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Detailed Information

Metadata Downloads

광양항의 기종점(OD)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Title
광양항의 기종점(OD)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Alternative Title
An Empirical Study on Factors Affecting Determination of Origin/Destination of Kwangyang Port
Author(s)
조용갑
Issued Date
2006
Publisher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URI
http://kmo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174634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8695
Abstract
항만은 무역에 있어 없어서는 안될 가장 중요한 사회간접자본의 하나이다. 항만은 육상수송과 해상수송의 연결점으로서 수출입화물을 원활하게 처리함으로써 국제무역을 촉진 발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항만은 또한 외화획득 및 국제수지를 개선하는데 크게 기여하기 때문에 국가 및 지역경제발전의 핵심기반시설이기도 하다. 따라서 최근에 정부는 항만경쟁력을 키워 부산·광양항을 동북아의 물류중심항으로 육성하기 위해 항만시설 확충, 배후단지 개발, 항만의 생산성 제고, 환적화물유치방안 등 여러 추진전략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하드웨어적인 항만경쟁력 강화방안도 필요하지만 우리가 이미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조사·분석 활용함으로써 항만마케팅 등 항만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 또한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우리나라 수출입 화물의 흐름과 관련된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은 건설교통부를 비롯하여 해양수산부, 산업자원부, 관세청 등 총 18개 기관에 해당되며 이 중 수출입화물 기·종점(OD)에 관한 항목을 가진 자료는 관세청의 「
Port is one of the key infrastructure which is essential to an international trade. Port, as a nexus of a maritime transport and road transport, plays a role in accelerating the trade by facilitating a flow of in-and-out cargo.

Port is also a core infrastructure for the development of a national and local economy because she contribute to obtain foreign currency and improve international payment. In this regard, Korean government has recently been executing many port-developing strategies such as expanding port facilities, developing port hinterland, enhancing port productivity and inducing transshipment cargo to develop Busan and Kwangyang as a hub port in Northeast Asia.

Without mentioning the importance of the port developing strategies in terms of the port as a hardware, however, we should put an emphasis on the port developing strategies such as a port marketing etc with investigating, analyzing, and applying the assessed data on the related field.

There are 18 government bodies which related with the in-and-out cargo in Korea, such as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the Ministry of Maritime and Fisheries', 'the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Korea Customs Service' and etc. Among them, 2 institutes have data on the OD of the in-and-out cargo, importing and exporting trade data in 'Customs Data Base' of Korea Customs Service and general cargo and exporting container cargo data in 'Port-MIS' of the Ministry of Maritime and Fisheries.

Therefore, this study have focused on the data of the Kwangyang port among those data and have its purpose in analysis of the relativity within the causes to decide OD in Kwangyang port.

For this purpose, the study suggests a research model on OD of the in-and-out cargo firstly. The model analyzed the mutual effectiveness of the cargo transporting tool, the condition of the delivery, destined country, price, quantity and weight to the cargo OD.

Secondly, it was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the cargo transporting tool, the condition of the delivery, destined country, cargo OD to the price of delivery using the Kwangyang's export-import cargo data of Korea Customs Service.

Thirdly, the effectiveness of the countries' general cargo OD to the port arriving frequency, GT, MT, RT, and port fees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general cargo data of the Ministry of Maritime and Fisheries.

Fourthly, with the data on the carrying foreign container of the Ministry of Maritime and Fisheries, it was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foreign container OD per each country to the empty container, port arriving frequency, full container.

For those four empirical studies, this research primarily analyzed basic information of variables by using SPSS on them and secondly conducted Logistics regression, and One-way ANOVA to verify the results. Results of the studies shows that variables as cargo transporting tool and destined country have their effect on the import OD in Kwangyang port. Meanwhile, the condition of the delivery, quantity and price of delivery do on the exportation OD.

OD selection of general cargo in Kwangyang, on the other hand,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port arriving frequency, RT, MT, but less correlation with port fee and GT.

OD selection of container cargo is closely relevant to the empty container, port arriving frequency, full container.

This study, through those thorough analysis, presents political and executive issues for the Kwanyang port's selecting model county by country, enhancing plan of connecting ports, and strategy to reinforce the competitiveness of Kwangyang port.
의 일반화물 및 국외 컨테이너화물 반출입자료 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종점(OD)에 관한 항목이 있는 3가지 DB 중에서도 2004년도 12월의 광양항 자료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는 본 연구가 시험적 단계이므로 부산항의 자료는 너무 복잡하고 데이터 량이 많아 비교적 단순한 광양항 자료만을 선택하기로 하였다.

본 연구는 광양항의 기·종점(OD)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인간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첫째, 수출입화물의 기ㆍ종점에 관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모형에는 수출입화물의 운송용기, 인도조건, 국가, 수량, 금액, 그리고 중량 등의 요인들이 수출입화물의 기ㆍ종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둘째, 관세청 광양항 수출입화물자료에서 수출입화물의 운송용기, 인도조건, 국가, 수출입 화물의 기ㆍ종점 등이 수출입금액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셋째, 해양수산부 일반화물 반출입자료에서 국가별 일반화물 반출입의 기·종점이 입항횟수, 항차, 용적톤(GT), 중량톤(MT), 운임톤(RT), 그리고 입출항료 등에 미치는 효과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넷째, 해양수산부 국외 컨테이너 반출입자료에서 국가별 국외 컨테이너 반출입의 기ㆍ종점이 공컨테이너, 입항횟수, 적컨테이너, 그리고 항차 등에 미치는 효과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네 가지 실증적 연구를 위해 첫 번째 단계에서는 기술통계분석을 수행하여 변수들의 기본적인 정보를 일차적으로 분석하였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과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s regression)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운송용기와 국가 등의 변수들은 수출입 기ㆍ종점의 부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수입에 영향을 미친 반면에 인도조건, 수량, 그리고 금액 등은 수출입 기ㆍ종점의 선택에 정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수출에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의미하고 있는 것을 운송용기 측면에서 살펴보면, 벌크용기(BU), 일반화물 기타용기(ETC), 그리고 소량컨테이너 용기(LC) 등의 운송용기는 수출입 기·종점의 선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우리나라와 무역비중이 높은 미국, 일본, 그리고 중국 등의 국가보다 다른 국가들에 의해서 수출입 기·종점의 선택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 외에 운임·보험료포함 인도조건(CIF)이 수출입 기·종점의 선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수량과 금액 등이 증가할수록 수출입 기·종점의 선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광양항의 일반화물 기·종점의 선택에 관한 중요한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도출해 내었다. 분석결과 국가별로 일반화물의 경우 기·종점의 선택은 입항횟수, 운임톤(RT), 항차, 중량톤(MT)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입출항료와 용적톤(GT)과는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의미하는 것은 입항횟수, 운임톤(RT), 항차, 중량톤(MT) 등의 요인들이 기·종점 선택에 중요한 변수들로 작용함으로써 항만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수립에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운임톤(RT)과 중량톤(MT)과의 환산개수는 없으므로 이번 연구에서 주로 해운분야에서 사용하는 부피를 고려한 운임톤(RT)과 관세청 등 대부분 기관에서 사용하는 순수 중량을 나타내는 중량톤(MT)간에 서로 다른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였으나 실재로 같은 영향을 미치며 운임톤(RT) 또는 중량톤(MT)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광양항의 컨테이너화물 기·종점의 선택에 관한 중요한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도출해 내었다. 분석결과 국가별로 국외 컨테이너화물 기·종점의 선택은 공컨테이너, 입항횟수, 적컨테이너, 그리고 항차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의미하는 것은 국외 컨테이너화물 기·종점의 선택에 있어서 공컨테이너, 입항횟수, 적컨테이너, 그리고 항차 등의 요인들이 국외 컨테이너화물 기·종점 선택요인에 중요한 요인들로 작용함은 물론 기항지 선택에 중요한 요인들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앞에서 열거한 시사점과 기존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에도 불구하고 항만의 기종점(OD) 결정요인으로 3개 자료에서 몇 가지 항목만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수출입화물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부산항을 제외하고 광양항만 선택하였고 표본이 2004년 12월로 한정되었다는 점에서 본격적인 실증분석을 위한 탐색적인 연구의 성격이 강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ㆍ종점에 대한 몇 가지 연구의 한계점을 논의하고 향후의 연구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는 우리나라 수출입화물 물류관련 공공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고 통합 연계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를 추출하여 연계·활용을 위한 기·종점에 관한 심층적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겠다. 이를 통해 국내 및 해외 기·종점(OD) 뿐만 아니라 화물이동경로를 정확히 파악하여 국내 항만개발계획 및 항만배후부지 물류센터 규모, 교통영향평가, 도로건설 등 국가 물류시설 및 교통망 구성에 활용할 수 있으며 국가경쟁력과 항만경쟁력을 위해서 매우 중요한 연구이다.

둘째는 본 연구에서는 광양항 기·종점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에 관한 실증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광양항 기·종점선택과 변수 간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지 없는지 만을 분석하였고 왜 이러한 결과가 나왔으며 또 어떻게 활용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연구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항만별로 기·종점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조사하고 왜 밀접한 관계가 있는지 등 탐색적 연구가 아닌 본격적인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여 각 항만의 전략 수립에 활용하여야 하겠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몇 가지 중요한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며 추후의 연구에서 이러한 논의들이 국가 수출입화물 물류관련 공공 데이터베이스의 통합적 관점에서 전체를 종합하여 심층적인 연구와 논의들이 활발하게 전개되기를 바라며 향후의 연구과제로 남긴다.
Port-MIS」
의 수출입 무역자료와 해양수산부의 「
통관DB」
Appears in Collections:
무역학과 > Thesis
Files in This Item:
000002174634.pdf Download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