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선박관리업체가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세계 선박관리업계와 어깨를 나란히 하기 위해서는 한국선원의 안정적 공급 및 기술에 의한 종합적인 선박관리업의 적극적인 마케팅전략의 수립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선박관리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고객만족경영에 중점을 둔 종합적인 마케팅의 도입을 위하여 경험이 풍부하고 능력을 갖춘, 전천후로 업무를 담당할 수 있는 한국인 및 외국인 감독을 채용하여야 하며 외국인 선원의 교육 및 훈련에 과감히 투자하고, 이러한 업무들이 항상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통신 및 소프트(IT)분야에도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할 것이다.
세계메이저 선박관리업체들은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지속적으로 추구하고 있다. 주요 고려사항으로는 다양한 대 선주 서비스의 개발 및 서비스질의 향상, 시장진입전략 수립, 전략적 위치에 본사의 설치, 촉진 등을 들 수 있다. 더구나 선박관리라는 서비스의 특성에서 볼 때 고객과의 신뢰에 바탕을 둔 장기적 관계수립은 성공적인 경영의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선박관리업체들도 이러한 환경변화를 인식하고 장기 지향적인 고객관계 수립에 의한 관계마케팅 전략을 적극 활용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는 지정학적으로나 국가의 안보를 위하여 상선대가 비상시에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을 볼 때 선박관리부분에서도 외국에 맡기고 중요한 기능에서만 선주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국가가 아니라고 보여진다. 따라서 정부에서 국가필수선대를 금년부터 시작한 것은 늦게나마 큰 의의가 있다고 보며, 아울러 국내선박의 선박관리를 외국에 맡기는 것을 방치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러한 전문직 업무에 대한 서비스기회의 상실은 남아있는 잔존선원 및 육성해야 할 선박직원 또는 육상직원들에게 선택의 기회를 상실하게 만들어 가뜩이나 위축된 선원사회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선박관리업의 경쟁력 강화 및 구조고도화를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 적극적인 사고를 가진 고급선원교육의 실시 및 양성이 필요하다.
2. 선박관리업 시장의 과당경쟁 지양 및 양질의 선박관리 시스템개발 및 마케팅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3. 잘 발달된 서구의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배우며 각종 서비스형태 등의 벤치마킹이 절실히 필요하다.
4. 외국어 교육시스템의 강화 및 영어교육이 엎그레이드 된다면, 우리나라 선박관리업의 발전은 물론이고, 외국의 선사나 전문 선박관리회사에 고용되는 고용창출에도 상당한 보탬이 될 수 있어 개인은 물론이고 국내의 선박관리업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5. 선박관리 전문인력의 양성, 특히 유능하고 능력 있는 공무·해무감독(SI)들의 양성이 시급하다.
6. 선주의 요구에 부응하는 서비스의 질과 종류의 개발은 물론이고, 값싸고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對(대) 선주에 대한 항구적인 신뢰감을 쌓아가야만 한다. 따라서 항구적인 신뢰감과 영업을 확장하기 위해서 각 분야의 인재 양성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외국의 우수한 인력들도 확보할 수 있는 시스템까지도 갖추어야 한다.
7. 선원·선박관리에서 금융, 상업적인 서비스(화물중개, 용선, S&P)까지의 통합서비스를 확대하는 선박관리가 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대형 선사들도 자체관리(In house Ship Management)에서 계열관리나 3자관리로 나아가고 있는 실정이며, 앞으로 3자관리가 되더라도 선진해운국의 통합된 관리까지는 요원한 실정이다. 모든 기업들이 국제화를 앞당겨 실행하는 것처럼 3자관리업 도 국제화속으로 진행되어 가지 않으면 안 될 것이며, 글로벌화된 통합된 선박 관리(Integrated Ship Management)를 위한 준비가 필요한 시점이며, 이를 위하여 새로운 마케팅전략이 필요하다.
8. 한국 선박관리업체 관리조직상의 문제점은 통합관리 서비스 능력의 미비, 해외 네트워크 조직 결여, 특수선 관리능력 경험 부족, 해외 마케팅 조직취약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조직에 대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9. 우리나라에는 현재 18개 학교와 연수원 등 19개 기관에서 연간 약 2,800여명의 선원을 배출하고 있으나 경직된 정원운영으로 선사의 수요와 선원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특정분야의 해기사와 부원에 대해서 과잉현상 및 부족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새로운 교육수요에 대한 대처가 미흡하다. 또한 현장에서 요구하는 교육내용으로 인력을 양성 공급하여 교육과 취업을 연계하는 맞춤형 교육과정의 도입이 필요하다.