지역 개관 = 49 1. 지리적 위치 = 49 2. 명칭 = 49 3. 이용가치 = 49 (1) 군사적 가치 = 49 (2) 경제적 가치 = 50 III. 귀속의 역사 = 50 1. 1372년~1895년(중국측 주장에 의한 귀속) = 50 2. 일본의 점령 = 50 3. 전후처리(2차 세계대전 후) = 51 IV. 대립의 추이 = 52 1. 1970년대(대립의 개시) = 52 2. 1996년 = 52 3. 1997년 = 53 V. 소결 = 54 제4장 독도 문제 = 56 제1절 서언 = 56 제2절 귀속의 역사에 대한 양국의 주장 = 56 I. 세종실록지리지 등에 대하여 = 56 1. 한국의 주장 = 57 2. 일본의 주장 = 58 II. 은주시청합기에 대하여 = 58 1. 한국의 주장 = 58 2. 일본의 주장 = 58 III. 안용복의 도일활동(渡日活動)에 대하여 = 58 1. 한국의 주장 = 58 2. 일본의 주장 = 59 IV. 일본 명치정부의 공문서에 대하여 = 59 1. 한국의 주장 = 60 2. 일본의 주장 = 60 V. 조선왕조의 재개척과 대한제국 칙령 제41호 = 60 1. 한국의 주장 = 60 2. 일본의 주장 = 61 VI. 일본의 강제 편입에 대하여 = 61 1. 한국의 주장 = 61 2. 일본의 주장 = 62 제3절 한국의 독도에 대한 주권행사의 증거 = 62 I. 신라 = 62 II. 고려 = 63 III. 조선 = 63 1. 공도정책 = 63 2. 독도 명칭의 확립 = 63 3. 조산왕조의 영토규정(신증동국여지승람) = 64 4. 17세기의 영토논쟁(안용복의 도일활동) = 64 제4절 분쟁의 추이 = 65 I. 분쟁의 개시 = 65 II. 일본의 독도 침범 = 66 III. 한국의 적극 대응 = 66 IV. 현상유지상태(status quo)의 존중 = 66 V. 재대립의 시작 = 67 제5절 한일 어업협정과 독도 = 67 I. 1965년 어업협정 = 67 II. 개정 = 67 III. 신 어업협정과 독도 = 68 1. 중간수역의 설정 = 68 2. 중간수역에서의 독도의 지위 = 69 (1) 중간수역의 성격 = 69 (2) 중간수역 내의 독도 = 69 제6절 소결 = 70 제5장 각 분쟁의 국제법적 문제 = 72 제1절 북방영토 분쟁에 대하여 = 72 I. 일본의 주장 = 72 II. 러시아의 주장 = 72 III. 향후 전망 = 73 제2절 센카쿠 열도 분쟁에 대하여 = 73 I. 일본의 주장 = 73 II. 중국의 주장 = 74 III. 향후 전망 = 75 제3절 독도 문제에 대하여 = 75 I. 시마네껭(島根縣) 고시 = 75 1. 일본의 주장 = 75 2. 한국의 주장 = 76 II. 연합국 최고사령부 지령 제677호 및 제1033호 = 76 1. 일본의 주장 = 76 2. 한국의 주장 = 77 III. 대일강화조약 = 77 1. 일본의 입장 = 77 2. 한국의 주장 = 77 IV. 향후 전망 = 77 제6장 한국과 일본의 해양정책 = 79 제1절 일본의 해양정책 = 79 I. 해양범위 팽창기도 = 79 II. 직선기선의 문제 = 79 III. 섬에 대한 집착 = 80 IV. 팽창 정책의 결과 = 81 제2절 일본의 도서분쟁의 성격 = 81 I. 북방영토에 대하여 = 81 II. 센카쿠 열도에 대하여 = 82 III. 독도에 대하여 = 82 IV. 도서분쟁에 대한 국내적 준비 = 82 제3절 한국의 독도에 대한 대응 = 83 I. 대응 현실 = 83 1. 외교적 마찰의 회피 = 83 2. 신한일어업협정상 중간수역에서의 배타성의 부인 = 84 3. 영유권문제와 분리 = 85 4. 「UN해양법협약」제121조 제3항의 문제 = 87 5. 어업협정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판결 = 89 6. 대응의 일관성 결여 = 93 II. 바람직한 대응 자세 = 93 1. 한일어업협정 재협상의 필요성 = 93 (1) 사정변경에 의한 조약의 폐기 및 정지 = 94 (2) 위요지의 설정 = 95 (3) 의사표시 착오의 문제 = 96 제7장 결론 = 98 참고문헌 = 101 ABSTRACT = 106 -
dc.publisher 韓國海洋大學校 -
dc.title 東北아시아에서의 島嶼紛爭에 關한 硏究 = 獨島 領有權 紛爭을 中心으로 -
dc.title.alternative A Study on the Dispute of Islands in the Northeastern Asia:With Emphasis on the Territorial Dispute about Tokdo -
dc.type Thesis -
Appears in Collections:
해사법학과 > Thesis
Files in This Item:
000002173832.pdf Download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