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현장인력의 교대근무제 효율화 방안에 관한 硏究

Title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현장인력의 교대근무제 효율화 방안에 관한 硏究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Effective Shift Pattern for Field Employee in Busan Container Terminal
Author(s)
남도기
Issued Date
2009
Publisher
한국해양대학교 해사산업대학원
URI
http://kmo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175068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9223
Abstract
항만하역 작업은 작업시간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선석에 배가 접안하지 않아 출근을 하여도 작업을 할 수 없는 오프피크(off peak)시와 모든 선석에 선박이 접안하여 인력이 부족함에 따라 교대 및 식사시간에도 작업을 해야 하는 피크(peak) 타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아무리 접안하는 선박이 정시성을 가진다고 하지만 여러 가지 여건들로 인하여 정시에 접안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컨테이너 터미널은 하역 서비스와 하역요율 그리고 부산항을 경유하지 않는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접안하는 선박이 계약을 해지하고 타 터미널로 이전되거나 또는 신규 선박이 유치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성장한다. 따라서 컨테이너 터미널의 특성상 적정인원을 보유한다든지, 효율적인 교대제 근무를 채택한다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과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최근 들어 미국 발 세계 경기의 지속적인 침체 속에서 글로벌 물동량은 최악의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컨테이너 터미널의 수익성은 악화일로를 치닫고 있다. 이러한 침체 속에서 각 터미널들은 원가절감과 경쟁력 확보를 최우선 정책으로 삼으며 효율적인 교대근무제에 대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항만의 경쟁력 확보와 컨테이너 터미널의 특성에 맞는 효율적인 교대근무제를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첫째, 교대제의 개념과 유형 그리고 종업원에 영향을 미치는 교대제의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둘째, 컨테이너 터미널에 도입되고 있는 교대근무제 형태의 유형과 일반기업에 비해 터미널 운영사만이 가지는 교대근무제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셋째, 실제 부산항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대근무제 형태와 해외 컨테이너 터미널의 교대근무 형태를 살펴보고, 넷째,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의 교대근무 형태와 생산성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현재의 부산항 각 터미널의 교대근무제 문제점과 그 개선 방안을 다루었다. 그러나 항만의 특성상 고려해야 할 변수가 너무 많고, 처리물량, 선석 수, 종업원 수 등의 변수와 교대근무제의 연관성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부산항의 각 터미널은 자가 터미널의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교대근무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많은 환경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탄력적인 근무 제도를 추구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존재하고 있는 여러 형태의 교대근무제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첫째, 우리나라의 근로기준법에는 법적 기본 근로시간은 주40시간으로 규정하고 있고 1주일에 12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연장근무를 허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법적 한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항만의 교대제 근로자들도 최소한의 인원으로 접안하는 선박에 탄력적으로 대응한다면 터미널 운영사 뿐만 아니라 근로자에게도 많은 이득이 돌아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장비기사의 경우, 유휴 시간을 통하여 기능이 다른 여러 장비를 다룰 수 있는 능력을 키워 인원부족에 대한 대응을 미리 한다면 터미널의 인적 효율성은 배가 될 것이다.

둘째, 가능하다면 현행 근로자 파견법을 고쳐서 터미널 운영사끼리 인원의 교류를 활성화하여 배가 없는 대기시간에 인근 터미널의 과다한 작업을 도와준다면 운영사 서로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현재의 부산 감만 터미널이나 부산 신항의 경우, 터미널 운영사가 바로 인접해 있어 적정 인원에 대한 파견은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셋째, 인력 풀(pool)제를 도입하여 각 운영사별로 주요한 인력들만 확보하고 나머지 인력들은 아웃소싱업체에서 파견한다면 작업 대기 시간에 대한 손실은 많이 줄어들 것이다. 홍콩의 경우 이러한 풀제를 운영하는 대형 아웃소싱 업체가 3사가 있어 이들이 대부분 홍콩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에 인력을 공급함으로써 각 운영사의 불필요한 작업시간에 대한 인건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부산 신항의 경우도 점차 개장이 되면 이러한 아웃소싱 업체의 활성화도 경쟁력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넷째, 교대근무제란 항상 야간작업을 수반하는 어려운 근무형태로 만성피로에 빠지기 쉽다. 이를 극복하고 하역 작업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는 여가를 선용하고 체력을 기를 수 있는 많은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터미널 내에 체력 단련실을 두어 대기시간에 체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든지, 서클 활동을 활성화하여 직원들끼리의 친목 도모와 아울러 애사심을 고취시키고 나아가 가족들까지 즐기게 함으로써 모자란 가족과의 대화시간을 충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e. working at night for 6 days and 1 day off and working at day time for 6 days.

The result of this paper provides improvement plan for the shift pattern in Busan port to strengthen their competitiveness and productivity.
This study shows the issues of shift pattern for field employee in Busan container terminal and also improvement plan to solve them. Recently, financial crisis from subprime mortgage loan in America has made global economy break down and it has made container throughput in port industry quite decreased continuously.

Accordingly, many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in the world are looking for the solution to save cost and get competitiveness in order to survive under current global crisis situation. The change of shift pattern for field employees who work for vessel operation is one of the solutions to save the expenditures. In result of shift pattern change, the redundancy employees would be layoff via early retirement program.

In this study,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hift pattern and introduction case on general company and port are shown industry in Chapter 1 and 2. The third chapter describes the present various shift pattern in Busan port and other country's one such as HIT in Hong Kong as described in Chapter 3, YICT in China, JICT in Indonesia. Busan port needs to introduce a best practice for improving shift pattern from other countries. Connection between shift pattern and productivity in each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in Busan port is described in chapter 4.

As a result of this study, 5 improvement plans for shift pattern issues in Busan container terminal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urrently container terminal in Busan port has too many regular employees to cope with full berth operation, but it would be very rare case for terminal to get full berth with vessels every month. Thus container terminals need to decrease the number of regular employees and make a contract with outsourcing company for flexible operations with lower manning cost.

Second, it would be difficult for vessels to keep the voyage schedule due to weather condition, damage, and so on. And there are many vacancy period between each vessel schedule, in that time, field employees have to wait for next vessel in the rest room without doing. Thus terminal operators need to introduce the pooling system for manning productivities between close-by terminals like Gamman terminal or Busan new port. Both terminals can lend man power to avoid idle time for each other.

Third, some field employees such as QC driver or signalman went home earlier than work ending time if they finish vessel operation before work ending time and next vessel is scheduled to berth after their working time. It makes other field employees who cannot go home earlier complainable and caused lower productivity. Then terminal operators have to consider to introduce job rotation between field employees for fairness and productivity.

Forth, many employees who have worked at night with shift pattern in port industry have chronic fatigues which caused lower productivity, safety accident and week physical condition. Then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have to provide employees with many chances for them to enjoy sports and leisure with colleagues and their families.

Fifth,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have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 for field employees who have worked in port industry with 2 team 2 shift
Appears in Collections:
항만물류학과 > Thesis
Files in This Item:
000002175068.pdf Download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