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은 1975년 자성대 터미널의 개장 이후 지속적인 컨테이너터미널의 개발 및 정부의 컨테이너 부두 민영화 방침에 따라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들이 증가하고 있다. 세계 5대 컨테이너 항만인 부산항은 개장 이후 지속적인 물동량의 증가세를 보였으나 신항의 개장 이후 북항과 신항 간의 물동량 전이 과정에서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간의 경쟁이 심화 되었다.부산항 운영사들은 공급 과잉, 선사들의 요율 하락 압박 등의 상황에서 화물유치를 위한 하역료 인하의 출혈경쟁으로 부두 운영여건이 급격히 악화되었다.
이러한 하역료의 경쟁적 인하는 선사의 하역료 인하요구의 원인도 있으나 공급 과잉으로 인한 경쟁 여건의 조성과 초과 물동량이 터미널의 영업 이익과 직결되는 고정 임대료제 하의 컨테이너터미널의 수익구조 또한 중요한 원인이었다고 할 수 있다. 현재 부산항은 신항 2-4 부두와 2-5, 2-6 부두의 개장을 앞두고 있으며 또 다시 공급 과잉의 위기에 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본 연구는 컨테이너항만 하역시장의 공정한 거래질서를 확립하고 컨테이너터미널들의 안정적 수입 확보를 위한 구조적 변화를 위해 컨테이너 터미널 임대료 체계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계층 분석적 의사결정 방법을 사용하여 임대료 결정 요인의 우선순위를 파악하고 세부 속성의 중요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우선순위에는 시설적 요인, 상황적 요인, 경제적 요인 순으로 중요도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임대료 체계가 단순히 터미널의 시설적 가치에 대한 역할만이 아닌 하역시장 전체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터미널 운영사들의 인식이 내재 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 한다. 세부적인 요인에 대한 분석결과로는 시설하역능력, 터미널의 자동화 정도, 야드의 규모, 시장의 안정성, 선석의 규모, 시장의 규모 순으로 전반적으로 시설적 요인과 상황적 요인들의 세부 속성들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부산항 하역시장의 안정성을 강화하고 터미널 운영사 간의 과도한 경쟁을 제한하기 위해서는 현행 고정 임대료제도의 보완이 필요하다. 고정임대료 + 실적 임대료제는 각 터미널의 시설적 가치를 반영한 고정 임대료제에 시장의 유동성을 적용할 수 있는 물동량을 연계한 실적 임대료제를 추가함으로써 터미널들의 과도한 물돌량 확보 의지를 억제할 수 있고 하역 요율의 급락 또한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제도의 경우 기존 고정 임대료제보다 얻을 수 있는 운영사의 인세티브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에 따라 제도의 도입을 위해서는 부산항만공사의 역할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Since the opening of Jasungdae Pier in 1975, Busan Port has been increasing in number of operators due to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container terminals and the government's policy to privatize container docks. Busan Port, the world's fifth largest container port, has continued to increase in volume since its opening. But after the opening of the Busan new port, competition between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intensified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cargo between the North Port and New Port. Due to the oversupply and pressures of shipping companies' with decrease of the rates resulted in bleeding competition such as lowering of freight rates to attract cargo.
The competitive cut of these freight rates is due to the global shipping companies's demand to cut freight rates, but also the result of over competition due to oversupply and the fixed rental system,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the terminal's operating profit demanding more excess volume.
Currently, Busan Port is again in danger of oversupply by opening of new terminals Phase 2-4, Phase 2-5 and Phase 2-6. With that in mind, this study seeks structural changes of terminal operator's rent system to establish a fair trading order between container operators and secure stable inco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priority of rent determinants and to compare the relative importance of detailed factors using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container terminal rental system and hierarchical analytical decision-making.
As a result, priority was derived in order to facility, situational and economic factor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terminal operators' rent system has a direct and indirect impact on the entire terminal market, not just a role for the terminal's facility valu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tailed factors, the importance was high in the order of the terminal capacity, the degree of automation of the terminal, the size of the yard, market stability, the size of the berth, market size. To stabilizing the Busan Port terminal market and to resolve excessive competition among terminal operators, is it necessary to supplement the current fixed rental system. Fixed rental system + Performance rental system can suppress the willingness of terminals to secure excessive amount of cargo and also prevent a sharp drop in unloading rates. However, the role of BPA seems to be important for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as incentives that can be obtained are lower than the current fixed rental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