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신항 정박지 재배치에 관한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최자윤 | - |
dc.date.accessioned | 2017-02-22T06:09:14Z | - |
dc.date.available | 2017-02-22T06:09:14Z | - |
dc.date.issued | 2009 | - |
dc.date.submitted | 56904-11-17 | - |
dc.identifier.uri | http://kmo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175022 | ko_KR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9170 | - |
dc.description.abstract | Busan New Port is being under construction, and scheduled to be completed by 2015 in order to fulfill the goal of a hub port in Northeast Asia Region in the 21st century. 27 container berth with 9,650,000 TEU handling capacity will be constructed and several more berths for bunker & supply ships and other purpose vessels. Busan New Port has been designed as an alternative port to Busan Port. However, Busan New Port has not enough anchoring space compare to the scale of the port designed, and needs at least 3 more anchorage area for the safety and security. Disaster of Hebei Spirit(Oil tanker accident) which took place at the west coast of Korea in 2007, proofed the importance of proper anchorage area once again. This study attempts to propose an appropriate scale and arrangement for anchorage area of Busan New Port by using marine traffic survey and Ship Handling Simulation techniques. The national harbor master plan(revised) suggests that two(2) vessels of 80,000 GT class anchor at the right front of anchorage area and six(6) vessels of 30,000 GT class at the rest area. According to the survey and simulation, insufficient sea room for maneuvering has been determined at the end of the stud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coming container vessel more than 12,000 TEUs capacity should consider to anchor at Yang-Gi-Am (East coast of Geo-Je Island) area and a new anchorage area should be established off The Yeon-do Island for small-and-medium size vessels. And, proper local legislation regarding anchorage area should be prepared in order to reduce the risk of collision and near miss. However the legislation matters are not reviewed at this study and propose it on further studies. Last but not least, it has been recommended that well organized VTS services could prevent the potential risks and accidents in the research area, and further studies for "The maritime and port policy" should be conducted for the sake of well improvement of Busan New Port.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1.2.1 연구의 대상 범위 = 2 1.2.2 연구의 내용 및 구성 = 3 제2장 정박지 부근 자연환경 및 특성조사 = 5 2.1 자연환경 = 5 2.1.1 바람 = 6 2.1.2 태풍 = 8 2.1.3 해면기압 = 12 2.1.4 기온 = 12 2.1.5 안개 = 13 2.1.6 강수량 = 14 2.1.7 조위 = 15 2.1.8 조류 = 18 2.1.9 파랑 = 19 2.2 정박지 특성 조사 = 21 2.2.1 정박지 현행 조사 = 21 2.2.2 현 정박지 설정 기준 현황 = 24 2.2.3 정박지 부근 어장 분포 현황 = 26 2.3 정박지 이용 현황 = 27 2.3.1 정박지 지정 이후 이용 현황 = 27 2.3.2 신항 물동량 증가 현황 = 27 2.3.3 제2차 전국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에 의한 신항 정박지 예정지 = 30 2.4 정박지 이용 선박 사고 사례 현황 = 32 2.5 우리나라 및 외국의 정박지 지정 현황 = 34 제3장 해상교통 조사 분석 = 41 3.1 해상교통조사 방법 및 현황 = 41 3.1.1 해상교통 조사의 개요 = 41 3.1.2 부산신항 정박지 부근해역 교통조사 = 41 3.2 해상교통 조사 분석 = 44 3.2.1 시간대별 통항 분석 = 45 3.2.2 조사 일자별 통항 분석 = 47 3.2.3 선박크기 구분별 통항 항적분석 = 49 3.2.4 선종별 통항 분석 = 51 3.2.5 연도 부근 정박 선박 분석 = 54 3.3 해상교통 조사 분석 결과 = 55 제4장 신항 정박지 예비 배치안 = 56 4.1 정박지 선정 일반 조건 = 56 4.1.1 묘박의 정의 및 종류 = 56 4.1.2 정박지 선정 일반 조건 = 56 4.1.3 정박지의 규모 결정 기준 = 57 4.2 신항 정박지에 대한 실선 현장조사 = 58 4.2.1 현재의 신항 정박지의 규모 = 58 4.2.2 실선을 통한 저질 및 진출입 안전성 조사 = 59 4.2.3 현행 신항 정박지의 적정성 검토 = 63 4.3 파주력을 고려한 정박지 배치안 = 64 4.4 진출입 안전성 및 주변 환경에 따른 정박지 배치 = 66 4.5 신항 정박지 예비 배치안 = 68 4.5.1 신항 정박지 대상 선박별 반경 산출 = 70 4.5.2 정박지 배치안 = 70 4.6 이용자 의견수렴 = 72 4.6.1 신항 정박지 적정 규모 관련 설문조사 = 72 4.6.2 설문조사 결과 = 72 4.7 신항 정박지 최적 예비 배치안 = 76 제5장 신항 정박지 예정안에 대한 선박조종 시뮬레이션 검증 = 77 5.1 선박조종 시뮬레이션 평가 방법 = 77 5.2 신항 정박지 예정안에 대한 선박조종 시뮬레이션 검증 = 81 5.2.1 선박조종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 81 5.2.2 선박조종 시뮬레이션 결과분석 = 86 5.2.3 종합평가 = 101 제6장 결론 = 103 6.1 연구의 결론 = 103 6.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 105 참고문헌 = 107 부록 = 109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 |
dc.title | 부산신항 정박지 재배치에 관한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A study on the Relocation of anchorage for Busan New Port | - |
dc.type | Thesis | - |
dc.date.awarded | 2009-02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Choi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Ja Yun | -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